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direct_monitoring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direct_monitoring [2023/10/11] – [다이렉트 모니터링] 정승환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direct_monitoring [2024/03/25]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3: 줄 3:
 소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들어가서 CPU로 처리되어 나오는 모니터링 방식을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이라고 하는데, 이와는 반대로 입력된 소리가 컴퓨터에 들어가기 전에 가로채서 아웃풋으로 직접 보내서 모니터링 하게 하는 방식을 다이렉트 모니터링이라고 한다.((사실 오디오 인터페이스(또는 A/D 컨버터 또는 레코더)는 녹음 용도로만 사용하고 모니터링은 따로 믹스 콘솔을 사용하는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console_monitoring|Console monitoring]]이 원래 전통적인 녹음할 때의 모니터링 방식의 정석이다.)) 소리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들어가서 CPU로 처리되어 나오는 모니터링 방식을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이라고 하는데, 이와는 반대로 입력된 소리가 컴퓨터에 들어가기 전에 가로채서 아웃풋으로 직접 보내서 모니터링 하게 하는 방식을 다이렉트 모니터링이라고 한다.((사실 오디오 인터페이스(또는 A/D 컨버터 또는 레코더)는 녹음 용도로만 사용하고 모니터링은 따로 믹스 콘솔을 사용하는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console_monitoring|Console monitoring]]이 원래 전통적인 녹음할 때의 모니터링 방식의 정석이다.))
  
-<bootnote+<WRAP info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경우에는 DAW와 CPU에서 처리되어 나오는 소리를 모니터링 하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되거나, 플러그인 프로세싱을 거친 소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지만, 그 만큼 사운드 시그널을 처리하는 시간이 걸려서 Latency가 발생 한다.</bootnote>+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의 경우에는 DAW와 CPU에서 처리되어 나오는 소리를 모니터링 하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되거나, 플러그인 프로세싱을 거친 소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지만, 그 만큼 사운드 시그널을 처리하는 시간이 걸려서 Latency가 발생 한다.</WRAP>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입력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아웃풋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Latency가 아예 없거나, 매우 적다(Near zero latency) 하지만, 컴퓨터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되거나, 플러그인 프로세싱 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입력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아웃풋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Latency가 아예 없거나, 매우 적다(Near zero latency) 하지만, 컴퓨터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되거나, 플러그인 프로세싱 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줄 22: 줄 22:
 {{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134.png}} {{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134.png}}
  
-버튼 방식은 녹음하는 소리와 컴퓨터에서 나오는 MR 의 소리 크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DAW 에서 따로 그 트랙의 페이더를 조절해야 함)) 단점이 있기 때문에, 버튼 방식에서 좀더 진보하여 이렇게 Mix Knob 으로 구성하여, 녹음하는 소리와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든 방식이다.+버튼 방식은 녹음하는 소리와 컴퓨터에서 나오는 MR 의 소리 크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DAW 에서 따로 그 트랙의 페이더를 조절해야 함)) 단점이 있기 때문에, 버튼 방식에서 좀더 진보하여 이렇게 믹스 Knob 으로 구성하여, 녹음하는 소리와 컴퓨터에서 나오는 소리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만든 방식이다.
  
 =====DSP 믹서===== =====DSP 믹서=====
  
-노브 방식이나 버튼 방식은 입출력이 적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효과적이지만, 입출력이 여러 개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노브 하나만으로 모든 입력의 소리를 각각 조절할 수 없고((그러나 TASCAM 은 그렇게 한 적이 있다. 모든 입출력을 단 1개의 MIX 노브로 다이렉트 모니터링 컨트롤.\\+노브 방식이나 버튼 방식은 입출력이 적은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효과적이지만, 입출력이 여러개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노브 하나만으로 모든 입력의 소리를 각각 조절할 수 없고((그러나 TASCAM 은 그렇게 한 적이 있다. 모든 입출력을 단 1개의 MIX 노브로 다이렉트 모니터링 컨트롤.\\
 {{:음향:20220220-204216.png}}\\ {{:음향:20220220-204216.png}}\\
 {{:음향:20220220-205630.png}}\\ {{:음향:20220220-205630.png}}\\
-{{:음향:20220220-205720.png}})), 그렇다고 노브를 입력, 출력 갯수만큼 다는 것도 무리가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소리를 조절하는 DSP칩을 내장하고, 그 DSP칩을 통해서 간단한 입력/출력 조절이 가능한 DSP mixer software((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내장된 DSP로 돌아간다.))를 내장하여, 각각의 입력의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 방식이 많이 발전하면, 디지털 믹서처럼 이퀄라이저 컴프레서 등이 내장되고, 연주자 별 모니터 믹스를 여러 개를 조절 가능 하게 만드는 등, 기능이 뛰어난 것들도 있다. +{{:음향:20220220-205720.png}})), 그렇다고 노브를 입력, 출력 갯수만큼 다는 것도 무리가 있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소리를 조절하는 DSP칩을 내장하고, 그 DSP칩을 통해서 간단한 입력/출력 조절이 가능한 DSP 믹서((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내장된 DSP로 돌아간다.))를 내장하여, 각각의 입력의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 방식이 많이 발전하면, 디지털 믹서처럼 이퀄라이저 컴프레서 등이 내장되고, 연주자 별 모니터 믹스를 여러 개를 조절 가능 하게 만드는 등, 기능이 뛰어난 것들도 있다. 
  
