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신디사이저:roland:d50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유저위키:신디사이저:roland:d50 [2025/01/12]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유저위키:신디사이저:roland:d50 [2025/04/23] (현재) – [PG-1000] 정승환
줄 1: 줄 1:
 +======D-50======
  
 +Roland **D-50**은 1987년에 Roland에 의해 생산 및 출시된 **폴리포닉** 61키 **디지털 신디사이저**입니다. 이 신디사이저는 **Linear Arithmetic synthesis**, 내장 **이펙터**, 조작을 위한 **조이스틱**, 그리고 아날로그 합성 스타일의 레이아웃 디자인을 특징으로 합니다. Roland **PG-1000**(1987-1990) 프로그래머를 D-50에 연결하면 더 복잡한 사운드 조작이 가능합니다. 또한, 약 450개의 사용자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를 갖춘 랙 마운트 변형 디자인인 **D-550**(1987-1990)도 제작되었습니다. 현재 D-50은 빈티지 신디사이저로 여전히 매우 인기가 높습니다.
 +
 +D-50의 기능은 Musitronics의 서드파티 제품인 **M-EX**를 추가함으로써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제품은 D-50을 **멀티 팀버**로 변환했으며(D-50은 원래 **바이 팀버**였습니다), 또한 D-50이 **MIDI** 명령에 대한 응답을 개선하는 칩과 사용자가 직접 **PCM 카드**를 만들어 D-50에서 사용자 샘플을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도 제공했습니다. D-50은 특징적인 사운드로 인해 1980년대 후반의 인기 있는 음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이 사운드는 당시 음악의 정의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1-230214.png}}
 +
 +{{ youtube>sM6c_jxVVlM?full }}\\
 +
 +{{ youtube>3sXdYXYI_ZI?full }}\\
 +
 +=====역사=====
 +
 +**D-50**은 **PCM**과 **아날로그 모델링 디지털 신디사이저**를 결합한 최초의 신디사이저로, Roland가 **Linear Arithmetic synthesis**라고 부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Roland의 엔지니어들은 현실적인 악기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가장 어려운 구성 요소가 음의 **어택**(트랜지언트) 부분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따라서 D-50은 ROM에 거의 **100개의 샘플된 어택**을 포함했습니다. 이 신디사이저는 어택을 재생하고 신디사이저 섹션을 사용하여 사운드의 **서스테인**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이중 사용 방법은 1987년 당시 메모리가 매우 비쌌기 때문에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Roland는 합성된 서스테인 부분에 혼합될 수 있는 **"텍스처" 샘플**을 여러 개 통합했습니다. 이러한 서스테인 샘플은 많은 D-50 패치에 **풍부하고 공기 많은 품질**을 부여했으며, 특히 **목관악기** 및 **스트링 샘플**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D-50은 아마도 최초의 **디지털 아날로그 모델링 신디사이저**이며, 또한 **디지털 이펙터**를 통합한 최초의 신디사이저이기도 합니다.
 +
 +**Roland D-50**은 1988년 **음악 기술의 우수한 기술적 성과**로 **TEC상**을 수상했습니다.
