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유저위키:daw:pro_tools:carbon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유저위키:daw:pro_tools:carbon [2024/02/21]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유저위키:daw:pro_tools:carbon [2024/03/22]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Carbon======
 +
 +{{음향:daw:cubase:pro_tools:io:20220816-155004.png}}
 +
 +=====Carbon engine=====
 +
 +Avid 는 카본을 출시하면서 Carbon engine 시스템을 공개 했다.
 +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채널, 즉 인풋 모니터링이 활성화된 채널은 DSP 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플러그인 프로세싱을 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없는 채널, 즉 플레이백 채널은 CPU 가 플러그인 및 모든 프로세싱을 하여 인터널 버퍼(Cubase의 ASIO Guard와 같은 기능)로 플레이백 채널을 미리 프로세싱하여 실시간에 맞춰 내보내는 방식으로 Sync하는 방식이다. 즉, 레코딩은 DSP 로 돌고, 플레이백은 CPU로 돌면서 기존에는 모든 프로세싱을 DSP에 했던 것에 비해 상당히 많은 DSP 사용량이 세이브 가능하다.
 +
 +=====DSP latency=====
 +
 +{{음향:daw:cubase:pro_tools:io:20221020-161508.png}}
 +
 +=====CPU Native latency=====
 +
 +자체 DSP 를 통한 니어 제로 레이턴시 모니터링을 하기 때문에 CPU 네이티브 레이턴시는 오디오 녹음이나 프로세싱에서는 사실 의미가 없지만, MIDI 가상악기를 연주하거나 시퀀싱 하는 경우는 Output latency 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는 아직 의미가 있다.
 +
 +
 +{{음향:daw:cubase:pro_tools:io:20221020-161803.png}}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