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 [2024/12/24] – 정승환 | 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 [2025/01/07] (현재) – 정승환 | ||
---|---|---|---|
줄 5: | 줄 5: | ||
인라인 방식의 대표적인 믹싱 콘솔. 인라인 방식이기 때문에 다루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 인라인 방식의 대표적인 믹싱 콘솔. 인라인 방식이기 때문에 다루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 ||
- | 전체적으로 플레이백 재생을 위한 스몰 페이더, 녹음 및 인풋 모니터링에 | + | 전체적으로 플레이백 재생을 위한 스몰 페이더, 녹음 및 인풋 모니터링에 사용하는 라지 페이더가 한 채널에 |
- | 사용하는 라지 페이더가 한 채널에 | + | |
{{: | {{: | ||
줄 12: | 줄 11: | ||
=====SL611G input module===== | =====SL611G input module===== | ||
- | Mono Channel은 마이크 프리앰프가 내장된 채널로, 녹음을 하거나 멀티 트랙 레코더의 개별 채널들을 모니터링 할 때, 또는 SUB GP로 지정하여 서브 그룹 채널로 사용한다. | + | Mono Channel은 마이크 프리앰프가 내장된 채널로, 녹음을 하거나 멀티 트랙 레코더의 개별 채널들을 모니터링할 때, 또는 SUB GP로 지정하여 서브 그룹 채널로 사용한다. |
==== Channel input section ==== | ==== Channel input section ==== | ||
줄 21: | 줄 20: | ||
* MIC : 마이크 입력에 대한 게인 | * MIC : 마이크 입력에 대한 게인 | ||
* FLIP : 라인 입력/ | * FLIP : 라인 입력/ | ||
- | * SUB GP : 해당 채널을 서브 그룹 입력으로 전환.( 각 채널의 Routing Matrix에서 서브 그룹 출력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번, 11번, 12번, 14번 채널에서 Group Routing Matrix를 통해 아웃풋을 채널 1로 선택하고, | + | * SUB GP : 해당 채널을 서브 그룹 입력으로 전환.(각 채널의 Routing Matrix에서 서브 그룹 출력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번, 11번, 12번, 14번 채널에서 Group Routing Matrix를 통해 아웃풋을 채널 1로 선택하고, |
* ø : 위상 반전 | * ø : 위상 반전 | ||
- | * +48V : 팬텀파워 | + | * +48V : 팬텀 파워 |
---- | ---- | ||
줄 53: | 줄 52: | ||
아웃보드 인서트 | 아웃보드 인서트 | ||
- | * PRE : PRE인 경우 아웃보드를 이퀄라이저, | + | * PRE : PRE인 경우 아웃보드를 이퀄라이저, |
* IN : 아웃보드를 인서트한다. | * IN : 아웃보드를 인서트한다. | ||
줄 194: | 줄 193: | ||
====Talkback level control==== | ====Talkback level control==== | ||
- | Talkback | + | 토크 |
{{ 유저위키: | {{ 유저위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유저위키/믹싱_콘솔/ssl_4000g.173496869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12/2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