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piano:triple_senso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악기:piano:triple_sensor [2022/02/12] – ↷ 문서가 1_악기:piano:triple_sensor에서 악기:piano:triple_sensor(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 | 악기:piano:triple_sensor [2025/01/2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3: | 줄 3: | ||
보통 MIDI를 이용한 건반의 입력 강도(Velocity)측정에는 2개의 센서를 통한 시간차이를 계산하게 되지만, 센서를 하나 더 넣어서 음이 끝나는 시점에 대한 정보까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 보통 MIDI를 이용한 건반의 입력 강도(Velocity)측정에는 2개의 센서를 통한 시간차이를 계산하게 되지만, 센서를 하나 더 넣어서 음이 끝나는 시점에 대한 정보까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 ||
- | 좀더 건반의 반응성이 실제 피아노와 유사해지게 된다.(레가토와 스타카토의 구분이 명확해짐) | + | 좀더 건반의 반응성이 실제 피아노와 유사해지게 된다. |
- | 트리플 센서가 적용된 건반의 경우에 연주감이 실제 피아노의 연주감과 유사해지고 연주도 상당히 리얼해진다. | + | |
- | {{:1_악기: | + | 레가토와 스타카토의 구분이 명확해지기 때문에 하나의 음을 빠르게 반복 연주하는 경우 음이 스타카토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음의 타건이 가능하여 빠르게 음을 반복 연주하는 트릴 표현이 명확하게 된다. 만약 트리플 센서가 아닌 경우에는 스타카토의 표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시 건반이 눌려도 이미 해당 건반의 음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다시 건반 눌른 소리가 나지 않게 되어 빠른 트릴 표현이 되기 힘들다. |
+ | |||
+ | {{ youtube> | ||
+ | |||
+ | 레가토와 스타카토의 표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실제 피아노의 연주감과 유사해지고 연주 표현도 상당히 리얼해진다.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악기/piano/triple_sensor.16446460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02/12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