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focusrite_isa110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focusrite_isa110 [2024/04/15] 정승환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focusrite_isa110 [2024/05/09] (현재) 정승환
줄 5: 줄 5:
 BJT 기반인 1073과 다른점은 1073은 내부 증폭 전압이 높기 때문에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해 출력 되는 전압을 낮추는 방식이고, ISA 는 입력에 트랜스포머를 내장((이후의 ISA 프리앰프들은 트랜스포머의 배선을 변경하는 스위치를 달아서 입력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하여 신호를 Op-amp 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한 후 출력에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BJT 기반인 1073과 다른점은 1073은 내부 증폭 전압이 높기 때문에 출력 트랜스포머를 사용해 출력 되는 전압을 낮추는 방식이고, ISA 는 입력에 트랜스포머를 내장((이후의 ISA 프리앰프들은 트랜스포머의 배선을 변경하는 스위치를 달아서 입력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하여 신호를 Op-amp 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한 후 출력에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이다.
  
-작동방식 : Op-amp, 입력 트랜포머(Lundahl LL1538)+개인적인 여담이지만 110 모델은 다른 ISA와 다르게 입력 임피던스 조절이 불가능((1.4kohm으로 고정))하여 ISA 특유의 입력 임피던스를 최고로 높혔을 때 발생하는 고역대의 과장 현상(AIR 라고 칭하는 듯)을 얻을 수가 없다.
  
 {{유저위키:아웃보드:20240130-172653.png}} {{유저위키:아웃보드:20240130-172653.png}}
줄 12: 줄 12:
  
 {{유저위키:아웃보드:20240130-171555.png}} {{유저위키:아웃보드:20240130-171555.png}}
 +
 +=====Preamp Topology=====
 +
 +[[음향:electric_circuit:op-amp:ne5534|NE5534]] Op-amp, 입력 트랜스포머([[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ll1538|Lundahl LL1538]])
  
 {{: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20240415-163902.png}} {{: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20240415-163902.png}}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유저위키/아웃보드/preamp/focusrite_isa110.171316678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4/1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