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amp:bass_cabine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악기:amp:bass_cabinet [2025/04/27]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악기:amp:bass_cabinet [2025/04/27] (현재) – ↷ 문서가 악기:amp:bass_amp:bass_cabinet에서 악기:amp:bass_cabinet(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베이스 캐비닛 ====== | ||
+ | |||
+ | 베이스 앰프의 원형은 Fender 사의 Bassman 앰프로부터 출발하였기 때문에, Fender Bassman 앰프의 스피커 구성이었던 1x15" | ||
+ | |||
+ | Ampeg도 비슷하지만, | ||
+ | |||
+ | ===== 스피커의 크기와 갯수 ===== | ||
+ | |||
+ | 공기의 진동으로 표현할 수 있는 저역의 대역은, 공기의 부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스피커의 움직임으로 밀고 당길 수 있는 공기의 부피가 크면 클수록 더 낮은 저역을 표현할 수 있다. 스피커의 유닛의 면적 자체가 크거나, 아니면 작은 스피커를 여러 개 사용하여 밀고 당길 수 있는 공기의 부피를 크게 만들 수 있다. | ||
+ | |||
+ | 따라서 스피커의 유닛의 지름(인치)가 크면 클수록 더 낮은 저역대의 표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스피커의 크기가 크면 자체 스피커의 무게 때문에, 스피커의 진동 제어가 힘들어서, | ||
+ | 웅 웅 거린다 | ||
+ | ))되는 양상이 보여진다. 또한 스피커 자체가 커서 고역대의 반응이 좋지 않을 수 있다. | ||
+ | |||
+ | ex.) 15인치 스피커 1개 | ||
+ | |||
+ | {{ : | ||
+ | |||
+ | 그래서 가벼운 스피커 여러 개를 이용하여 동일한 부피의 공기를 진동시킬 | ||
+ | |||
+ | ex.) 10인치 스피커 4개 | ||
+ | |||
+ | {{ : | ||
+ | |||
+ | 최근에는 각 스피커의 크기 별로 커버할 수 있는 음역대가 다르기 때문에 1x15" | ||
+ | 트위터와 우퍼에 각각 앰프를 따로 사용하여 증폭한다. | ||
+ | )) 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
+ | |||
+ | {{ 악기: | ||
+ | |||
+ | {{ youtube> | ||
+ | |||
+ | ===== 베이스 앰프 헤드와 캐비닛의 매칭 ===== | ||
+ | |||
+ | 스피커의 Watt는 AES 나 RMS 표기를 많이 하는데, 이러한 표기의 기준이 스피커를 몇 watt 의 앰프로 몇 시간을 음악이나, | ||
+ | |||
+ | 예를 들면 AES 표기는 2시간을 기준이면, | ||
+ | |||
+ | 따라서 AES 200Watt 캐비닛에 겨우 200Watt 짜리 앰프를 매칭하는 것은 앰프에 위험할 수 있다. (과열의 위험) | ||
+ | |||
+ | 하지만 대부분의 베이스 앰프 제조사들은 자사의 캐비닛과 자사의 헤드가 잘 매칭되도록, | ||
+ | |||
+ | 다만, 특별히 베이스 앰프 헤드와 캐비닛을 커스텀으로 이것 저것 따로 매칭하거나 베이스 앰프 헤드를 들고 다니면서 이런 저런 스피커에 연결 하여 사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사실 그렇게 쓰기 매우 힘들고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기타 앰프의 경우는 Marshall 캐비닛으로 거의 통일 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베이스의 경우에는 앰프 회사 마다 헤드 앰프와 캐비닛의 정격 출력 매칭이 전부 제각각이다.)) | ||
+ | |||
+ | --- // | ||
+ | |||
+ | {{tag>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