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start [2025/01/17] – 정승환 |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start [2025/04/02]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Neumann====== | ======Neumann====== | ||
- | 초창기 Neumann 마이크 모델명의 앞글자 U는 교체가능한 진공관 | + | {{: |
+ | |||
+ | Neumann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이크 제조사로, | ||
{{indexmenu> | {{indexmenu> | ||
줄 161: | 줄 163: | ||
KM88 마이크의 KK88 캡슐 중 하나는 다이어프램 재료로 두께가 0.0007mm (0.7μm)인 순수 니켈을 사용합니다. 캡슐 조립 시에는 알루미늄 호일 스페이서 링이 중심과 전극 가장자리에 40μm 두께로 부착됩니다. 극성화 전압을 위한 리드인 접점이 중앙에 장착됩니다. 이는 캡슐이 직접 테스트 기기에 연결되어, | KM88 마이크의 KK88 캡슐 중 하나는 다이어프램 재료로 두께가 0.0007mm (0.7μm)인 순수 니켈을 사용합니다. 캡슐 조립 시에는 알루미늄 호일 스페이서 링이 중심과 전극 가장자리에 40μm 두께로 부착됩니다. 극성화 전압을 위한 리드인 접점이 중앙에 장착됩니다. 이는 캡슐이 직접 테스트 기기에 연결되어, | ||
- | |||
- | =====Georg Nuemann===== | ||
- | |||
- | 노이만(Neumann)과 마이크로테크 게펠(Microtech Gefell)의 역사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하나를 논할 때 다른 하나를 언급하지 않고는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두 회사의 발전을 나란히 살펴보겠습니다. 두 회사의 운명은 전후 독일의 지정학적 상황에 깊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만약 게펠(Gefell) 마을이 몇 킬로미터만 더 남쪽에 위치하여 동독(DDR) 블록 밖에 있었다면, | ||
- | |||
- | 이 글은 안젤름 뢸슬러(Anselm Rößler)의 저서 *Neumann - The Microphone Company*의 도움 없이는 완성될 수 없었습니다. (강력히 추천하는 책입니다.) 여기서는 그의 저서를 바탕으로 정보를 요약하고, | ||
- | |||
- | ====서론==== | ||
- | |||
- | 전설적인 프로 오디오 브랜드 가운데, **노이만(Neumann)**은 의심할 여지 없이 왕관을 쓰고 있습니다. 베테랑 엔지니어부터 스튜디오 보조, 그리고 뮤지션들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이 이름을 알고 있을 정도입니다. | ||
- | |||
- | **게오르그 노이만(Georg Neumann, 1898–1976)**은 초기 마이크 제조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선구자 중 한 명입니다. 그는 1898년 10월 13일 독일 초린(Chorin)에서 태어났습니다. 초린은 베를린에서 북동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 ||
- | |||
- | 뢸슬러에 따르면, 게오르그의 아버지 알베르트 노이만(Albert Neumann)은 철도 건널목 경비원으로 일했으며, | ||
- | |||
- | ====성격==== | ||
- | |||
- | 게오르그 노이만은 말수가 적었지만, | ||
- | |||
- | 노이만의 직원 중 한 명인 에른스트 바이스(Ernst Weiß)는 그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 ||
- | “그는 매우 민주적이었습니다. 그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 ||
- | |||
- | 노이만은 직원들의 복지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그는 함부르크나 발트해 같은 곳으로 회사 전체를 데리고 가는 몇 일간의 여행을 주최하곤 했습니다. 이런 여행에는 저녁 행사와 경품 추첨도 포함되었습니다. 한 직원은 최소 열 번의 여행에 참가했다고 회상했습니다. | ||
- | |||
- |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회사의 사기는 매우 높았습니다. 사업은 번창했고, | ||
- | |||
- | ====가족 생활==== | ||
- | |||
- | 게오르그 노이만과 그의 가족은 베를린의 반제(Wannsee)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즐겼습니다. 그는 수상 스포츠를 좋아했고, | ||
- | |||
- | 엘리는 게오르그의 외부 세계와의 연결 고리 역할을 했습니다. 게오르그가 내성적이고 겸손한 성격이었다면, | ||
- | 랄프는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 ||
- | “어머니는 아버지가 가장 많이 이야기했던 유일한 사람이었던 것 같아요.” | ||
- | |||
- | 게오르그는 자상하고 세심한 아버지였습니다. 잉그리드는 함께한 긴 산책을 떠올리며 말했습니다. | ||
- | “아버지는 개미집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거나 학교 숙제를 도와주곤 하셨어요. 숙제를 복사해 다른 방으로 가져간 후, 제가 어려움을 겪을 때 도와주셨죠. 하지만 직접 답을 주기보다는 방향을 제시해 주셨어요.” | ||
- | 랄프는 덧붙였습니다. | ||
- | “우리가 행복하다면, | ||
- | |||
- | ====유겐 레이츠 (Eugen Reisz)==== | ||
- | AEG에서 일하게 된 것은 게오르크 노이만(Georg Neumann)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행운의 계기였습니다. 여기서 그는 기술 부서장인 유겐 레이츠(1879–1957)를 만나게 됩니다. 헝가리 출신의 물리학자인 레이츠는 노이만을 격려하고 지원하며, | ||
- | (참고로, 유겐 레이츠는 1860년에 마이크로폰의 원리를 고안한 필리프 라이즈(Philipp Reis)와 혼동하지 마십시오.) | ||
- | |||
- | 새로운 기술에 열광하며 실험을 즐기던 노이만에게 이 일자리는 이상적인 환경이었습니다. 그는 매일 새로운 경험을 쌓으며 다양한 과학 실험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실험실은 문을 닫게 됩니다. | ||
- | |||
- | ====영화와 음향==== | ||
- | 유겐 레이츠는 리벤의 특허 공동 소유자로서 경제적으로 안정된 상황이었습니다. 전쟁 중 미국에서 쌓인 로열티를 받았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발명가이자 선구자였던 그는 영화 산업과 필름에 소리를 기록하는 문제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도전하며 게오르크 노이만을 자신의 팀에 두고 싶어했습니다. | ||
