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오디오_미신:오디오_품질은_전원_극성의_영향을_받는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오디오_미신:오디오_품질은_전원_극성의_영향을_받는다 [2024/03/08] – [말도 안되는 오해는 왜 생기는가?] 정승환오디오_미신:오디오_품질은_전원_극성의_영향을_받는다 [2024/03/11]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말도 안되는 개헛소리입니다.** **말도 안되는 개헛소리입니다.**
  
-일단 우리나라의 교류 전기는 극성 구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한쪽은 라이브선(실제로 교류 전기가 있는 부분). 다른쪽은 중성선(0V), 그리고 나머지 그라운드(접지) 부분으로 3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일단 우리나라의 교류 전기는 극성 구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한쪽은 라이브선(실제로 교류 전기가 있는 부분). 다른쪽은 중성선(0V), 그리고 나머지 그라운드(접지) 부분으로 3개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검정과 흰색만 있다면 L상:검정,N(중성선): 흰색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선규정이 개정되어 22년부터 지어지는 집은 L상: 갈색, N선(중성선): 파랑, 접지선: 녹색+흰색 으로 깔리게 될 것입니다.))
  
 오디오 기기는 이미 진공관 시대부터 DC(직류)를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즉 교류 전기를 파워 서플라이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오디오 기기는 이미 진공관 시대부터 DC(직류)를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즉 교류 전기를 파워 서플라이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줄 11: 줄 11:
 정류 회로는 다이오드를 링 형태로 구성한 회로로 입력이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던 상관없이 극성 구분 자체가 없습니다. 정류 회로는 다이오드를 링 형태로 구성한 회로로 입력이 어느 방향으로 들어오던 상관없이 극성 구분 자체가 없습니다.
  
-{{:음향:electric_circuit:powersupply:20220914-143244.png}}+{{ :음향:electric_circuit:powersupply:20220914-143244.png }}
  
-{{:음향:electric_circuit:powersupply:20220915-193239.png}}+{{ :음향:electric_circuit:powersupply:20220915-193239.png }}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라이브선, 중성선이 들어오는 것에 아무 상관없이 **정류** 작용을 하게 됩니다.+따라서어느 방향으로 라이브선, 중성선이 들어오는 것에 아무 상관없이 **정류** 작용을 하게 됩니다.
  
 =====말도 안되는 오해는 왜 생기는가?===== =====말도 안되는 오해는 왜 생기는가?=====
줄 23: 줄 23:
 {{ :오디오_미신:20240308-182120.png }} {{ :오디오_미신:20240308-182120.png }}
  
-또 일본이 등장해서 좀 그렇지만, 아마 일본에서 음향을 배우고 오신분들이 거기서 배운대로 하시는 말씀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왜? 인지는 모르고 말을 하는 것니다.+또 일본이 등장해서 좀 그렇지만, 아마 일본에서 음향을 배우고 오신분들이 거기서 배운대로 하시는 말씀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왜? 인지는 모르고 그런 말을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전기 형식 승인===== =====전기 형식 승인=====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오디오_미신/오디오_품질은_전원_극성의_영향을_받는다.170989022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