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악기:synthesizer:subtractive:vco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악기:synthesizer:subtractive:vco [2024/03/13] 정승환악기:synthesizer:subtractive:vco [2024/03/28]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indexmenu_n>1}}
 ======VCO======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발진기**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 제어 발진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는 입력된 제어 전압에 따라 출력 주파수가 결정되는 오실레이터입니다. VCO는 모든 현대 신디사이저에서 중요한 부품으로, 대부분의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에서 주요한 음색 소스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VCO는 후속 필터링에 의해 여러 다른 음색을 얻을 수 있는 고조파가 포함된 파형을 출력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라이앵글 파형, 톱니 파형 및 펄스 파형(주로 제어 전압에 따라 펄스 폭을 변조)을 사용합니다. 종종 배음이 없는 사인 파형도 사용되며, 이는 다른 파형을 보강하거나 부가적인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파형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전압 제어 오실레이터(VCO)는 입력된 제어 전압에 따라 출력 주파수가 결정되는 오실레이터입니다. VCO는 모든 현대 신디사이저에서 중요한 부품으로, 대부분의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에서 주요한 음색 소스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VCO는 후속 필터링에 의해 여러 다른 음색을 얻을 수 있는 배음이 포함된 파형을 출력합니다. 일반적으로 트라이앵글 파형, 톱니 파형 및 펄스 파형(주로 제어 전압에 따라 펄스 폭을 변조)을 사용합니다. 종종 배음이 없는 사인 파형도 사용되며, 이는 다른 파형을 보강하거나 부가적인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파형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본 아날로그 VCO는 코어 주위에 구축되며, 이 코어는 하나의 파형을 생성합니다. 웨이브 쉐이핑 회로는 다른 파형을 생성합니다.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코어 회로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유형은 톱니 파형을 생성하는 것이며, 대체로 트라이앵글 파형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인 파형의 정확한 고조파 내용에는 종종 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두 유형의 특성을 다르게 합니다.+기본 아날로그 VCO는 코어 주위에 구축되며, 이 코어는 하나의 파형을 생성합니다. 웨이브 쉐이핑 회로는 다른 파형을 생성합니다. 두 가지 기본 유형의 코어 회로가 있습니다. 가장 흔한 유형은 톱니 파형을 생성하는 것이며, 대체로 트라이앵글 파형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인 파형의 정확한 배음 성분에는 종종 미묘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두 유형의 특성을 다르게 합니다.
  
-음악적인 옥타브는 지수적인 현상이므로 대부분의 VCO에는 제어 전압 입력 회로에 지수 변환기가 포함됩니다. 이 변환기는 입력된 제어 전압에 대한 옥타브 응답을 제공하여 입력된 전압의 어느 정도 증가가 출력 주파수를 한 옥타브 변경하게 만들고, 이는 VCO의 스케일링 범위 내에서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아날로그 VCO는 약 5옥타브 범위에서 적절하게 스케일링됩니다. 1볼트/옥타브는 모든 현대 및 대부분의 빈티지 장비에서 사용되는 산업 표준입니다. 일부 VCO, 특히 초기 Yamaha 및 Korg 장비의 경우 지수 변환기가 없으므로 제어 전압 입력이 주파수/Hz 응답을 생성하며, 이는 음악적인 옥타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음악적인 옥타브는 지수적인 현상이므로 대부분의 VCO에는 제어 전압 입력 회로에 지수 변환기가 포함됩니다. 이 변환기는 입력된 제어 전압에 대한 옥타브 응답을 제공하여 입력된 전압의 어느 정도 증가가 출력 주파수를 한 옥타브 변경하게 만들고, 이는 VCO의 스케일링 범위 내에서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아날로그 VCO는 약 5옥타브 범위에서 적절하게 스케일링됩니다. 1Volt/옥타브는 모든 현대 및 대부분의 빈티지 장비에서 사용되는 산업 표준입니다. 일부 VCO, 특히 초기 Yamaha 및 Korg 장비의 경우 지수 변환기가 없으므로 제어 전압 입력이 주파수/Hz 응답을 생성하며, 이는 음악적인 옥타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제어 오실레이터(DCO)는 오디오 신호 경로가 여전히 아날로그이지만 주파수가 디지털 타이밍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되는 오실레이터입니다. 
