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9_tub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9_tube [2025/04/25] – 만듦 정승환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9_tube [2025/04/25]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노이만 M149 Tube는 K47(=K49) 라지 다이어프램 캡슐과 진공관 앰프, 9가지 패턴(옴니~피겨-8), 7단계 하이패스 필터,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초고감도/초저노이즈를 갖춘 노이만의 플래그십 멀티패턴 튜브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노이만 M149 Tube는 K47(=K49) 라지 다이어프램 캡슐과 진공관 앰프, 9가지 패턴(옴니~피겨-8), 7단계 하이패스 필터,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초고감도/초저노이즈를 갖춘 노이만의 플래그십 멀티패턴 튜브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  * **주요 특징** +=====주요 특징===== 
-    **K47(=K49) 듀얼 다이어프램 캡슐**   +  *  **K47(=K49) 듀얼 다이어프램 캡슐**   
-      - U47, M49, U87 등과 같은 계열   +    - U47, M49, U87 등과 같은 계열   
-      - 센터 터미네이션, 1kHz 이하에서는 카디오이드,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   +    - 센터 터미네이션, 1kHz 이하에서는 카디오이드, 고역에서는 슈퍼/하이퍼카디오이드 경향   
-      - M7 캡슐로 잘못 표기된 문서 있음(실제는 K47/K49) +    - M7 캡슐로 잘못 표기된 문서 있음(실제는 K47/K49) 
-    **9가지 극성 패턴**   +  **9가지 극성 패턴**   
-      - 옴니, 와이드 카디오이드, 카디오이드, 하이퍼카디오이드, 피겨-8 등   +    - 옴니, 와이드 카디오이드, 카디오이드, 하이퍼카디오이드, 피겨-8 등   
-      - 패턴 스위치로 연속 전환(카디오이드~피겨-8 중간값 포함) +    - 패턴 스위치로 연속 전환(카디오이드~피겨-8 중간값 포함) 
-    **진공관 앰프 +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  **진공관 앰프 + 트랜스포머리스 출력**   
-      - M147 Tube와 유사한 회로, 진공관에서 10dB 증폭, 초저노이즈 설계 +    - M147 Tube와 유사한 회로, 진공관에서 10dB 증폭, 초저노이즈 설계 
-    **초고감도**   +  **초고감도**   
-      - 카디오이드: 47mV/Pa   +    - 카디오이드: 47mV/Pa   
-      - 옴니: 34mV/Pa   +    - 옴니: 34mV/Pa   
-      - 피겨-8: 62mV/Pa   +    - 피겨-8: 62mV/Pa   
-      - 하이엔드 프리앰프 없이도 충분한 출력(저가 프리앰프 환경에 유리) +    - 하이엔드 프리앰프 없이도 충분한 출력(저가 프리앰프 환경에 유리) 
-    **초저노이즈**   +  **초저노이즈**   
-      - 카디오이드: 13dBA   +    - 카디오이드: 13dBA   
-      - 옴니: 16dBA   +    - 옴니: 16dBA   
-      - 피겨-8: 11dBA +    - 피겨-8: 11dBA 
-    **7단계 하이패스 필터**   +  **7단계 하이패스 필터**   
-      - -3dB 컷오프: 20Hz~160Hz(반옥타브 간격, 마이크 바디 스위치) +    - -3dB 컷오프: 20Hz~160Hz(반옥타브 간격, 마이크 바디 스위치) 
-    **패드 없음** +  **패드 없음** 
-      - 최대 SPL: 120dB(필요시 외부 패드/인라인 패드 사용 권장) +    - 최대 SPL: 120dB(필요시 외부 패드/인라인 패드 사용 권장) 
-    **플래티넘/매트 니켈 마감, EA 170 쇼크마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알루미늄 플라이트 케이스 제공** +  **플래티넘/매트 니켈 마감, EA 170 쇼크마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알루미늄 플라이트 케이스 제공** 
-    **M 149 Jubilee(75주년 한정판, 500대 한정, 플래티넘 마감/각인/일련번호)** +  **M 149 Jubilee(75주년 한정판, 500대 한정, 플래티넘 마감/각인/일련번호)** 
-  * **사운드 특성** +=====사운드 특성===== 
-    "믹스 완성형"의 볼드한 미드, 확장된 고역, 강력한 출력 +  "믹스 완성형"의 볼드한 미드, 확장된 고역, 강력한 출력 
