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 [2024/12/07] – 정승환 |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 [2025/04/01] (현재) – [U47] 정승환 | ||
---|---|---|---|
줄 1: | 줄 1: | ||
======U47====== | ======U47====== | ||
- | |||
- | **Telefunken U47**((Telefunken은 마이크 제조사가 아니었다. Telefunken은 Neumann과, AKG 등의 하이엔드 마이크를 수출 유통하는 업체였다. 다만 Neumann U47에 들어가는 진공관을 Telefunken 에서 공급했다. 그 대가로 Telefunken은 1950년대 까지 해외에 Neumann 마이크를 Telefunken의 브랜드 네임으로 독점 공급했다.)) | ||
Neumann CMV3 마이크의 M7 캡슐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멀티 패턴 마이크 | Neumann CMV3 마이크의 M7 캡슐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멀티 패턴 마이크 | ||
줄 9: | 줄 7: | ||
U47은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보컬 마이크 중 하나로 숭배하고 있습니다. The Beatles의 프로듀서인 George Martin은 U47을 자신의 가장 좋아하는 마이크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의견에 동의하며, | U47은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보컬 마이크 중 하나로 숭배하고 있습니다. The Beatles의 프로듀서인 George Martin은 U47을 자신의 가장 좋아하는 마이크로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의견에 동의하며, | ||
- | U47은 항상 Neumann에 의해 제조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는 Telefunken이 Neumann 마이크를 **독점 유통**했기 때문에, 많은 초기 U47에는 Neumann 로고 대신 Telefunken 로고가 있습니다. 1950년대에 Neumann이 자체 유통을 담당하게 되면서부터 새로 제작된 모든 U47에는 Neumann 로고가 새겨졌습니다. | + | U47은 항상 Neumann에 의해 제조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는 Telefunken이 Neumann 마이크를 **독점 유통**((Telefunken은 마이크 제조사가 아니었다. Telefunken은 Neumann과, AKG, Schoeps 등의 마이크를 수출 유통하는 업체였다. 다만 Neumann U47에 들어가는 진공관을 Telefunken 에서 공급했다. 그 대가로 Telefunken은 1950년대 까지 해외에 Neumann 마이크를 Telefunken의 브랜드 네임으로 독점 공급했다.))했기 때문에, 많은 초기 U47에는 Neumann 로고 대신 Telefunken 로고가 있습니다. 1950년대 |
* 캡슐 : 원래 Neumann의 M7, 이후 Neumann의 K47/ | * 캡슐 : 원래 Neumann의 M7, 이후 Neumann의 K47/ | ||
줄 23: | 줄 21: | ||
* 출력 임피던스 : 50Ω 또는 200Ω | * 출력 임피던스 : 50Ω 또는 200Ω | ||
- | * 자체 소음 | + | * Self-Noise |
* MaxSPL : 0.8% THD @ 110dB SPL, 1kHz | * MaxSPL : 0.8% THD @ 110dB SPL, 1kHz | ||
줄 35: | 줄 33: | ||
* Center-terminated | * Center-terminated | ||
- | {{ youtube> | + | {{ youtube> |
- | {{ youtube> | + | {{ youtube> |
{{음향: | {{음향: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유저위키/마이크로폰/neumann/u47.173355642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0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