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_tub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_tube [2025/04/25] – ↷ 문서 이름이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에서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_tube(으)로 바뀌었습니다 정승환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_tube [2025/04/25]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노이만 M147 Tube는 K47 라지 다이어프램 캡슐과 진공관(FET 아님) 앰프 회로를 결합한 고정 카디오이드 패턴의 프로페셔널 튜브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1999년 출시 이후, U 47의 사운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보컬·내레이터·악기 등 다양한 스튜디오 환경에서 사랑받는 모델입니다. 노이만 M147 Tube는 K47 라지 다이어프램 캡슐과 진공관(FET 아님) 앰프 회로를 결합한 고정 카디오이드 패턴의 프로페셔널 튜브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1999년 출시 이후, U 47의 사운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보컬·내레이터·악기 등 다양한 스튜디오 환경에서 사랑받는 모델입니다.
  
-  * **주요 특징*+=====주요 특징===== 
-    - **K47 캡슐** (U47, U47 fet 등과 동일 계열, 듀얼 다이어프램/싱글 백플레이트) +  * **K47 캡슐** (U47, U47 fet 등과 동일 계열, 듀얼 다이어프램/싱글 백플레이트) 
-      - 후면 다이어프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카디오이드 고정) +    - 후면 다이어프램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카디오이드 고정) 
-      - 1kHz 이하에서는 카디오이드,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 +    - 1kHz 이하에서는 카디오이드,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 
-      - 현대형 K47은 텐션링이 플라스틱(비닐론) 소재(빈티지형은 황동) +    - 현대형 K47은 텐션링이 플라스틱(비닐론) 소재(빈티지형은 황동) 
-    **진공관 앰프 회로** (임피던스 변환용, 회로 기판에 직접 솔더) +  **진공관 앰프 회로** (임피던스 변환용, 회로 기판에 직접 솔더) 
-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저노이즈, 셀프 노이즈 12dBA) +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저노이즈, 셀프 노이즈 12dBA) 
-    **캡슐/앰프 회로 모두 독립 쇼크마운트** (핸들링/기계적 노이즈 억제) +  **캡슐/앰프 회로 모두 독립 쇼크마운트** (핸들링/기계적 노이즈 억제) 
-    **고정 카디오이드 패턴** (패턴 전환 불가) +  **고정 카디오이드 패턴** (패턴 전환 불가) 
-    **EA 1 엘라스틱 쇼크마운트 호환(별매)** +  **EA 1 엘라스틱 쇼크마운트 호환(별매)** 
-    **듀얼 전압 파워서플라이, 파워케이블, 스위블 마운트, 알루미늄 플라이트 케이스 기본 제공**+  **듀얼 전압 파워서플라이, 파워케이블, 스위블 마운트, 알루미늄 플라이트 케이스 기본 제공**
  
-  * **사운드 특성*+=====사운드 특성===== 
-    - U 47 계열의 "따뜻하고 밀도 있는 미드", 근접 마이킹 시 풍부하고 볼륨감 있는 저음, 멀리서 사용 시 깨끗하고 아티큘레이션 좋은 사운드 +  U47 계열의 "따뜻하고 밀도 있는 미드", 근접 마이킹 시 풍부하고 볼륨감 있는 저음, 멀리서 사용 시 깨끗하고 아티큘레이션 좋은 사운드 
-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으로 오프-액시스(측면) 고음 감쇠 → 포커싱/분리력↑ +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으로 오프-액시스(측면) 고음 감쇠 → 포커싱/분리력↑ 
-    보컬(남/여), 스피치, 악기(특히 어쿠스틱/브라스/앰비언스) 등, 다양한 소스에서 "클래식 노이만 튜브 사운드" 구현 +  보컬(남/여), 스피치, 악기(특히 어쿠스틱/브라스/앰비언스) 등, 다양한 소스에서 "클래식 노이만 튜브 사운드" 구현 
-    근접 마이킹 시 팝스크린 필수(팝 노이즈 민감)+  근접 마이킹 시 팝스크린 필수(팝 노이즈 민감)
  
-  * **사양 요약*+=====사양 요약===== 
-    - 패턴: 카디오이드(고정) +  * 패턴: 카디오이드(고정) 
-    캡슐: K47(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플레이트, 후면 다이어프램 미사용) +  캡슐: K47(듀얼 다이어프램, 싱글 백플레이트, 후면 다이어프램 미사용) 
-    주파수 응답: 20Hz ~ 20,000Hz +  주파수 응답: 20Hz ~ 20,000Hz 
-    - 감도: 20mV/Pa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416.png}} 
-    최대 SPL: 114dB +  * 감도: 20mV/Pa 
-    셀프 노이즈: 12dB(A) +  최대 SPL: 114dB 
-    임피던스: 50Ω(로우) +  셀프 노이즈: 12dB(A) 
-    무게: 460g +  임피던스: 50Ω(로우) 
-    길이: 142mm +  무게: 460g 
-    최대 지름: 57mm +  길이: 142mm 
-    파워서플라이: 듀얼 전압(기본 제공) +  최대 지름: 57mm 
-    출시: 1999년+  파워서플라이: 듀얼 전압(기본 제공) 
 +  출시: 1999년
  
-  * **비교/참고*+=====비교/참고===== 
-    - U 47: 멀티패턴(카디오이드/피겨-8), 진공관+트랜스포머 출력 +  U47: 멀티패턴(카디오이드/피겨-8), 진공관+트랜스포머 출력 
-    - M 147 Tube: 카디오이드 고정,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출력(저노이즈) +  * M147 Tube: 카디오이드 고정,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출력(저노이즈) 
-    K47 캡슐의 고역 지향성 특성상, 실제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에 가까운 응답(특히 고역) +  K47 캡슐의 고역 지향성 특성상, 실제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에 가까운 응답(특히 고역) 
-    빈티지 M7 캡슐이 아닌 K47 캡슐(공식 문서 일부에 M7로 잘못 표기된 적 있음)+  빈티지 M7 캡슐이 아닌 K47 캡슐(공식 문서 일부에 M7로 잘못 표기된 적 있음)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1026.png}}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1026.p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7_tube.174558357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