- 
-=====파형===== 
- 
-**Waveform** 
- 
-====Sawtooth wave==== 
- 
-최소값에서 최대값(또는 그 반대)까지 직선으로 상승한 후 시작 값으로 돌아가는 파형입니다. 결과물은 톱니 모양의 이빨과 같아 보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파형의 배음 분석에 따르면, 일반적인 VCO에서 생성되는 다른 파형과는 달리 상당한 양의 짝수 배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청취 결과는 색소폰이나 목관악기와 약간 비슷한 소리입니다. 
- 
-====Pulse wave==== 
- 
-번갈아가며 수평 중앙선 위와 아래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나는 파형입니다. 수평 중앙선 위와 아래의 상대적인 폭은 파형의 배음 컨텐츠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파형에 포함된 짝수 배음의 양에 관련이 있습니다. 상대적인 폭은 주로 파형이 수평 중앙선 위에 있는 시간의 백분율로 표현되며, 이것을 임무주기(duty cycle)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75%의 임무주기는 파형이 수평 중앙선 위에 있을 시간의 3/4이고 수평 중앙선 아래에 있을 시간의 1/4임을 의미합니다. 10%의 임무주기는 수평 중앙선 위의 매우 좁은 부분이고 나머지 시간은 수평 중앙선 아래에 있습니다. 상단 및 하단 부분이 같은 폭인 50%의 임무주기는 보통 정사각파(square wave)로 불립니다. 임무주기가 50%에서 멀어질수록(어느 쪽으로든) 짝수 배음 컨텐츠의 비율이 증가합니다. 
-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많은 VCO들은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추가 CV 입력으로 구현합니다. 
- 
-====Square wave==== 
- 
-수평 중앙선을 기준으로 번갈아가며 직사각형으로 나타나는 파형입니다. 정사각파로 인정되려면 수평 중앙선 위와 아래의 직사각형이 동일한 폭이어야 합니다. 정사각파의 고조파 분석 결과, 삼각파와 마찬가지로 짝수 배음이 없으며, 그러나 홀수 배음(특히 3번째, 5번째 및 7번째)이 삼각파보다 훨씬 두드러집니다. 원시적인 정사각파의 소리는 코를 막은 채로 노래하는 것과 유사한 비음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Sine wave==== 
- 
-Fourier 이론의 의미에서 "순수"한 파형으로, 모든 가능한 파형이 구성 사인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사인파에 필터를 적용하면 필터 매개 변수에 따라 진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외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필터는 오버톤을 변경하여 사인파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오버톤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사인파는 감산 합성 방식에는 그다지 유용하지 않습니다. 사인파는 그 자체로 듣기에는 그다지 흥미로운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가산 합성 방식에서는 사인파를 결합하여 더 복잡한 파형을 만듭니다. 감산 합성 방식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본 파형은 삼각파, 펄스파, 톱니파입니다. 
- 
-감산 합성 방식과는 반대로, FM 합성 방식에서는 주로 사인파를 사용합니다. 
- 
-====Triangle wave==== 
- 
-동일한 기울기의 오르내림이 있는 일련의 직선으로 나타나는 파형입니다. 기준 부분이 없는 삼각형 또는 지붕 뾰족한 부분처럼 보입니다. 배음 콘텐츠 측면에서, 삼각파는 강한 기본음과 훨씬 약하고 급격히 감소하는 홀수 배음 가지고 있습니다(정사각파보다 훨씬 많이). 짝수 배음은 없습니다. 순수한 삼각파는 날카로우며 얇은 소리를 내뿜습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악기/synthesizer/subtractive/vco.17102695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1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