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사이드바


홈레코딩! 필독서!
모두의 홈레코딩 구매!

모두의 홈레코딩 책 구매


커뮤니티

카테고리





인기글



네트워크:streaming
회원 가입 방법
홈레코딩 필독서 "모두의 홈레코딩" 구매 링크

스트리밍

음원, 영상 등을, 사용자의 기기로 전송하여 재생 하는 기술,

스트리밍네트워크 망의 전송 상태에 따라 비트레이트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기술 등이 들어간다.

따라서, 네트워크 망이 좋지 않거나, 사용자가 많이 몰리면, 재생 퀄리티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트리밍은 재생기기의 재생 스펙에 맞춰서 컨텐츠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영상의 해상도가 1080p인 경우에는 영상을 1080p로 전송하며, 스마트폰 등의 작은 화면에 전송하는 경우, 그에 따라 화면의 해상도를 작게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커피샵이나 대형 매장등에서 재생하는 음반 스트리밍의 경우에는 “저작물의 상업적 이용”에 해당하기 때문에, 저작권료 요율이 상당히 다르다.1)

음원 플랫폼 별 스트리밍 음량

LUFS reference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하는 플랫폼에서는 해당 스트리밍 플랫폼의 사용자가 스트리밍 이용할 때에 계속 곡마다 다른 볼륨으로 재생되면 볼륨을 계속 오르락 내리락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각자의 표준 음량을 정해서 모든 음원을 해당 음량 값으로 재조정하여 스트리밍 하는 기술을 적용한다.2)

이것을 오해하여 각 스트리밍 플랫폼에 맞도록 각기 다른 라우드니스마스터링해야 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있기도 하다.3)

Note: 마스터링 라우드니스는 클라이언트가 생각하는 목표하는 라우드니스마스터링하면, 플랫폼에서는 자신의 플랫폼의 라우드니스 기준에 맞게 자체적으로 조절하여 재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각 플랫폼의 라우드니스에 맞춘 여러가지 마스터링 본을 만들 필요는 없다.

이러한 기술은 스트리밍 플레이어 앱이나 소프트웨어에서 Loudness Normalization 기능을 켜거나 끌 수 도 있다.

주요 플랫폼별 reference

Platform 레퍼런스 레벨(LUFS) 레퍼런스 레(LU) 비고
EBU R1284) -23LUFS 0LU +-1LU5)
대한민국6) -24LUFS -1LU +-2LU7)
Itunes -16LUFS 7LU
Tidal -14LUFS 9LU
Spotify -14LUFS 9LU
YouTube -14LUFS 9LU

2020-9-06 기준

레퍼런스 레벨은 Intergrated, Program loudness level(전체 프로그램 레벨)을 말합니다.

국내 업체별 LUFS reference

아직 특별한 업체별 기준 없음.

변동사항 제보바람.

1)
CD 음반의 경우에도 CD 를 구매한 업장 등에서 음악 재생하여 영업에 도움이 되는 행위, 즉 상업적 용도의 사용에 해당하기 때문에 음반의 가격에 저작권료가 포함된다. 따라서, 예전에는 CD 발매에도 저작권 협회에서 제공하는 저작권 인세지를 붙여서 판매 해야 했다.
2)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앨범 단위의 마스터링에서는 한 음반을 들을 때 청취자가 볼륨을 조절하면서 들을 필요 없도록 모든 곡별 볼륨 및 라우드니스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과정이 마스터링에 포함된다.
3)
일단 디스트리뷰터는 하나의 라우드니스마스터링 본만 받는다. 여러 플랫폼에 해당하는 각각의 마스터링 본을 받지 않는다.
5) , 7)
허용



홈레코딩 필독서 "모두의 홈레코딩" 구매 링크
네트워크/streaming.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1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