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audio_equipment:recorder:cassetterecode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음향:audio_equipment:recorder:cassetterecoder [2025/01/01]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audio_equipment:recorder:cassetterecoder [2025/10/18] (현재) – 정승환 | ||
|---|---|---|---|
| 줄 1: | 줄 1: | ||
| + | ======카세트 테이프 MTR====== | ||
| + | |||
| + | **Cassette Tape** **M**ulti **T**rack **R**ecorder | ||
| + | |||
| + | 카세트 테이프 멀티트랙 레코더는 일반적인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여 4트랙에서 많게는 8트랙까지 멀티트랙 녹음이 가능한 포터블 장비이다. 이러한 장비는 가정에서도 손쉽게 다중 트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 ||
| + | |||
| + | 1979년, 일본 TEAC사의 기술 브랜드인 TASCAM이 발표한 **PortaStudio**(포르타스튜디오)는 최초의 상용 4트랙 카세트 MTR로, 전문 스튜디오 밖에서도 작곡, 녹음, 믹싱을 가능하게 한 혁신적인 장비였다. 이후 Akai, Fostex, Yamaha 등에서도 유사한 방식의 6트랙, 8트랙 모델이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 ||
| + | |||
| + | 카세트 테이프의 물리적 폭(3.81mm)은 본래 스테레오 재생용 4트랙 구조(좌/ | ||
| + | |||
| + | 초기의 PortaStudio는 사운드를 여러 번 ‘핑퐁 녹음(Bounce)’하여 트랙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 ||
| + | |||
| + | 그 결과, 1980~1990년대에 걸쳐 많은 밴드와 싱어송라이터들이 가정에서 직접 앨범 데모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 ||
| + | |||
| + | 비록 카세트 테이프의 한계(주파수 응답, 히스 노이즈, 마그네틱 감쇄 등)로 인해 오늘날의 디지털 MTR이나 DAW 시스템에 비해 음질은 열등하지만, | ||
| + | |||
| + | =====대표적 모델===== | ||
| + | * TASCAM PortaStudio 144, 424, 488 | ||
| + | * Fostex X-15, X-28H, XR-7 | ||
| + | * Yamaha MT4X, MT8X | ||
| + | * Akai MG1212 (카세트 기반 12트랙 하이브리드 모델) | ||
| + | |||
| + | =====특징 요약===== | ||
| + | * 표준 오디오 카세트 사용 (Type II 하이포지션 테이프 권장) | ||
| + | * 아날로그 믹서, EQ, AUX 루프 내장 | ||
| + | * 노이즈 리덕션 시스템 (Dolby / dbx) | ||
| + | * 4~8트랙 동시녹음 또는 오버더빙 | ||
| + | * 핑퐁 바운스 기능으로 확장된 트랙 수 구현 | ||
| + | * 가정용 멀티트랙 녹음기의 원형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음향: | ||
| + | |||
| + | {{tag>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