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k-system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마지막 판양쪽 다음 판
음향:level:k-system [2024/04/07] 정승환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k-system [2024/04/12]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줄 1: 줄 1:
-======K-System====== 
  
-Dolby Stereo 시스템은 시네마 프로세서의 Level 7에서 각각의 스피커를 청치 위치에서 85dBSPL로 조정하도록 제시했습니다. 그 이후에 등장한 Dolby Digital(AC-3)과 DTS에서는 거기에 추가하여, 홈시어터 환경에서는 Level 7에서 기존보다 -6dB 낮춘 79dBSPL로 조정하도록 제시했습니다.((아무래도 극장이 아닌 가정집에서는 85dBSPL 는 너무 자비 없이 큰소리였습니다.))  
- 
-그에 따라, 마스터링 엔지니어인 Bot katz는 다음과 같은 마스터링 방식을 제시 했습니다. 
- 
-  * Since -20dBFS = -6VU = **79dBSPL** 
-  * then -14dBFS = 0VU = **85dBSPL** 
- 
-Bob은 이러한 -14dBFS 를 85dBSPL로 표현하는 마스터링 과정 중에서 [[유저위키:미터:dorrogh_meter|Dorrough 미터]]를 사용하면서 모든 곡들의 크레스트 팩터를 관찰 했고 대부분 14dB의 크레스트 팩터를 가지는 것에 주목했습니다. 
- 
-<WRAP box> 
-By now, I've mastered over 100 CDs at the 79dB calibration, with very satisfied 
-clients. In 1994 I installed a pair of Dorrough meters, in order to view the 
-simultaneous average and Peak level on the same scale. These meters use a scale 
-with 0 average (Dorrough's version of VU) at 14dB below full digital scale. Full 
-scale is marked as +14dB. This scale is useful for music mastering engineers, since a 
-conservatively-recorded stereo 1/2" 30IPS analog tape rarely has a crest factor 
-greater than 14dB. For most individuals with normal hearing working in a small 
-room, 79dB calibration (at -20dBFS) results in a **14dB crest factor**, or perhaps 
-you may choose to look at it the other way (a **14dB crest factor** will naturally lead 
-to a 79dB calibration). They're both sides of the same coin. 
- 
-지금까지 나는 79dB 보정으로 100개 이상의 CD를 마스터링했으며, 매우 만족한 고객들을 보았다. 1994년에는 동시에 평균과 피크 레벨을 동일한 스케일에서 볼 수 있도록 Dorrough 미터를 설치했다. 이 미터는 평균값이 0이며(Dorrough의 VU 버전), 전체 디지털 스케일에서 14dB 아래에 표시된다. 전체 스케일은 +14dB로 표시된다. 이 스케일은 음악 마스터링 엔지니어에게 유용하며, 보수적으로 녹음된 스테레오 1/2" 30 IPS 아날로그 테이프는 거의 항상 14dB보다 큰 크레스트 팩터를 가지지 않는다. 보통의 청각력을 가진 작은 공간에서 작업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79dB 보정(-20dBFS에서)이 **14dB 크레스트 팩터**를 결과로 낳는다. 혹은 **14dB 크레스트 팩터**가 자연스럽게 79dB 보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는 둘 다 같은 코인의 양면이다. 
-</WRAP> 
- 
-이러한 수많은 마스터링을 프로그램별로 분류를 하면서 20dB의 크레스트 팩터, 14dB의 크레스트 팩터, 12dB의 크레스트 팩터를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게 제시하여 아래와 같은 마스터링 표준을 제시합니다.  
- 
-=====VU 미터의 문제점===== 
- 
-기존의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전통적인 VU 미터의 헤드룸을 조정하여 사용했지만, VU 미터의 본질적 목적은 마스터링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용하기가 힘들었습니다. 
- 
-{{ :음향:level:20240308-023130.png }} 
- 
-따라서, K-System 은 Dorrough 미터와 같은 장비를 통해 미터링을 할 것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 
-{{page>유저위키:미터:dorrogh_meter}} 
- 
-=====K-20, K-14, K-12===== 
- 
-{{정승환_컬럼:calibration_of_monitor_speaker:20220112-220007.png}} 
-  * K-20 : 20dB 헤드룸  
-  * K-14 : 14dB 헤드룸 
-  * K-12 : 12dB 헤드룸 
- 
-K-System은 LUFS 미터가 등장하기 전까지 오랫동안 마스터링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 
-=====Reference===== 
- 
-[[https://www.aes.org/technical/documentDownloads.cfm?docID=65|Bob katz-An Integrated Approach to Metering, Monitoring, and Levelling 
-Practices 
-]] 
- 
-{{ 정승환_컬럼:integrated_v0_5_wp_.pdf|Bob katz-An Integrated Approach to Metering, Monitoring, and Levelling 
-Practices}}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k-syste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4/12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