-    K47 계열 특유의 미드레인지 존재감, 고역은 깨끗하고 개방적 +  K47 계열 특유의 미드레인지 존재감, 고역은 깨끗하고 개방적 
-    고음에서 지향성이 증가(오프-액시스 감쇠), 포커싱/분리력↑ +  고음에서 지향성이 증가(오프-액시스 감쇠), 포커싱/분리력↑ 
-    다양한 패턴/필터로 보컬, 악기, 앰비언스, 클래식, 룸 등   +  다양한 패턴/필터로 보컬, 악기, 앰비언스, 클래식, 룸 등모든 스튜디오 환경에 대응 
-      모든 스튜디오 환경에 대응 +=====사양 요약==== 
-  * **사양 요약** +  패턴: 9가지(옴니, 와이드 카디오이드, 카디오이드, 하이퍼카디오이드, 피겨-8 등) 
-    패턴: 9가지(옴니, 와이드 카디오이드, 카디오이드, 하이퍼카디오이드, 피겨-8 등) +  캡슐: K47/K49(듀얼 다이어프램, 센터 터미네이션) 
-    캡슐: K47/K49(듀얼 다이어프램, 센터 터미네이션) +  주파수 응답: 20Hz~20kHz(패턴별 동일) 
-    주파수 응답: 20Hz~20kHz(패턴별 동일) +<WRAP box centeralign> 
-    - 감도: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123.png}}\\ 
-      - 카디오이드: 47mV/Pa   +Omni\\ 
-      - 옴니: 34mV/Pa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138.png}}\\ 
-      - 피겨-8: 62mV/Pa +Cardioid\\ 
-    셀프 노이즈: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154.png}}\\ 
-      - 카디오이드: 13dBA   +HyperCardioid\\ 
-      - 옴니: 16dBA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207.png}}\\ 
-      - 피겨-8: 11dBA +Bidirectional\\ 
-    최대 SPL: 120dB(패드 없음)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5223.png}}\\ 
-    하이패스 필터: 7단계(-3dB@20~160Hz) +WideCardioid\\ 
-    임피던스: 50Ω(로우) +</WRAP> 
-    무게/크기: 730g, 201mm, 70mm +  * 감도:   
-    구성품: EA 170 쇼크마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플라이트 케이스, 더스트커버 +    - 카디오이드: 47mV/Pa   
-    출시: 1995년(정규), 2003년(75주년 Jubilee 한정판) +    - 옴니: 34mV/Pa   
-  * **비교/참고** +    - 피겨-8: 62mV/Pa 
-    - M 147 Tube: K47 캡슐, 카디오이드 고정,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패턴 전환 없음 +  셀프 노이즈:   
-    - M 149 Tube: K47 캡슐, 9패턴,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7단계 하이패스, 초고감도/저노이즈 +    - 카디오이드: 13dBA   
-    - U 47: K47(후기), 멀티패턴(2단), 진공관+트랜스포머 출력, 빈티지 사운드 +    - 옴니: 16dBA   
-    - M 149 Jubilee: 75주년 한정판, 플래티넘 마감/각인/일련번호, 스테레오 페어 존재+    - 피겨-8: 11dBA 
 +  최대 SPL: 120dB(패드 없음) 
 +  하이패스 필터: 7단계(-3dB@20~160Hz) 
 +  임피던스: 50Ω(로우) 
 +  무게/크기: 730g, 201mm, 70mm 
 +  구성품: EA 170 쇼크마운트, 파워서플라이, 케이블, 플라이트 케이스, 더스트커버 
 +  출시: 1995년(정규), 2003년(75주년 Jubilee 한정판) 
 +=====비교/참고===== 
 +  * M147 Tube: K47 캡슐, 카디오이드 고정,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패턴 전환 없음 
 +  * M149 Tube: K47 캡슐, 9패턴, 진공관+트랜스포머리스, 7단계 하이패스, 초고감도/저노이즈 
 +  * U47: K47(후기), 멀티패턴(2단), 진공관+트랜스포머 출력, 빈티지 사운드 
 +  * M149 Jubilee: 75주년 한정판, 플래티넘 마감/각인/일련번호, 스테레오 페어 존재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1538.png}}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20250425-211538.p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neumann_m149_tube.174558339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4/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