-더 발전하면 더 강력한 DSP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DSP Mixer에서 DSP로 작동하는 플러그인을 불러와서 걸어 쓰는 방식들도 있다.(Steinberg, UA, Waves, Metric Halo, Antelope)+더 발전하면 더 강력한 DSP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DSP 믹서에서 DSP로 작동하는 플러그인을 불러와서 걸어 쓰는 방식들도 있다.(Steinberg, UA, Waves, Metric Halo, Antelope)
  
 {{page>음향:hardware:audio_interface:dsp_mixer&noheader}} {{page>음향:hardware:audio_interface:dsp_mixer&noheader}}
 +
 =====DAW와 연동된 DSP방식===== =====DAW와 연동된 DSP방식=====
  
 아예 DAW 자체가 CPU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의 DSP 칩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제품들은 해당 DAW의 오디오 엔진이 아예 DSP로 돌아가기 때문에 Latency가 매우 적은 상태로 오디오 엔진이 돌아간다. 이 경우는 DAW가 DSP 처리를 하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하거나 플러그인을 걸은 것들도 DSP로 처리되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된다. 하지만 해당 DAW 전용의 특수한 플러그인 포맷이 따로 있고, 또한 전용의 플러그인들은 일반적인 플러그인들보다 더 가격이 비싼 편이다. 아예 DAW 자체가 CPU를 사용하지 않고 전용의 DSP 칩을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제품들은 해당 DAW의 오디오 엔진이 아예 DSP로 돌아가기 때문에 Latency가 매우 적은 상태로 오디오 엔진이 돌아간다. 이 경우는 DAW가 DSP 처리를 하기 때문에, DAW에서 조절하거나 플러그인을 걸은 것들도 DSP로 처리되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된다. 하지만 해당 DAW 전용의 특수한 플러그인 포맷이 따로 있고, 또한 전용의 플러그인들은 일반적인 플러그인들보다 더 가격이 비싼 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AVID 의 ProTools HDX(DSP)\\ +대표적인 경우가 Avid의 Pro Tools HDX(DSP)이다.\\ 
-ProTools의 경우 DSP로 돌아가는 방식((AAX DSP))과 CPU Native((AAX Native))로 돌아가는 방식 둘 다 있다. (CPU Native 방식은 당연히 레이턴시의 영향을 받는다.) +Pro Tools의 경우 DSP로 돌아가는 방식((AAX DSP))과 CPU Native((AAX Native))로 돌아가는 방식 둘 다 있다. (CPU Native 방식은 당연히 레이턴시의 영향을 받는다.)
- +
-{{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454.png}} +
- +
-UA Luna+
  
-{{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501.png}}+<WRAP centeralign box>{{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454.png|Pro Tools}}\\ 
 +Pro Tools</WRAP>
  
-또는 PYRAMIX(Masscore)+<WRAP centeralign box>{{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501.png|UA Luna}}\\ 
 +UA Luna</WRAP>
  
-{{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510.png}}+<WRAP centeralign box>{{음향:direct_monitoring:pasted:20220112-193510.png|PYRAMIX(Masscore)}}\\ 
 +PYRAMIX(Masscore)</WRAP>
  
 위 DAW들은 모두 자체 DSP 카드를 통해서 자체 DSP 오디오 처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매우 짧다(Near zero latency) 위 DAW들은 모두 자체 DSP 카드를 통해서 자체 DSP 오디오 처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레이턴시가 매우 짧다(Near zero latency)
줄 56: 줄 56:
 =====ASIO direct monitoring===== =====ASIO direct monitoring=====
  
-{{page>음향:daw:cubase:asio_direct_monitoring&noheader&doindent&nofooter}}+{{page>음향:daw:cubase:asio_direct_monitoring&noheader&doindent}}
  
  
 =====Advanced intergration(AI)===== =====Advanced intergration(AI)=====
  
-AI 를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Steinberg 제품들))를 사용시, 큐베이스의 ASIO device 설정에서 Direct Monitoring 설정에 체크 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I 를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Steinberg 제품들))를 사용시, Cubase의 ASIO device 설정에서 Direct Monitoring 설정에 체크 하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큐베이스의 Input monitor 기능과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을 싱크 시켜 큐베이스 안에서 다이렉트 모니터링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해주고, 프리앰프 컨트롤이나 DSP mixer 의 플러그인이나 리버브 컨트롤도 큐베이스 안에서 직접 할 수 있도록 해준다.+Cubase의 Input monitor 기능과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을 싱크 시켜 Cubase 안에서 다이렉트 모니터링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게 해주고, 프리앰프 컨트롤이나 DSP 믹서의 플러그인이나 리버브 컨트롤도 Cubase 안에서 직접 할 수 있도록 해준다.
  
-{{page>음향:daw:cubase:ai_advanced_integration&noheader&nofooter}}+{{page>음향:daw:cubase:ai_advanced_integration&noheader}}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audio_production/recording/direct_monitoring.16970228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0/11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