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aw:cubase:conrol_room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aw:cubase:conrol_room [2024/02/18] 정승환음향:daw:cubase:conrol_room [2024/06/01] (현재) – [Control Room] 정승환
줄 5: 줄 5:
 **Monitor 버스**의 경우 Monitor(모니터 스피커), Phone(헤드폰), Mono/DIM/Mute/Ref, Listen 버스, Talkback, Metronome on/off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Monitor 버스**의 경우 Monitor(모니터 스피커), Phone(헤드폰), Mono/DIM/Mute/Ref, Listen 버스, Talkback, Metronome on/off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CUE 버스** 의 경우 4개가 지원되어 최대 4명의 연주자가 각기 다른 모니터 믹스를 들을 수 있다. 또한, 각 CUE 버스에 대한 Talkback on/off, Metronome on/off 기능 등이 지원된다. +**CUE 버스**의 경우 4개가 지원되어 최대 4명의 연주자가 각기 다른 모니터 믹스를 들을 수 있다. 또한, 각 CUE 버스에 대한 Talkback on/off, Metronome on/off 기능 등이 지원된다. 
  
 여기에 추가로, 외부 입력을 Cubase 내에서 쓸 수 있게 **External input** 버스가 지원된다. 여기에 추가로, 외부 입력을 Cubase 내에서 쓸 수 있게 **External input** 버스가 지원된다.
  
-<bootnote+<WRAP info
-Steinberg 사의 [[음향:daw:cubase:ai_advanced_integration|AI 기능]]이 지원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컨트롤 룸 기능의 일부가 DSP 기반으로 작동하게 된다. Main monitor와 CUE 버스가 렉트 모니터링으로 동작하게 된다.((다만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사양에 따라 몇개의 CUE 버스까지 지원되는지는 다르다.)) ASIO direct monitoring 만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Main 버스(Stereo out)로만 렉트 모니터링으로 동작하는 것과는 차이가 크다.((Advanced Integrated(AI) > ASIO direct monitoring))</bootnote>+Steinberg 사의 [[음향:daw:cubase:ai_advanced_integration|AI 기능]]이 지원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컨트롤 룸 기능의 일부가 DSP 기반으로 작동하게 된다. Main monitor와 CUE 버스가 제로 레턴시로 동작하게 된다.((다만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사양에 따라 제로 레이턴시로 동작하는 CUE 버스의 갯수는 다르다.)) ASIO direct monitoring 만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Main 버스(Stereo out)로만 제로 레턴시로 동작하는 것과는 차이가 크다.((Advanced Integrated(AI) > ASIO direct monitoring))</WRAP>
  
 =====Control room signal flow===== =====Control room signal flow=====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07-190738.png }}+{{ 음향:daw:cubase:20220207-190738.png }}
  
 Nuendo 와 Cubase Pro 간의 지원되는 Talkback이나 External input, Monitor, Headphone의 갯수가 조금씩 다르다.((누엔도가 더 많음 . ex) 토크백 마이크 4개 까지도 사용가능. 또한 Cubase Pro의 경우 모니터 아웃에 대한 소스가 Stereo out 1 로만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누엔도의 경우는 소스를 선택이 가능하다.\\ Nuendo 와 Cubase Pro 간의 지원되는 Talkback이나 External input, Monitor, Headphone의 갯수가 조금씩 다르다.((누엔도가 더 많음 . ex) 토크백 마이크 4개 까지도 사용가능. 또한 Cubase Pro의 경우 모니터 아웃에 대한 소스가 Stereo out 1 로만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누엔도의 경우는 소스를 선택이 가능하다.\\
-{{음향:software:daw:cubase:20220416-162626.png}}))+{{음향:daw:cubase:20220416-162626.png}}))
  
 ====Control room Preference==== ====Control room Preference====
 <key>Project</key> -> <key>Preference</key> -> <key>VST</key> -> <key>Control room</key>  <key>Project</key> -> <key>Preference</key> -> <key>VST</key> -> <key>Control room</key>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26-120016.png }}+{{ 음향:daw:cubase:20220226-120016.png }}
  
