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drums: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악기:drums:start [2024/06/26] – [셸 두께] 정승환 | 악기:drums:start [2025/01/2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9: | 줄 9: | ||
Yamaha Tour custom</ | Yamaha Tour custom</ | ||
- | * 상피(Batter head) :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 + | * 상피(Batter head) : 드럼이 스틱으로 연주되는 상단에 사용하며 드럼의 |
* 하피(Resonant head) :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 하피(Resonant head) : 드럼 하단에 사용되어 울림과 서스테인을 담당한다. | ||
* 후프(Hoop) : 드럼의 상피와 하피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 * 후프(Hoop) : 드럼의 상피와 하피를 드럼의 셸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다. | ||
줄 83: | 줄 83: | ||
===목재=== | ===목재=== | ||
* 메이플(Maple) : 전체적으로 플랫한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저음역대 음색도 충분히 나온다. 울림이 좋은 편이다. 무게가 가볍고 굉장히 튼튼하다. | * 메이플(Maple) : 전체적으로 플랫한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저음역대 음색도 충분히 나온다. 울림이 좋은 편이다. 무게가 가볍고 굉장히 튼튼하다. | ||
- | * {{: | + | {{ : |
* 버치(Birch) : 메이플 보다 고음역대에서 선명한 톤을 가지고 있으며, 울림이 절제되어 있는 편이다.((메이플에 비교하면 짧은 서스테인))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며 내구도는 메이플보다 높다. | * 버치(Birch) : 메이플 보다 고음역대에서 선명한 톤을 가지고 있으며, 울림이 절제되어 있는 편이다.((메이플에 비교하면 짧은 서스테인))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며 내구도는 메이플보다 높다. | ||
- | * {{: | + | {{ : |
* 마호가니(Mahogany) : 저음역대가 풍부하며 전체적으로 소리가 빈티지하고 따듯하며 부드럽다. 서스테인은 버치와 비슷하게 짧은 편이다 | * 마호가니(Mahogany) : 저음역대가 풍부하며 전체적으로 소리가 빈티지하고 따듯하며 부드럽다. 서스테인은 버치와 비슷하게 짧은 편이다 | ||
- | * {{: | + | {{ : |
* 오크(Oak) : 메이플,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내구도가 굉장히 튼튼하지만 무게가 무겁다. | * 오크(Oak) : 메이플,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내구도가 굉장히 튼튼하지만 무게가 무겁다. | ||
- | * {{: | + | {{ : |
* 비치(Beech) : 메이플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거나 살짝 무겁고 내구도는 메이플과 비슷하다. 메이플보다 살짝 저렴하여 메이플의 대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 * 비치(Beech) : 메이플과 상당히 유사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무게는 메이플과 비슷하거나 살짝 무겁고 내구도는 메이플과 비슷하다. 메이플보다 살짝 저렴하여 메이플의 대체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 ||
- | * {{: | + | {{ : |
* 포플러(Popler)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살짝 약하고 원가가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 포플러(Popler)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살짝 약하고 원가가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
- | * {{: | + | {{ : |
* 베이스우드(Basswood)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하고 원가가 가장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 베이스우드(Basswood) : 메이플과 버치와 비슷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볍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하고 원가가 가장 저렴하다.((나무가 빠르게 자란다.)) | ||
- | * {{: | + | {{ : |
- | {{ youtube> | + | {{ youtube> |
- | {{ youtube> | + | {{ youtube> |
줄 107: | 줄 107: | ||
* 강철(Steel) : 서스테인이 길고 밟은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소리가 매우 크다. 튀어나오는 림샷 소리를 가지고 있다. | * 강철(Steel) : 서스테인이 길고 밟은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소리가 매우 크다. 튀어나오는 림샷 소리를 가지고 있다. | ||
