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악기:drums: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악기:drums:start [2024/01/23] – [목재] 정승환악기:drums:start [2024/05/07]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드럼====== ======드럼======
-{{:악기:drums:20240121-193918.png?400|Yamaha Recording Custom}}+<WRAP box>{{ :악기:drums:20240121-193918.png |Yamaha Recording Custom}}\\ 
 +Yamaha Recording Custom</WRAP>
  
  
 =====부위별 명칭===== =====부위별 명칭=====
  
-{{ :악기:drums:20240121-170549.png?400 | }}\\+<WRAP box>{{ :악기:drums:20240121-170549.png |Yamaha Tour custom}}\\ 
 +Yamaha Tour custom</WRAP>
  
-  * 상피(Batter head) :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어택과 디케이(트랜지언트)를 담당한다.+  * 상피(Batter head) :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어택과 감쇠(트랜지언트)를 담당한다.
   * 하피(Resonant head) :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하피(Resonant head) :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후프(Hoop) : 드럼의 상피와 하피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 후프(Hoop) : 드럼의 상피와 하피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줄 20: 줄 22:
 =====드럼 세트 구성===== =====드럼 세트 구성=====
  
-일적인 드럼 세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지만, 세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적인 드럼 세트의 구성은 다음과 같지만, 세부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 스탠다드 세트 : 22" 킥, 14" 스네어, 12" 탐, 13" 탐, 16" 플로어 탐   * 스탠다드 세트 : 22" 킥, 14" 스네어, 12" 탐, 13" 탐, 16" 플로어 탐
줄 26: 줄 28:
   * 비밥 세트 : 18" 킥, 14" 스네어, 12" 탐, 14" 플로어 탐   * 비밥 세트 : 18" 킥, 14" 스네어, 12" 탐, 14" 플로어 탐
  
-**스탠다드 세트**\\ +<WRAP box> 
-{{  :악기:drums:20240121-171538.png  }}+{{ :악기:drums:20240121-171538.png }}\\ 
 +**스탠다드 세트**</WRAP>
  
-**퓨전 세트**\\ +<WRAP box> 
-{{  :악기:drums:20240121-171622.png  }}+{{ :악기:drums:20240121-171622.png }}\\ 
 +**퓨전 세트**</WRAP>
  
-**비밥 세트**\\ +<WRAP box> 
-{{  :악기:drums:20240121-171423.png  }}+{{ :악기:drums:20240121-171423.png }}\\ 
 +**비밥 세트**</WRAP>
  
 =====셸===== =====셸=====
 +
 +드럼의 톤은 기음과 오버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셸의 사이즈와 두께에 따라 톤의 기음이 결정된다. 드럼의 헤드도 셸의 기음에 맞춰서 조율하게 되며 드럼의 튜닝폭도 이 기음을 중심으로 결정된다.
  
 ====셸 사이즈==== ====셸 사이즈====
줄 78: 줄 85:
   * {{:악기:drums:20240121-182921.png}}   * {{:악기:drums:20240121-182921.png}}
   * 버치(Birch) : 메이플 보다 고음역대에서 선명한 톤을 가지고 있으며, 울림이 절제되어 있는 편이다.((메이플에 비교하면 짧은 서스테인))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며 내구도는 메이플보다 높다.   * 버치(Birch) : 메이플 보다 고음역대에서 선명한 톤을 가지고 있으며, 울림이 절제되어 있는 편이다.((메이플에 비교하면 짧은 서스테인))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며 내구도는 메이플보다 높다.
-  * {{:악기:drums:20240121-182954.png}} +  * {{:악기:drums:20240121-182954.png}}   
-  * 비치(Beech) : 메이플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거나 살짝 무겁고 내구도는 메이플과 비슷하다. 메이플보다 살짝 저렴하여 메이플의 대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  * 마호가니(Mahogany) : 저음역대가 풍부하며 전체적으로 소리가 빈티지하고 따듯하며 부드럽다. 서스테인은 버치와 비슷하게 짧은 편이다
-  * {{:악기:drums:20240121-183009.png}} +
-  * 마호가니(Mahogany) : 저음역대가 풍부하며 전체적으로 소리가 빈티지하고 따듯하며 부드럽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기 시작한 재료이다.+
   * {{:악기:drums:20240121-183149.png}}   * {{:악기:drums:20240121-183149.png}}
   * 오크(Oak) : 메이플,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내구도가 굉장히 튼튼하지만 무게가 무겁다.   * 오크(Oak) : 메이플,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내구도가 굉장히 튼튼하지만 무게가 무겁다.
   * {{:악기:drums:20240121-183101.png}}   * {{:악기:drums:20240121-183101.png}}
 +  * 비치(Beech) : 메이플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거나 살짝 무겁고 내구도는 메이플과 비슷하다. 메이플보다 살짝 저렴하여 메이플의 대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  * {{:악기:drums:20240121-183009.png}}
   * 포플러(Popler)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살짝 약하고 원가가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포플러(Popler)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살짝 약하고 원가가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악기:drums:20240121-183227.png}}   * {{:악기:drums:20240121-183227.png}}
줄 91: 줄 98:
  