 +
 +=====기술=====
 +
 +**D-50**은 샘플 기반 특성을 가진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는 최초의 샘플러가 아닌 기계 중 하나였지만, 이후 시장에는 많은 신디사이저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운드를 만들어내게 되었습니다. Roland는 비교적 비싼 플래그십 **D-50**을 구입할 수 없는 음악가들을 위해 몇 가지 낮은 가격의 키보드 및 모듈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예: **Roland D-10** (1988), **D-110** (D-10의 랙 버전) (1988), **D-20** (1988), **D-5** (1989), **MT-32**). 이러한 낮은 가격의 **D-시리즈** 신디사이저에는 전체 "LA" 신디 엔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지만, 각각이 **8 파트 멀티 팀버**였으며, Roland는 내장 **PCM 샘플**의 수를 두 배로 늘렸습니다. 또한, Roland는 **76개 키**, **6옥타브**의 "슈퍼-LA" **D-70**(1989-1990)을 제작했습니다. D-70에서는 Roland가 디지털 합성 섹션을 제거하고, D-50에 없던 **어쿠스틱 피아노**를 포함한 **완전 길이의 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러운 PCM 샘플**로 대체했습니다. D-70은 또한 확장된 필터 및 효과 섹션을 갖추었으며 **5 파트 멀티 팀버** 기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D-70은 그 시기의 주도적인 **워크스테이션**인 **Korg M1**에 밀려, Roland의 다음 플래그십 신디사이저로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
 +**D-50**은 "아날로그/디지털" 하이브리드 사운드를 생성하며, 전통적인 **뚱뚱한 아날로그 파형**(사각파 및 삼각파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당시 경쟁하는 신디사이저들이 **파형의 PCM 샘플**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실제 음향 악기의 어택 변형 및 과거의 유명한 아날로그 신디사이저의 **PCM 샘플**과 함께 전체 **아날로그 스타일 처리**(LFOs, TVFs, TVAs, 링 모듈레이터, 효과 등)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혁신은 순수한 아날로그 신디사이저나 샘플러에서는 이전에 수행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사운드**의 창조로 이어졌습니다.
 +
 +각 **D-50 사운드**("패치")는 2개의 "톤"(상부 및 하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톤은 2개의 "파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파셜은 "신디 파형"(펄스 또는 삼각파 형태)과 **TVF**(시간 변위 필터, VCF의 디지털 버전) 또는 **디지털 PCM 파형**(샘플링된 어택 변형 또는 루프된 서스테인 파형)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파셜은 가능한 7가지 "구조"(알고리즘) 중 하나를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PCM 파형 또는 합성된 파형을 조합하고 두 파셜을 함께 **링 모듈레이션**하는 옵션이 있었습니다. 합성된 파형은 **펄스폭 변조**가 가능하고 **디지털 4차 로우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감산합성이 가능합니다. 상부와 하부는 키보드에서 **분할**되거나 **이중**으로 연주될 수 있었습니다. 이중 구성은 하나의 파셜이 연주될 때 **8 보이스 폴리포니 바이 팀버**를 제공하여 32음을 가능하게 합니다.
 +
 +합성 방법뿐만 아니라 **D-50**은 **디지털 코러스** 및 **리버브**와 같은 디지털 이펙터를 포함한 아마도 최초의 상업용 신디사이저였습니다. 이로 인해 D-50은 밝고 풍부하며 활기찬 사운드로 수많은 시대의 녹음에 특징적으로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효과 각각은 키보드 신디사이저가 아닌 전용 **랙 효과 프로세서**에서 찾을 수 있는 편집 가능한 파라미터를 가진 10개 이상의 변형을 갖고 있었습니다. 또한 무대에서 전형적인 키보드 연주자의 외관이 변화하는 선두에 있었습니다. 여러 악기로 둘러싸인 것이 아니라, 더 다양한 악기와의 지속적인 MIDI 표준 채택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D-50과 함께 **Yamaha DX7** 또는 **Korg M1**이 있는 한 두 개의 키보드로만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
 +**D-50**은 완전히 **MIDI 호환**되었으며 하나의 채널에서만 전송됩니다. 키보드는 속도 및 **애프터터치**에 민감하며, 키는 높은 품질의 감각을 위해 금속이 약간 사용되었습니다. 내장 **64개의 패치**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포함된 **확장 RAM 카드**를 통해 추가로 64개의 패치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메모리 백업**을 위해 **C2032 리튬 내부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
 +그 사운드와 제품의 품질, 그리고 특별한 합성 방법으로 인해 **D-50**은 오늘날까지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합성 엔진은 Roland의 **JV** 및 **XP 시리즈** 신디사이저 등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2004년에는 Roland가 **V-Synth** 및 **VariOS** 신디사이저용 **VC-1 확장 카드**를 출시했습니다. 이 카드에는 **모델링** 및 업데이트된 D-50 합성 엔진과 원래의 운영 체제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공장 및 모든 Roland "확장 카드" 패치가 포함되었습니다. 새로운 **DAC 칩**이 다른 소리를 냈기 때문에(보다 깨끗한), D-50의 "거칠고" 출력을 모방하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D-550**은 D-50의 **랙 마운트 버전**으로, 조이스틱 및 슬라이더가 없으며 전면 패널 제어가 적습니다. 그것은 동일한 **사운드 회로**를 사용하며(주요 회로 보드는 두 기기 모두 정확히 같으며 "D-50/D-550"로 레이블이 표시됩니다).
