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start [2025/01/01]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audio_equipment:converter:start [2025/04/20]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컨버터====== | ||
+ | |||
+ | 컨버터는, | ||
+ | |||
+ | 따라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사운드 카드나, 오디오 인터페이스, | ||
+ | |||
+ | <WRAP group> | ||
+ | <WRAP half column> | ||
+ | {{indexmenu>: | ||
+ | </ | ||
+ | |||
+ | <WRAP half column> | ||
+ | {{indexmenu> | ||
+ | </ | ||
+ | </ | ||
+ | |||
+ | ===== ===== | ||
+ | |||
+ | {{namespace> | ||
+ | |||
+ | =====컨버터를 따로 사용하는 이유===== | ||
+ | |||
+ | 위에서 말했듯이, | ||
+ | |||
+ |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나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의 경우에도 라인 레벨 입출력이 있지만, 아날로그 아웃보드 하드웨어의 노미널 레벨과 서로 매칭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것은 대부분의 사운드 카드/ | ||
+ | |||
+ | 그에 비해 전용으로 ADC, DAC 등 외장 컨버터로 나오는 제품들은 다양한 하드웨어의 노미널 레벨과 매칭이 될 수 있도록, 입출력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다양한 입출력 옵션을 제공</ | ||
+ | |||
+ | 바로 위의 장비를 보면 알수 있듯이 다양한 아날로그 장비와의 레밸 매칭을 위한 옵션((19dBu, | ||
+ | |||
+ | 오디오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DAW 안에서만 모든 작업을 끝내는 경우((ITB , In the box))에는 이러한 외장 컨버터가 필요가 없을 수도 있으나, 여러가지 노미널 레벨을 가진 외장 아웃보드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경우라면, | ||
+ | |||
+ | **즉, " | ||
+ | |||
+ | =====마이크 프리앰프의 디지털출력===== | ||
+ | |||
+ | 마이크 프리앰프 아웃보드와 A-D 컨버터의 체인을 만들 시, 따로 A-D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 프리앰프가 디지털 출력을 지원하여 디지털로 서로 연결하는 경우, | ||
+ | |||
+ | **마이크 프리앰프 아날로그 출력 -> A-D 컨버터-> | ||
+ | 마이크 프리앰프 디지털 출력(내장 A-D 컨버터) -> DAW**\\ | ||
+ | |||
+ | 위의 두 과정은 유사해 보인다. | ||
+ | |||
+ | 하지만 내장된 디지털 출력의 경우 회로 구성에서 레퍼런스 사양의 높은 라인 레벨로 증폭할 필요가 전혀 없고, 또한 밸런스 입출력 회로를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매우 적은 비용으로 높은 기술 사양 없이도 바로 레퍼런스 레벨의 디지털로 출력하고 디지털로 입력 받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디지털 출력의 마이크 프리앰프를 사용하는 경우의 이득은 분명히 있다고 볼 수 있다. | ||
+ | |||
+ | 사실 이 장점은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마이크 프리앰프를 내장함으로 써 얻는 이득과 비슷하다. | ||
+ | |||
+ | =====모니터 스피커의 디지털 입력===== | ||
+ | |||
+ | 모니터 스피커와 D-A 컨버터의 체인을 만들시, 따로 D-A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모니터 스피커가 디지털 입력을 지원하여 디지털로 서로 연결하는 경우, | ||
+ | |||
+ | **DAW-> D-A 컨버터 -> 모니터 스피커 아날로그 입력\\ | ||
+ | DAW-> 모니터 스피커 디지털 입력(내장된 D-A 컨버터)**\\ | ||
+ | |||
+ | 위의 두 과정은 유사해 보인다. | ||
+ | |||
+ | 하지만 내장된 디지털 입력의 경우 회로 구성에서 높은 레퍼런스 사양의 라인 레벨로 증폭할 필요성이 전혀 없고, 밸런스 입출력 | ||
+ | |||
+ | 모니터 스피커의 경우 최근 제품들은 FIR 필터(Linear Phase filter, 디지털)를 이용한 크로스오버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그대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A-D 컨버팅 과정을 생략하는 부분에서 더 이득이라고 볼 수 있다. | ||
+ | |||
+ | 따라서 디지털 입력의 모니터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의 이득은 분명히 있다고 볼 수 있다. | ||
+ | |||
+ | {{tag>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