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dac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dac [2025/01/01] – ↷ 문서가 음향:hardware:converter:dac에서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dac(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정승환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dac [2025/04/20]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D/A 컨버터======+======D-A 컨버터======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줄 7: 줄 7:
 컨버터 칩셋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면 약 1V<sub>peak</sub>의 출력 전압으로 나온다. 우리가 프로 라인 레벨로 사용해야하는 전압은 +4dBu(1.228V<sub>rms</sub>)이기 때문에 18dB 정도의 헤드룸을 고려하여 22dBu의 최대 출력 레벨이 필요하다. 그래서, 20dB 정도 증폭을 해야 최대 출력 22dBu(9.75V<sub>peak</sub>)의 출력을 낼 수 있다. 컨버터 칩셋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면 약 1V<sub>peak</sub>의 출력 전압으로 나온다. 우리가 프로 라인 레벨로 사용해야하는 전압은 +4dBu(1.228V<sub>rms</sub>)이기 때문에 18dB 정도의 헤드룸을 고려하여 22dBu의 최대 출력 레벨이 필요하다. 그래서, 20dB 정도 증폭을 해야 최대 출력 22dBu(9.75V<sub>peak</sub>)의 출력을 낼 수 있다.
  
-따라서, D/A 컨버터 회로에는 컨버터 칩셋 이후에도 20dB 정도를 증폭할 라인 앰프 회로와 밸런스 출력 전환 회로가 더 필요하고, D/A 컨버터 제품마다의 어느 정도의 음질 차이를 이야기 한다면 이 부분의 차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디지털 신호가 컨버터 칩을 통해 아날로그로 변경된 신호는 동일하지만, 그 아날로그 신호를 큰 아날로그 신호로 증폭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특히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에 사용하는 D/A 컨버터는 헤드폰 앰프 회로도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따라서, D-A 컨버터 회로에는 컨버터 칩셋 이후에도 20dB 정도를 증폭할 라인 앰프 회로와 밸런스 출력 전환 회로가 더 필요하고, D-A 컨버터 제품마다의 어느 정도의 음질 차이를 이야기 한다면 이 부분의 차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디지털 신호가 컨버터 칩을 통해 아날로그로 변경된 신호는 동일하지만, 그 아날로그 신호를 큰 아날로그 신호로 증폭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특히 헤드폰이나 이어폰 등에 사용하는 D-A 컨버터는 헤드폰 앰프 회로도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어느정도 차이가 있다.))
  
 =====듀얼채널 처리===== =====듀얼채널 처리=====
-일반적으로 밸런스 출력을 하는 컨버터는 싱글 채널만 사용하여 언밸런스 신호를 출력하여 버퍼회로를 통해 밸런스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D/A 컨버터를 듀얼채널로 구성해서 +신호와 -신호를 각기 다른 채널로 출력하게 하는 경우에, 듀얼 채널로 +신호와 -신호를 각기 출력하게 되므로 최대 출력 레벨에서 6dB의 이득을 보고, 다이내믹 레인지에서 측면에서도 6dB의 노이즈 감소 효과가 있다. 컨버터 채널을 두배로 구성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두배로 올라간다.+일반적으로 밸런스 출력을 하는 컨버터는 싱글 채널만 사용하여 언밸런스 신호를 출력하여 버퍼회로를 통해 밸런스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D-A 컨버터를 듀얼채널로 구성해서 +신호와 -신호를 각기 다른 채널로 출력하게 하는 경우에, 듀얼 채널로 +신호와 -신호를 각기 출력하게 되므로 최대 출력 레벨에서 6dB의 이득을 보고, 다이내믹 레인지에서 측면에서도 6dB의 노이즈 감소 효과가 있다. 컨버터 채널을 두배로 구성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두배로 올라간다.
  
   * +3.5V, -3.5V 듀얼채널 처리 : 19dBu, 싱글채널 전환 시 13dBu   * +3.5V, -3.5V 듀얼채널 처리 : 19dBu, 싱글채널 전환 시 13dBu
   * +5V, -5V 듀얼채널 처리 : 22dBu, 싱글채널 전환 시 16dBu   * +5V, -5V 듀얼채널 처리 : 22dBu, 싱글채널 전환 시 16dBu
   * +6V, -6V 듀얼채널 처리 : 24dBu, 싱글채널 전환 시 18dBu   * +6V, -6V 듀얼채널 처리 : 24dBu, 싱글채널 전환 시 18dBu
-  * +
 이러한 듀얼 채널 구성에서는 채널 하나를 오프하여 -6dB 출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 것도 있다. 보통은 여러가지 레벨 호환이 필요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레퍼런스 컨버터에 들어가는 기능이다. 이러한 듀얼 채널 구성에서는 채널 하나를 오프하여 -6dB 출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간 것도 있다. 보통은 여러가지 레벨 호환이 필요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레퍼런스 컨버터에 들어가는 기능이다.
  
  
-{{tag>"출력"}}+{{tag>출력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dac.173571501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