 +
 +=====영향=====
 +
 +**1987년** 도입된 **D-50**은 **Yamaha DX7**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Korg M1**이 출시되기 전까지 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신디사이저가 되었습니다. **D-50**의 신디사이저-샘플-효과 혁신은 M1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M1은 Korg의 **최고 판매 키보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방식은 **ROM** 및 **플래시 RAM**이 전체 샘플이나 멀티샘플을 저장하기에 충분히 저렴해지기 전까지 10년 이상 디지털 키보드 사운드 생성의 일반적인 방법이었습니다.
 +
 +**D-50**의 경우, 사운드 합성을 위해 사운드 생성의 기초로 **Synth Partials**만 사용할 때 **PCM 샘플**의 사용을 완전히 우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실상 **4개의 DCO** 감산 합성(공명 필터)을 제공하며, PCM 샘플의 단독 사용 또는 사운드 생성의 기초로 사용되는 '보다 디지털적인' 사운드 합성 방법(예: **FM** 또는 **PM**) 때문에 후속 신디사이저들이 할 수 없는 매우 **아날로그 같은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디지털 감산 합성 방법**은 이전 **Roland 신디사이저**, 예를 들어 이전 플래그십인 **JX-10**에서 사용된 아날로그 기술과 비교할 때 유사하지만, 더 차갑고 깨끗한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
 +**Eric Persing**과 **Adrian Scott**가 작성한 **D-50**의 프리셋은 예술가 커뮤니티에서 잘 받아들여졌으며, 그 중 대부분은 **1980년대 후반**의 다양한 상업 음반에서 들을 수 있습니다. **D-50**의 공장 프리셋은 "Pizzagogo", "Digital Native Dance", "Staccato Heaven", "Fantasia", "Flutish Brass", "Jazz Guitar Duo", "Slow Rotor", "D-50 Voices", "Glass Voices", "Cathedral Organ", "Griitttarr" 및 "Living Calliope"와 같은 패치들이 널리 사용되어, 유행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매우 일반적입니다. 일부 다른 **D-50 프리셋**은 "Intruder FX", "Fantasia" (또는 "New Age Pad"로도 불림), "Soundtrack", "Atmosphere" 및 "Nylon Atmosphere"를 포함하여 일반 **MIDI 사양**을 준수하는 모든 기기에 존재합니다.
 +
 +**Roland V-Synth**와 **V-Synth XT**는 **D-50**을 흉내 내는 카드를 로드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드에서는 D-50을 거의 완벽하게 복제하지만, 보다 정교한 **V-Synth 기능**을 잃게 됩니다.
