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 [2024/02/19] – 정승환 | 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 [2024/12/31]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 + | ======? |
=====A/D 나 D/A 컨버터의 노이즈 플로어의 정체===== | =====A/D 나 D/A 컨버터의 노이즈 플로어의 정체===== | ||
줄 5: | 줄 5: | ||
A/D 컨버터나 D/A 컨버터의 노이즈 플로어의 정체는 바로 | A/D 컨버터나 D/A 컨버터의 노이즈 플로어의 정체는 바로 | ||
기판 자체의 화이트 노이즈와, | 기판 자체의 화이트 노이즈와, | ||
- | 워드클럭의 품질에 따라 이것은 서로 다른 형태의 노이즈 결과물을 보여주게 됩니다. | + | 워드 클럭의 품질에 따라 이것은 서로 다른 형태의 노이즈 결과물을 보여주게 됩니다. |
{{오디오_미신: | {{오디오_미신: | ||
줄 11: | 줄 11: | ||
이러한 노이즈의 발현 양상의 차이로 소리가 클럭 교체로 충분히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노이즈의 발현 양상의 차이로 소리가 클럭 교체로 충분히 다르게 들릴 수 있습니다. | ||
결국 비싸고 좋은 클럭이 당연히 좋기야 하겠지만 -120dBFS 이하 에서 벌어지는 현상임...을 감안할 수 있습니다..결국 모니터링 환경도 좋아야 느껴지는 일이라는 것이고, 청취하는 환경에서는 도움이 되겠지만, | 결국 비싸고 좋은 클럭이 당연히 좋기야 하겠지만 -120dBFS 이하 에서 벌어지는 현상임...을 감안할 수 있습니다..결국 모니터링 환경도 좋아야 느껴지는 일이라는 것이고, 청취하는 환경에서는 도움이 되겠지만, | ||
- | 일부 Yamaha 믹싱 콘솔처럼 , 원래 부터 지터로 인한 노이즈 플로어가 높은 케이스(컨버터에서) 는 워드클럭으로 인한 음질 향상은 분명 있다고 볼 수 있구요 | + | 일부 |
- | 요즘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에서 좋다고 광고하는 괜찮은 워드클럭이 이미 내장되어 있는 경우엔 쓸대 없는 짓이 될 수도 있구요. | + | 요즘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에서 좋다고 광고하는 괜찮은 워드 클럭이 이미 내장되어 있는 경우엔 쓸대 없는 짓이 될 수도 있구요. |
줄 18: | 줄 18: | ||
====지터링==== | ====지터링==== | ||
- | 그러면 여기서 이상하다 지터가 왜 발생하죠 ? 하는 의문이 충분히 들 수 있는데요 우리의 일반적인 가청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만 컨버팅 하는 과정 에선 지터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디지털 전송에서는 워드클럭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그때 지터가 발생하면서 아예 " | + | 그러면 여기서 이상하다 지터가 왜 발생하죠 ? 하는 의문이 충분히 들 수 있는데요 우리의 일반적인 가청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만 컨버팅 하는 과정 에선 지터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디지털 전송에서는 워드 클럭 동기화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그때 지터가 발생하면서 아예 " |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로 연결된 기기간의 Master, Slave의 설정(Clock Internal, Clock External)만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금방 해결되고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이러한 현상은 디지털로 연결된 기기간의 Master, Slave의 설정(Clock Internal, Clock External)만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금방 해결되고 발생하지 않습니다. | ||
- | 지터링 현상은 때로는 [[음향:daw: | + | 지터링 현상은 때로는 [[steinberg: |
====지터 노이즈==== | ====지터 노이즈==== | ||
- | | + | |
아래에는 여러가지 오디오 플레이어들의 노이즈 플로어와 지터 노이즈 플로어를 비교 측정한 그래프 입니다. | 아래에는 여러가지 오디오 플레이어들의 노이즈 플로어와 지터 노이즈 플로어를 비교 측정한 그래프 입니다. | ||
줄 41: | 줄 41: | ||
=====오버샘플링 기술===== | =====오버샘플링 기술===== | ||
- | 오버 샘플링이 왜 필터 기술의 일종이라는 표현을 하는가 하면, 바로 안티엘리어싱 필터 의 기술의 카테고리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안티엘리어싱 필터 는 아날로그 필터 이고 높은 차수의 기울기를 쓰기가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필터의 기울기를 급격하게 만들면 위상 변이도 많아지고 노이즈 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필터의 차수를 높히는 대신, 그냥 낮은 차수의 필터를 사용하고 그 대신 샘플링 주파수를 올려서 안티앨리어싱 에러가 생기는 것을 줄이는 것입니다. 필터 의 기울기의 한계로 안티앨리어싱의 원인인 가청 주파수 밖의 고주파 영역을 완전 차단을 못하니까 차라리 샘플링 레이트 를 오버샘플링 해버리는 것이죠. | + | 오버 샘플링이 왜 필터 기술의 일종이라는 표현을 하는가 하면, 바로 안티 |
{{오디오_미신: | {{오디오_미신: | ||
- | 위 그림을 보면 오버 샘플링을 통해 앨리어스 노이즈로 변환되는 영역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 위 그림을 보면 오버 샘플링을 통해 앨리어싱 에러 |
{{오디오_미신: | {{오디오_미신: | ||
줄 54: | 줄 54: | ||
주로 구형 Yamaha 디지털 믹싱 콘솔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은 클럭 교체로 확실히 음질의 향상을 얻으시는 분들이 많으니까요.((Yamaha의 믹싱 콘솔들은 Yamaha 자체 개발인 DSP 칩을 사용합니다.)) | 주로 구형 Yamaha 디지털 믹싱 콘솔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은 클럭 교체로 확실히 음질의 향상을 얻으시는 분들이 많으니까요.((Yamaha의 믹싱 콘솔들은 Yamaha 자체 개발인 DSP 칩을 사용합니다.)) | ||
- | 원래 클럭이 좋은 시스템에서는, | + | 원래 클럭이 좋은 시스템에서는, |
{{오디오_미신: | {{오디오_미신: | ||
+ | |||
+ | {{tag>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오디오_미신/워드_클럭으로_음질이_상승할_수_있는가.17083482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