- | 1차 세계대전 이후 영화가 인기를 얻으면서 영화 음향 기술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917년, 프리츠 랑(Fritz Lang), 에른스트 루비치(Ernst Lubitsch),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F.W. Murnau) 등이 감독으로 활약하게 될 Universum Film AG(UFA)가 설립되었습니다. | ||
- | |||
- | 레이츠는 베를린의 첼렌도르프(Zehlendorf) 지역에 대형 저택을 구입하여 실험실을 세웠고, 노이만과 함께 필름 음향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그들의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았습니다. 노이만은 이를 회고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 ||
- | “레이츠는 사운드트랙을 일종의 부조(relief) 형태로, 즉 축음기 레코드처럼 필름 위에 직접 오버레이하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작동할 수 없는 방식이었죠.” | ||
- | 결국 그들은 마이크를 사용하는 방식을 시도하기로 했고, 이는 노이만이 마이크로폰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 ||
- | |||
- | ====레이츠 마이크로폰==== | ||
- | 1920년대 초, 음향 녹음은 여전히 당시 전화기에 사용되던 탄소 마이크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탄소 마이크의 성능은 열악했으며, | ||
- | 그는 다음과 같이 회고합니다. | ||
- | “레이츠가 해외에 나간 동안, 몇 가지 실험을 시도했습니다. 대리석 판 위에 탄소 가루를 뿌리고 전극을 삽입한 뒤 말을 걸어보았죠. 소리가 들리긴 했지만 저주파가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고무 다이어프램을 덮었더니 저주파가 갑자기 돌아왔습니다. 이것이 레이츠 마이크로폰의 시작이었습니다.” | ||
- | |||
- | 노이만이 개발한 대리석 블록 마이크는 1923년부터 레이츠에 의해 성공적으로 마케팅되었습니다. 이 마이크는 방송 산업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으며, | ||
- | |||
- | ====영국 체류==== | ||
- | 1925년경, 노이만은 릭노제 AG(Lignose AG)의 쿠르트 브로이징(Kurt Breusing)을 만나게 됩니다. 브로이징은 영화 사운드 시스템과 디스크 동기화 기술을 연구 중이었으며, | ||
- | 그해 독일 발명가 프리츠 플로이머(Fritz Pfleumer)는 최초의 자기 녹음기를 특허로 등록하며 오디오 산업 발전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 ||
- | |||
- | ====1928년 창립==== | ||
- | |||
- | 회사는 1928년 11월 23일에 게오르그 노이만과 에리히 리크만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 ||
- | |||
- | 이들은 기술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현대 마이크 설계의 토대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전문 오디오, 방송, 녹음 시장의 다른 분야에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들은 혁신적인 라이츠(Reisz) 마이크에서 최첨단 전자음향 측정 장비와 디스크 절단 기술에 이르기까지, | ||
- | |||
- | ====회사의 초기 운영==== | ||
- | 노이만과 동료들은 75㎡ 규모의 작업실에서 세 명의 기계공과 함께 일을 시작했습니다. 이곳에서 최초의 전기 구동 디스크 절단 기계가 제작되었으며, | ||
- | |||
- | “처음 작업장을 봤을 때 얼마나 원시적인 환경인지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작업 도구라고는 작은 선반, 소형 직결 드릴, 강철을 연마하기 위한 임시 블록뿐이었습니다. 리크만 씨에게 장기적으로 고용이 보장되는지 물어보자, | ||
- | |||
- | 리크만의 희망은 현실이 되었고, 1938년 회사 연대기에 따르면 이들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 ||
- | |||
- | “최초의 전기 구동 축음기 디스크 절단 기계를 생산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사용되던 접촉 마이크는 품질이 충분히 높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더 나은 마이크를 개발해야 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생산 중인 콘덴서 마이크가 성공적으로 개발되고 시스템에 통합되었습니다.” | ||
- | |||
- | ====최초의 마이크 개발==== | ||
- | 게오르그 노이만은 자신이 라이츠와 함께 일했던 경험 덕분에 독일 방송국(Deutscher Rundfunk)과 여전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이 새로운 마이크를 보여주었고, | ||
- | |||
- | “최초의 마이크는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앰프는 직사각형 섀시에 장착되었고, | ||
- | |||
- | ====콘덴서 마이크로폰 설계==== | ||
- | 이 회사의 기본 아이디어는 1916년 웨스턴 일렉트릭의 엔지니어 E.C. 웬트가 발명한 커패시터 변환기 개념을 기반으로 마이크를 제조하는 것이었습니다. 노이만은 이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의 비닐 절단 기계 개발을 보완할 수 있는 마이크 개발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는 뛰어난 기계공이었으며, | ||
- | |||
- | 이후에 이어지는 내용은 CMV3(텔레풍켄 Ela MZ 027/1) 마이크의 탄생 및 기술 혁신과 관련된 상세 사항으로 이어지며, | ||
- | |||
- | **이 내용은 Anselm Rößler, R. David Read, Hugh Robjohns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Reference====== | ======Reference======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start.17371171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1/1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