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audio_equipment:di: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audio_equipment:di:start [2025/01/01]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audio_equipment:di:start [2025/05/07]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DI====== | ||
+ | **D**irect **I**njection, | ||
+ | |||
+ | 언밸런스 입력 신호를, 밸런스 신호로 변경해주는 장치. 변경하는 이유는 신호를 더 먼거리((그래봤자 마이크 레벨로의 변환이라 30m 정도까지만 연장된다.))로 전송하기 위해서가 가장 크고, 두번째는 콘솔 입력이나 무대 위의 브레이크 아웃 박스 입력이 전부 마이크 레벨 입력일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 ||
+ | |||
+ | **출력되는 레벨은 마이크 레벨로 출력된다.((다시 말해서 DI는 언밸런스 라인 레벨 신호던 인스트루먼트 레벨 신호던 간에 상관없이 마이크 레벨로 신호를 감쇄한다.))** | ||
+ | |||
+ | 언밸런스로 출력해주는 장치의 신호는 컨슈머 레벨, 스피커 레벨(파워 앰프 출력), 인스트루먼트 레벨 등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입력 레벨에 최적화된 DI 박스가 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위의 Type-85 DI의 경우에는 Pickup, Input, Speaker 스위치가 있어서, 스피커 레벨, 일반 컨슈머 레벨 또는 인스트루먼트 레벨, 피에조 픽업 입력((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을 경우에는 피에조 픽업 입력도 가능하다))등을 받을 수 있다.</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위의 Rupert Neve DI의 경우에는 Speaker와 instrument 스위치가 있어서, 스피커 레벨 또는, 인스트루먼트 레벨을 받을 수 있다.</ | ||
+ | |||
+ | DI의 입력 스펙에 따라 다양한 입력 스펙이 있기 때문에, 소스가 만약 인스트루먼트 레벨의 장비 중에서도 패시브 악기((건전지가 안 들어가는 베이스 기타, 일렉트릭 기타))라면, | ||
+ | |||
+ | <WRAP group> | ||
+ | <WRAP half column> | ||
+ | {{indexmenu> | ||
+ | </ | ||
+ | |||
+ | <WRAP half column> | ||
+ | {{indexmenu>/ | ||
+ | </ | ||
+ | </ | ||
+ |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