 +
 +=====프리셋=====
 +  * 11 Fantasia
 +  * 12 Metal Harp
 +  * 13 Jazz Guitar Duo
 +  * 14 Arco Strings
 +  * 15 Horn Section
 +  * 16 Living Calliope
 +  * 17 D-50 Voices
 +  * 18 Slow Rotor
 +  * 21 DigitalNativeDance
 +  * 22 Bass Marimba
 +  * 23 Flute-Piano Duo
 +  * 24 Combie Strings
 +  * 25 Harpsichord Stabs
 +  * 26 Griitttarr
 +  * 27 Nylon Atmosphere
 +  * 28 Synthetic Electric
 +  * 31 Breathy Chiffer
 +  * 32 Gamelan Bell
 +  * 33 Slap Brass
 +  * 34 PressureMe Strings
 +  * 35 Rich Brass
 +  * 36 Pipe Solo
 +  * 37 Soundtrack
 +  * 38 Cathedral Organ
 +  * 41 Shamus Theme
 +  * 42 Vibraphone
 +  * 43 Basin Strat Blues
 +  * 44 Pizzagogo
 +  * 45 Flutish Brass
 +  * 46 Pressure Me Lead
 +  * 47 Spacious Sweep
 +  * 48 Piano-Fifty
 +  * 51 Glass Voices
 +  * 52 Hollowed Harp
 +  * 53 Ethnic Session
 +  * 54 Jete Strings
 +  * 55 Stereo Polysynth
 +  * 56 Tine Wave
 +  * 57 Syn-Harmonium
 +  * 58 Rock Organ
 +  * 61 Staccato Heaven
 +  * 62 Oriental Bells
 +  * 63 E-Bass and E-Piano
 +  * 64 Legato Strings
 +  * 65 JX Horns-Strings
 +  * 66 Shakuhachi
 +  * 67 Choir
 +  * 68 Picked Guitar Duo
 +  * 71 Nightmare
 +  * 72 Syn Marimba
 +  * 73 Slap Bass n Brass
 +  * 74 String Ensemble
 +  * 75 Velo-Brass
 +  * 76 Digital Cello
 +  * 77 O K Chorale
 +  * 78 Pianissimo
 +  * 81 Intruder FX
 +  * 82 Steel Pick
 +  * 83 Synth Bass
 +  * 84 Afterthought
 +  * 85 Bones
 +  * 86 Bottle Blower
 +  * 87 Future Pad
 +  * 88 PCM E-Piano
 +
 +=====파생 제품=====
 +
 +====D-70====
 +
 +**Roland D-70** 신디사이저는 **1988년**에 **Roland**에서 출시된 **디지털 신디사이저**입니다. 이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합성**의 기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신디사이저**로, **16보이스 멀티 팀버**와 **61개의 키 벨로시티 감지 키보드**를 갖춘 **폴리포닉 신디사이저**입니다. **내장 시퀀서**, **아르페지에이터**, 및 **이펙트 프로세서**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Roland D-70**은 **Jean-Michel Jarre**, **Depeche Mode**, **The Prodigy**를 포함한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따뜻하고 아날로그 스타일의 사운드**와 **복잡한 질감** 및 **사운드스케이프**를 생성하는 능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Roland D-70**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합성을 결합하여 작동합니다. **두 개의 디지털 오실레이터**, **두 개의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 **두 개의 디지털 필터**가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내장 이펙트 프로세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D-70에는 복잡한 패턴과 리듬을 만들 수 있는 **내장 아르페지에이터**도 있습니다.
 +
 +**Roland D-70**은 내장 시퀀서, 아르페지에이터, 및 이펙트 프로세서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엔벨롭 제너레이터**, **LFO**, **피치** 및 **모듈레이션 휠**과 같은 다양한 모듈레이션 옵션이 있습니다. **스테레오 출력**, **MIDI**, 및 **USB**를 포함한 다양한 출력을 지원합니다.
