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위키:마이크로폰:mojave_audio:mojave_audio_ma-200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유저위키:마이크로폰:mojave_audio:mojave_audio_ma-200 [2025/04/27]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유저위키:마이크로폰:mojave_audio:mojave_audio_ma-200 [2025/04/27] (현재) – ↷ 문서가 유저위키:마이크로폰:mojave_audio_ma-200에서 유저위키:마이크로폰:mojave_audio:mojave_audio_ma-200(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 Mojave Audio MA-200 ===== | ||
+ | |||
+ | Mojave Audio MA-200은 David Royer가 설계한 라지 다이어프램 진공관(튜브) 콘덴서 마이크로, | ||
+ | |||
+ | ===== 주요 특징 ===== | ||
+ | |||
+ | * **캡슐** | ||
+ | * 26mm(다이어프램), | ||
+ | * 3마이크론 듀얼 다이어프램(후면 다이어프램은 미코팅·미연결, | ||
+ | * 프론트 다이어프램은 센터 터미네이션, | ||
+ | * 중국산 K67 계열 캡슐(일관성과 품질에서 Royer가 직접 선택) | ||
+ | * **진공관 회로** | ||
+ | * 5840 펜토드 진공관(플레이트 로드 회로) | ||
+ | * 출력단에 Jensen 트랜스포머 사용(풍부한 하모닉, 안정적 밸런스) | ||
+ | * **파워서플라이** | ||
+ | * 115V/230V, 50/60Hz 전환 가능(글로벌 사용) | ||
+ | * 전용 7핀 케이블로 마이크와 연결 | ||
+ | * **설계 배경** | ||
+ | * Neumann U47 전자회로 + K67 타입 캡슐의 하이브리드 구조 | ||
+ | * Royer의 2001년 중국산 K67 FET 마이크 튜브 개조 경험에서 출발 | ||
+ | * **구성품** | ||
+ | * 파워서플라이, | ||
+ | |||
+ | ===== 사운드 & 용도 ===== | ||
+ | |||
+ | * “현대적 튜브 사운드” | ||
+ | * 상단 프리퀀시 부스트와 약간의 미드레인지 딥 | ||
+ | * 부드럽고 매끄러운 고역, 따뜻하고 두툼한 미들 | ||
+ | * 공격적인 보컬, 락/ | ||
+ | * 스네어, 드럼 오버헤드, | ||
+ | * 빈티지 튜브 마이크(U47 등)와는 달리, 레트로 느낌보다는 현대적이고 선명한 질감 | ||
+ | |||
+ | * **주의점** | ||
+ | * 고역/ | ||
+ | * 프리앰프와의 매칭에 따라 사운드 캐릭터가 달라짐 | ||
+ | |||
+ | ===== 주요 사양 ===== | ||
+ | |||
+ | * 캡슐: 26mm 다이어프램, | ||
+ | * 패턴: 고정 카디오이드 | ||
+ | * 감도: 14.1 mV/Pa | ||
+ | * 주파수 응답: 30Hz ~ 18,000Hz | ||
+ | {{: | ||
+ | * 임피던스: | ||
+ | * 최대 SPL: 120dB | ||
+ | * 셀프 노이즈: 16dB(A) | ||
+ | * 무게: 454g | ||
+ | * 길이: 194mm | ||
+ | * 최대 지름: 51mm | ||
+ | * 전원: 전용 파워서플라이(115/ | ||
+ | * 기본 구성: 파워서플라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g>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