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악기:synthesizer:sampl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악기:synthesizer:sampler [2024/03/18] 정승환악기:synthesizer:sampler [2025/05/07]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
줄 1: 줄 1:
 ======샘플러====== ======샘플러======
  
-샘플러는 임의의 소리를 기록하고 디지털화하여 이를 소스(오실레이터나 다른 웨이브폼 생성 회로를 대신에)로 사용하는 신디사이저입니다. 샘플러는 녹음된 소리를 피치쉬프트하여 키보드에서 연주된 음에 해당하는 소리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말하는 단어, 자동차 엔진,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비음악적인 소리도 연주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샘플러에 기록된 첫 번째 샘플은 개짖는 소리였습니다.)+샘플러는 임의의 소리를 기록하고 디지털화하여 이를 소스(오실레이터나 다른 웨이브폼 생성 회로를 대신에)로 사용하는 신디사이저입니다. 샘플러는 녹음된 소리를 피치쉬프트하여 키보드에서 연주된 음에 해당하는 소리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말하는 단어, 자동차 엔진, 냄비, 프라이팬 등과 같은 비음악적인 소리도 음계로 연주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샘플러에 기록된 첫 번째 샘플은 개짖는 소리였습니다.)
  
-최초의 샘플러는 소리를 단순히 녹음하고 재생하는 데 그친 기능만을 갖췄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샘플러는 보통 다른 신사이저와 동일한 구성 요소(VCF, VCA 등)를 대부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 샘플링 기술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샘플의 일부 또는 전체를 루핑하여 무한히 지속 가능한 음 또는 반복되는 구절을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고급 샘플러는 루프를 앞뒤로 재생하거나, 공격지속 또는 릴리스에 다른 샘플을 사용((릴리즈 트리거))하거나, 루프의 다른 부분에 다른 처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고급 기능으로는 샘플의 블록을 잘라내거나 병합하고, 샘플에 시간, 주파수 및 포먼트 쉬프팅을 적용하거나, 파형을 그래픽으로 그리거나 편집하는 능력 등이 있습니다.+최초의 샘플러는 소리를 단순히 녹음하고 재생하는 데 그친 기능만을 갖췄습니다. 그러나 현대의 샘플러는 보통 다른 신사이저와 동일한 구성 요소(VCF, VCA 등)를 대부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 샘플링 기술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는 샘플의 일부 또는 전체를 루핑하여 무한히 지속 가능한 음 또는 반복되는 프레이즈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고급 샘플러는 루프를 앞뒤로 재생하거나, 어택서스테인 또는 릴리스에 다른 샘플을 사용하거나, 루프의 다른 부분에 다른 이펙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고급 기능으로는 샘플의 블록을 잘라내거나 병합하고, 샘플에 시간, 주파수 및 포먼트 쉬프팅을 적용하거나, 파형을 그래픽으로 그리거나 편집하는 능력 등이 있습니다.
  
-{{indexmenu>유저위키:신디사이저:sampler}}+{{topic>엔진:샘플러}}
  
 =====History===== =====History=====
  
-페어라트 CMI는 초기 샘플링 합성기였지만, 사실상 샘플러로서 디자인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초기 샘플링 합성기는 웨이브테이블 기반 샘플 기반 합성을 사용했습니다.+[[instrument_wiki:신디사저:fairlight:cmi|Fairlight CMI]]는 샘플링이 가능한 신디사이저였지만, 사실상 샘플러로서 디자인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러한 초기 샘플링 신디사이저는 웨이브테이블 기을 사용했습니다.
  
-1980년대 이후로, 샘플러는 디지털 샘플링을 위해 펄스 코드 변조(PCM)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PCM 디지털 샘플러는 일본의 일련의 전자 음악 밴드인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를 위해 1981년 엔지니어 Kenji Murata가 만든 Toshiba의 LMD-649였습니다. LMD-649는 12bit 심도와 50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PCM 샘플을 재생하고 녹음하며, 128KB의 RAM에 저장했습니다. LMD-649은 이외에도 1980년대 초반에 Chiemi Manabe 및 Logic System과 같은 다른 일본 신스팝 아티스트들이 사용했습니다.+1980년대 이후로, 샘플러는 디지털 샘플링을 위해 펄스 코드 변조(PCM)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PCM 디지털 샘플러는 일본의 전자 음악 밴드인 YMO(Yellow magic orchestra)를 위해 1981년 엔지니어 Kenji Murata가 만든 Toshiba의 LMD-649였습니다. LMD-649는 12bit 심도와 50kHz 샘플링레이트에서 PCM 샘플을 재생하고 녹음하며, 128KB의 RAM에 저장했습니다. LMD-649은 이외에도 1980년대 초반에 Chiemi Manabe 및 Logic System과 같은 일본 신스팝 아티스트들이 사용했습니다.
  
-특별히 샘플러로서 설계된 최초의 신디사이저는 E-MU Emulator습니다.+본격적인 샘플러로서 설계된 최초의 신디사이저는 [[instrument_wiki:신디사이저:e-mu:emulator|E-MU Emulator]]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E-MU는 자신들의 기술을 일종의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저라고 생각했습니다.)) 
 + 
 +{{tag>샘플}}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악기/synthesizer/sampler.17107134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