 +
 +
 +
 +
 +====D-20====
 +
 +**D-20**은 예산이 적거나 대체로 사용하기에 훌륭한 **D-50**입니다. **D-10** 및 **D-110** 신디사이저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리듬 트랙이 있는 8보이스 시퀀서**가 추가되었습니다. **D-20**은 **LA Synthesis**를 사용하는 **디지털 신디사이저**입니다. **톤**, **파셜**, 및 **팀버**로 구성된 복잡한 합성/편집 방법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이 모든 것은,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다면 **흥미로운 독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까다로운 프로그래밍**으로 요약됩니다. **D-20**에서도 **리버브 효과**와 **내부/외부 메모리 저장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0430.png}}
 +
 +====D-10====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0532.png}}
 +
 +
 +====D-5====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0746.png}}
 +
 +====D-70====
 +
 +롤랜드의 "LA" 합성 기 기술을 이어받는 것으로 소개된 D-70은 특이한 키보드입니다. 실제로 D-50/550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U-20/220 시리즈 ROM플레이어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열어보면 회로 기판에 "U50"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불행히도 D70/U50은 Korg M1 및 T1/T2/T3ex 시리즈 기계와 경쟁하기 위해 급하게 생산되었으며, 이러한 설계 부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할 때 드러납니다. 이는 공손하게 "도전적인"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
 +D-70은 샘플 재생 엔진과 D50 스타일 TVF 필터를 결합하고 내장 효과 및 퍼커션 사운드 세트를 갖추고 있습니다. 필터는 공명이며 필요한 "웰리"를 추가합니다. 이것이 D-70의 구원의 특징입니다. 왜냐하면 필터가 사실상 꽤 괜찮기 때문입니다. 녹음된 드럼 샘플을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
 +성능적으로, D70은 가늠좋은 76개 키 키보드를 탑재한 슬림한 하우징에 있으며, 크기에 비해 놀랍도록 가벼운 편입니다. 왼쪽에는 큰 LCD 디스플레이가 있으며, 그 옆에는 4개의 할당 가능한 페이더가 있습니다. 볼륨 및 필터 컷오프 페이더 사이에는 "C1"이라고 표시된 다섯 번째 컨트롤러 페이더가 있습니다. 페이더는 왼쪽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레벨, 팬, 튜닝, 컷오프, 공명, 어택 및 릴리스와 같은 다음 파라미터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네 개의 페이더는 패치를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네 개의 톤에 해당하며, D50의 "상/하부 파셜"과 유사합니다. 그러나 적용하는 톤이 많을수록 다음 권한이 줄어듭니다. 이는 필터 스위핑, 톤의 상대적 수준 변경(드로우바 스타일 효과에 사용)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퍼포먼스자에게 실시간 조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추가 보너스로 페이더는 MIDI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
 +이로 인해 D70은 MIDI 설정에 대한 훌륭한 마스터 키보드가 됩니다. 마스터 키보드에서 찾을 수 있는 키보드 분할 및 영역 설정 기능이 있습니다. D70은 상당한 기능을 여러 부서에서 제공하여 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신디사이저입니다. 그리고 디지털 방식의 신디사이저임에도 불구하고 사운드가 상당히 따듯합니다. 
 +
 +간략히 말하자면, 이것은 좋은 롬플러입니다. 멋진 클래식 롤랜드 신디 사운드를 만들 수 있으며, 퍼포먼스/라이브/마스터 키보드로도 충분합니다. "진정한 신디사이저"를 찾고 있다면 실망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아쉽습니다. 조금 더 노력했다면 로랜드 측에서 이 것이 정말 대단한 작품이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실제로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D70은 중고 시장에서 찾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번 얻으면 아마도 내보내고 싶어하지 않을 것입니다.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1058.png}}
 +
 +====D-110====
 +
 +제 2 세대 D-50 스타일의 신디사이저. D-10은 디지털 LA Synthesis 방식의 신디사이저이며 D-110은 그것의 업그레이드 랙마운트 버전입니다. 양호한 어쿠스틱 사운드와 훌륭한 새로운 신디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는 D-10/110은 인기 있는 D-50의 저렴한 대안입니다. 톤, 파셜 및 팀버로 구성된 복잡한 합성/편집 방법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 모든 것은,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다면 흥미로운 독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까다로운 프로그래밍으로 요약됩니다. 기계 내 드럼 사운드, 리버브 이펙트 및 내부/외부 메모리 저장 기능도 플러스입니다.
 +
 +D-110 랙마운트 버전에는 6개의 개별 출력이 추가되었으며, 후속 모델인 D-20 키보드 버전에는 8트랙 시퀀서가 추가되었습니다. 예산이 적은 음악가에게 꼭 들어봐야 할 가치가 있습니다! Suzanne Vega, Future Sound of London 및 Information Society가 사용했습니다.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0655.png}}
 +
 +====D-550====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20240312-200214.png}}
 +
 +====PG-1000====
 +D-50, D-550의 파라미터 컨트롤러
 +
 +{{ :유저위키:신디사이저:pcm_synth:img_1536.webp |}}
 +
 +{{tag>엔진:PCM 방식:디지털}}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