 {{ youtube>PxlYNe3TytI?large }}\\ {{ youtube>PxlYNe3TytI?large }}\\
 +
 +{{ youtube>SPUIRo_uWg0?large }}\\
  
  
줄 117: 줄 126:
   * Stave : 여러개의 작은 나무 패널을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   * Stave : 여러개의 작은 나무 패널을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
   * {{:악기:drums:20240121-174010.png?300}}   * {{:악기:drums:20240121-174010.png?300}}
-  * Segmented : 여러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가로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  * Segmented : 여러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가로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youtube>irGgmTdbbng?}}))
   * {{:악기:drums:20240121-174408.png?300}}   * {{:악기:drums:20240121-174408.png?300}}
-  * Steam Bented : 긴 나무판자에 증기를 쐬어 둥그렇게 굽혀서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고 나무에 변형이 올 수 있다.+  * Steam Bented : 긴 나무판자에 증기를 쐬어 둥그렇게 굽혀서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고 나무에 변형이 올 수 있다.(({{youtube>tyFPlwM3XmM?}}))
   * {{:악기:drums:20240121-175016.png?300}}   * {{:악기:drums:20240121-175016.png?300}}
   * Solid : 통나무를 외부와 내부를 파내어 원통형으로 조각하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 Solid : 통나무를 외부와 내부를 파내어 원통형으로 조각하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줄 132: 줄 141:
 =====헤드===== =====헤드=====
    
-오늘날 대부분의 드럼 헤드는 마일러(Mylar)라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드럼의 상피(Batter head)는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어택과 디케이(트랜지언트)을 담당하고, 하피(Resonant head)는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오늘날 대부분의 드럼 헤드는 마일러(Mylar)라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드럼의 상피(Batter head)는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어택과 감쇠(트랜지언트)을 담당하고, 하피(Resonant head)는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투명피 : 일반적인 드럼 피. 가장 보편적인 플랫한 사운드를 낸다.    * 투명피 : 일반적인 드럼 피. 가장 보편적인 플랫한 사운드를 낸다. 
   * 코팅피 : 드럼의 표면에 흰색 코팅을 도포하여 고음역대가 따뜻한 사운드를 낸다.   * 코팅피 : 드럼의 표면에 흰색 코팅을 도포하여 고음역대가 따뜻한 사운드를 낸다.
   * 얇은피 : 밝고 빠른 반응의 사운드를 낸며 울림이 길다.   * 얇은피 : 밝고 빠른 반응의 사운드를 낸며 울림이 길다.
-  * 두꺼운피 : 플랫한 사운드를 내며 어택음이 뚜렷하며 디케이가 빨리 사라진다. +  * 두꺼운피 : 플랫한 사운드를 내며 어택음이 뚜렷하며 감쇠가 빨리 사라진다. 
   * 이중피 : 억제된 톤을 가지고 있고, 서스테인이 짧다.    * 이중피 : 억제된 톤을 가지고 있고, 서스테인이 짧다. 
   * Muffled : 피의 테두리에 또 다른 테두리를 겹친 피   * Muffled : 피의 테두리에 또 다른 테두리를 겹친 피
- 
-=====스네어===== 
- 
-스네어는 작은 북에 스네어 와이어라 불리는 떨리는 부품을 달아 일반 북과는 다른 소리를 내도록 만들어졌습니다. 
- 
-{{:악기:drums:20240121-214300.png}} 
- 
-====부위별 명칭==== 
-  * 스트레이너(Strainer) : 스네어 와이어를 팽팽하게 잡아당기기 위한 장치. 
-  * 스네어 와이어(Snare wire) : 스네어의 피에 붙어 철사의 진동음을 만들어내는 장치. 
-  * 상피(Batter head) :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어택과 디케이(트랜지언트)를 담당한다. 
-  * 하피(Resonant head) :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 후프(Hoop) : 드럼의 상피와 하피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  * 텐션 로드(Tension Rod) : 드럼의 후프를 드럼의 셸에 장착된 러그에 조이고 드럼의 피를 튜닝하기 위한 부품이다. 
-  * 러그(Lug) : 드럼의 텐션 로드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  * 셸(Shell) : 드럼의 전체적인 바디를 담당하는 원통형의 부품이다. 
-  * 벤트 홀(Vent hole) : 드럼을 타격했을 때의 순간적인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작은 구멍 
- 
-{{ :악기:drums:20240122-022335.png |https://hub.yamaha.com/drums/anatomy-of-a-snare-drum/}}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악기/drums/start.170600928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1/2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