- | * {{: | + | {{ : |
* 브라스(Brass) : 나무보다 밝은 음색을 가지고 있고 큰 음량을 가지고 있다. | * 브라스(Brass) : 나무보다 밝은 음색을 가지고 있고 큰 음량을 가지고 있다. | ||
- | * {{: | + | {{ : |
* 알루미늄(Aluminium) : 스틸과 비슷한 정도의 밝은 음색을 지니고 있지만, 서스테인이 매우 짧다. | * 알루미늄(Aluminium) : 스틸과 비슷한 정도의 밝은 음색을 지니고 있지만, 서스테인이 매우 짧다. | ||
- | * {{: | + | {{ : |
* 구리(Copper) : 브라스나 스틸보다 다크하고 따스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오케스트라 타악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질이다. | * 구리(Copper) : 브라스나 스틸보다 다크하고 따스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오케스트라 타악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재질이다. | ||
- | * {{: | + | {{ : |
* 청동(Bronze) : 청동은 주로 심벌에 사용되는 재질로 유명하다. 브라스나 스틸보다 따스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더 절제되고 깔끔한 사운드를 낸다. 가장 비싼 재료이다. | * 청동(Bronze) : 청동은 주로 심벌에 사용되는 재질로 유명하다. 브라스나 스틸보다 따스한 음색을 가지고 있고, 더 절제되고 깔끔한 사운드를 낸다. 가장 비싼 재료이다. | ||
- | * {{: | + | {{ : |
- | {{ youtube> | + | {{ youtube> |
줄 123: | 줄 123: | ||
* Plywood : 여러겹의 얇은 나무판을 원형 몰드 안에 겹쳐 붙여서 만드는 방법,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작 기법이다. | * Plywood : 여러겹의 얇은 나무판을 원형 몰드 안에 겹쳐 붙여서 만드는 방법,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작 기법이다. | ||
- | * {{: | + | {{ : |
* Stave : 여러개의 작은 나무 패널을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 | * Stave : 여러개의 작은 나무 패널을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 | ||
- | * {{: | + | {{ : |
* Segmented : 여러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가로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youtube> | * Segmented : 여러개의 작은 나무 조각을 가로 세로로 이어 붙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다.(({{youtube> | ||
- | * {{: | + | {{ : |
* Steam Bented : 긴 나무판자에 증기를 쐬어 둥그렇게 굽혀서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고 나무에 변형이 올 수 있다.(({{youtube> | * Steam Bented : 긴 나무판자에 증기를 쐬어 둥그렇게 굽혀서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제작하기 어렵고 나무에 변형이 올 수 있다.(({{youtube> | ||
- | * {{: | + | {{ : |
* Solid : 통나무를 외부와 내부를 파내어 원통형으로 조각하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 * Solid : 통나무를 외부와 내부를 파내어 원통형으로 조각하여 셸 형태를 만드는 방법, 가격이 매우 비싸진다. | ||
- | * {{: | + | {{ : |
- |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나무 본연의 소리가 난다는 평이다.((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접착제를 점점 덜 사용하게 된다.)) | + |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
====셸 베어링 엣지==== | ====셸 베어링 엣지==== | ||
줄 145: | 줄 145: | ||
* 투명피 : 일반적인 드럼 피. 가장 보편적인 플랫한 사운드를 낸다. | * 투명피 : 일반적인 드럼 피. 가장 보편적인 플랫한 사운드를 낸다. | ||
* 코팅피 : 드럼의 표면에 흰색 코팅을 도포하여 고음역대가 따뜻한 사운드를 낸다. | * 코팅피 : 드럼의 표면에 흰색 코팅을 도포하여 고음역대가 따뜻한 사운드를 낸다. | ||
- | * 얇은피 : 밝고 빠른 반응의 사운드를 | + | * 얇은피 : 밝고 빠른 반응의 사운드를 |
- | * 두꺼운피 : 플랫한 사운드를 내며 어택음이 뚜렷하며 감쇠가 | + | * 두꺼운피 : 플랫한 사운드를 내며 어택음이 뚜렷하며 |
* 이중피 : 억제된 톤을 가지고 있고, 서스테인이 짧다. | * 이중피 : 억제된 톤을 가지고 있고, 서스테인이 짧다. | ||
* Muffled : 피의 테두리에 또 다른 테두리를 겹친 피 | * Muffled : 피의 테두리에 또 다른 테두리를 겹친 피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악기/drums/start.17194035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6/26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