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양쪽 다음 판
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start [2024/04/13] – [모던 마스터링] 정승환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start [2024/04/14] – 바깥 편집 127.0.0.1
줄 29: 줄 29:
 다양한 재생 기기들에서 음원을 재생할 때의 생기는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음원의 최종 톤 프로세싱 및 음원의 소리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이 주로 포함된다. 증폭이 충분하지 못한 재생기기에서도 충분한 음량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라우드니스를 확보하거나, 증폭이 충분히 확보된 재생기기에서 깨끗한 음질로 재생될 수 있도록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 하는 방향 사이에서 적절한 음량을 결정한다.((마스터링은 무조건 라우드니스만 크게 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재생 기기들에서 음원을 재생할 때의 생기는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음원의 최종 톤 프로세싱 및 음원의 소리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이 주로 포함된다. 증폭이 충분하지 못한 재생기기에서도 충분한 음량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라우드니스를 확보하거나, 증폭이 충분히 확보된 재생기기에서 깨끗한 음질로 재생될 수 있도록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보 하는 방향 사이에서 적절한 음량을 결정한다.((마스터링은 무조건 라우드니스만 크게 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  * 16bit 디지털 포맷의 레퍼런스 레벨 : -12dBFS +  * 16-bit 디지털 포맷의 레퍼런스 레벨 : -12dBFS 
-  * 24bit 디지털 포맷의 레퍼런스 레벨 : -18dBFS+  * 24-bit 디지털 포맷의 레퍼런스 레벨 : -18dBFS
  
 =====마스터링 이퀄라이저===== =====마스터링 이퀄라이저=====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audio_production/mastering/star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2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