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악기:synthesizer:additive: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악기:synthesizer:additive:start [2024/03/16]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악기:synthesizer:additive:start [2024/04/17]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가산합성======
 +
 +**Additive synthesis**
 +
 +푸리에의 정리에 따르면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음색은 순정파(Pure tone)의 복잡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대로 수많은 순정파를 생성해내서 더하는 방식으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복잡한 음색(Complex tone)을 합성할 수 있다.
 +
 +<WRAP group>
 +<WRAP half column>{{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5425.png }}</WRAP>
 +<WRAP half column>{{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4031.png }}</WRAP>
 +</WRAP>
 +
 +이러한 수많은 다양한 순정파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여러개의 오실레이터(VCO)의 소리를 가산하여 음색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가산 합성 신디사이저라고 한다.
 +
 +{{indexmenu>유저위키:신디사이저:additive#2}}
 +
 +=====Telharmonium=====
 +
 +이와 같은 순정음의 가산합성 방식의 아이디어는 이미 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던 파이프 오르간들에서 구현되고 있었으나, 전자 악기로의 최초의 구현은 텔하모니움이라는 악기였다.
 +
 +{{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4242.png }}\\
 +
 +텔하모니움은 건반에 연결된 수많은 톤휠이 각각 톤휠 사이즈에 맞는 순정음들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톤휠들의 순정음을 가산 합성함으로써 복합음(Complex Tone)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
 +{{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4340.png }}\\
 +
 +{{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4351.png }}\\
 +
 +텔하모니움은 큰 크기 덕에 널리 사용되는 악기가 되지는 못했지만, 이러한 가산 합성 방식과 파이프 오르간의 작동 원리와 아이디어는 후에 전자 오르간의 기반이 된다. 
 +
 +{{ :악기:synthesizer:addictive:20230310-114528.png }}\\
 +
 +
 +
 +
 +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