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_비즈니스:media:record:vinyl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뮤직_비즈니스:media:record:vinyl [2024/09/2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뮤직_비즈니스:media:record:vinyl [2025/01/2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indexmenu_n> | ||
+ | ======레코드판====== | ||
+ | |||
+ | **Vinyl record, PhonoGraph Record** | ||
+ | |||
+ | <WRAP box> | ||
+ | {{: | ||
+ | </ | ||
+ | |||
+ | 비닐로 된 원판에 진동을 홈을 깍아 기록한 매체. 초창기에는 셸락으로 만들어졌으나, | ||
+ | |||
+ | 크기는 12인치, 10인치, 7인치의 규격이 있었고, 크기와 재생 속도에 의해 여러가지 포맷들이 있었다. | ||
+ | |||
+ | |||
+ | =====Standard 포맷===== | ||
+ | <WRAP tablewidth 100%> | ||
+ | ^ 직경 | ||
+ | | 16" | ||
+ | | 12" | ||
+ | | 12" | ||
+ | | 12" | ||
+ | | 10" | ||
+ | | 10" | ||
+ | | 10" | ||
+ | | 7" | ||
+ | | 7" | ||
+ | | 7" | ||
+ | </ | ||
+ | |||
+ | ====Single==== | ||
+ | |||
+ | 초창기 레코드판의 규격인 SP(Standard play)를 사용한 음반 포맷 | ||
+ | |||
+ | * 10" 디스크, 78rpm | ||
+ | * 7" 디스크, 45rpm | ||
+ | |||
+ | SP의 재생 시간이 5~15분 내외였으므로 1곡이나 2곡을 말한다. | ||
+ | |||
+ | ====EP==== | ||
+ | |||
+ | 레코드판 포맷인 Extended play 를 말한다. | ||
+ | |||
+ | * 12" 디스크 | ||
+ | * 7” 디스크, 33+1⁄3rpm 또는, 45rpm | ||
+ | |||
+ | 12분에서 30분 사이의 재생 시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 ||
+ | |||
+ | ====LP==== | ||
+ | |||
+ | 레코드판, | ||
+ | |||
+ | * 12“ 디스크, 33+1⁄3rpm | ||
+ | |||
+ | 양면 판의 경우 앞면 22분, 뒷면 22분 총 44분 정도의 재생 시간을 가지고 있었다. | ||
+ | |||
+ | =====레코드판의 스테레오 크로스토크===== | ||
+ | |||
+ | 보통 레코드판에 사용되는 바늘 카트리지의 경우 -25~30dB 정도의 스테레오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이것은 매우 높은 수준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스튜디오 믹싱 콘솔의 크로스토크는 -90dB~-100dB 정도 된다.)) 그 이유는, 레코드판의 스테레오 구현 방식에 대한 문제 인데, 레코드판의 스테레오 재생 방식은 아래와 같다. | ||
+ | |||
+ | {{ : | ||
+ | |||
+ | 즉 90도 각도로 파여진 그루브의 왼쪽면과 오른쪽 편이 각각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을 담당하며, | ||
+ | |||
+ | {{ : | ||
+ | |||
+ | 이러한 특성 때문에, 레코드판 마스터링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조정 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마스터 테이프로 녹음 된 음원을 레코드판으로 만들어서 재생해보면 이 카트리지에 의한 크로스토크로 인하여 상당히 스테레오 이미지가 좁게 재생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지금도 스테레오 이미지 조정에 대한 부분이 상당히 중요하다. | ||
+ | |||
+ | 또한, 레코드판 유통 시절에 만들어진 스테레오 음원을 CD로 리마스터링한 것을 CD 재생 시스템으로 재생해보면 극단적인 패닝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레코드판 재생 시스템에서 해당 음반을 레코드판 시스템으로 재생해보면 상당히 정상적인 스테레오 이미지로 재생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코드판 시스템으로 재생되도록 의도된 음원을 다시 CD 음원으로 리마스터링 하는 과정에서는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youtube> | ||
+ | **극단적인 좌우 패닝이 된 Art pepper 의 음반** | ||
+ | </ | ||
+ | 이러한 음반을 레코드판 재생 시스템에서 들어보면 그렇게 어색하지 않은 패닝을 가진 음원으로 재생된다. | ||
+ | |||
+ | <WRAP info> | ||
+ | |||
+ | **Waves 의 Abbeyroad 레코드판의 크로스토크 재현**\\ | ||
+ | {{ : | ||
+ | |||
+ | Emo Generator를 통해 왼쪽 채널에만 핑크 노이즈를 입력했지만, | ||
+ | |||
+ | 위의 극단적인 패닝의 예시로 든 Art Pepper의 음반에 이 Waves Abbeyroad Vinyl 플러그인을 걸어서 들어보면 매우 흥미롭게,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youtube> | ||
+ | Gakken toy record maker |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