   * **Show Control Room Volume in Transport panel** : 트랜스포트 패널에 컨트롤룸 볼륨 슬라이더를 표시한다.   * **Show Control Room Volume in Transport panel** : 트랜스포트 패널에 컨트롤룸 볼륨 슬라이더를 표시한다.
   * **Auto Disable Talkback Mode** : 토크백 자동 해제 설정   * **Auto Disable Talkback Mode** : 토크백 자동 해제 설정
   * **Use Phones Channel as Preview Channel** : 컨트롤룸의 Phone out을 Preview로만 사용한다. 이 옵션을 활용하면 컨트롤룸에서 Phone out이 사라진다.   * **Use Phones Channel as Preview Channel** : 컨트롤룸의 Phone out을 Preview로만 사용한다. 이 옵션을 활용하면 컨트롤룸에서 Phone out이 사라진다.
-  * **Dim cue during Talkback** : 토크백이 켜지면 CUE out의 소리를 줄인다.+  * **Dim cue during Talkback** : 토크백이 켜지면 CUE 아웃의 소리를 줄인다.
   * **Exclusive Device Ports for Monitor Channels** : 모니터 아웃에 지정된 하드웨어 아웃풋을 다른 아웃풋에 사용할 수 없게 한다.   * **Exclusive Device Ports for Monitor Channels** : 모니터 아웃에 지정된 하드웨어 아웃풋을 다른 아웃풋에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줄 31: 줄 31:
 =====Monitor 버스===== =====Monitor 버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07-185555.png }}+{{ 음향:daw:cubase:20220207-185555.png }}
  
 Cubase 내부에서 모니터 컨트롤러의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Cubase 내부에서 모니터 컨트롤러의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줄 52: 줄 52:
 헤드폰 아웃에 대한 컨트롤 헤드폰 아웃에 대한 컨트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07-190945.png }}+{{ 음향:daw:cubase:20220207-190945.png }}
  
 <key>Preference</key> -> <key>VST</key> -> <key>Control room</key>에서 <key>Use Phone channel as Preview Channel</key>에 체크 하면 VariAudio 나 Mediabay에서 소리를 들어보는 Preview가 헤드폰 아웃으로만 나오게 됩니다. <key>Preference</key> -> <key>VST</key> -> <key>Control room</key>에서 <key>Use Phone channel as Preview Channel</key>에 체크 하면 VariAudio 나 Mediabay에서 소리를 들어보는 Preview가 헤드폰 아웃으로만 나오게 됩니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417-131155.png }}+{{ 음향:daw:cubase:20220417-131155.png }}
  
  
줄 62: 줄 62:
  
 총 4명의 연주자에게 각각의 모니터 믹스를 줄 수 있는 4개의 CUE 버스가 있다.\\ 총 4명의 연주자에게 각각의 모니터 믹스를 줄 수 있는 4개의 CUE 버스가 있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07-191508.png }}+{{ 음향:daw:cubase:20220207-191508.png }}
  
-각각의 믹서 채널에서 각각의 CUE 버스로 보내는 레벨 조정은 CUE Send를 통해 조정한다.\\ +각각의 믹서 채널에서 각각의 CUE 버스로 보내는 레벨 조정은 CUE 센드를 통해 조정한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26-132131.png }}+{{ 음향:daw:cubase:20220226-132131.png }}
  
-이렇게 각각의 채널에서 각각의 CUE 버스 로 보내는 CUE Send를 다르게 줌으로써, 각각의 CUE 에 해당하는 연주자는 메인 믹스와는 다른 개별 모니터 믹스를 들을 수 있다.+이렇게 각각의 채널에서 각각의 CUE 버스 로 보내는 CUE 센드를 다르게 줌으로써, 각각의 CUE 에 해당하는 연주자는 메인 믹스와는 다른 개별 모니터 믹스를 들을 수 있다.
  
-각 채널에서 CUE Send를 보기 위해서는 Cubase 믹서 창의 Racks에서 CUE Send를 활성화 해야 한다. 디폴트로 CUE Send 믹서의 채널 창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따로 보이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볼 수 있다.\\ +각 채널에서 CUE 센드를 보기 위해서는 Cubase 믹서 창의 Racks에서 CUE 센드를 활성화 해야 한다. 디폴트로 CUE 센드 믹서의 채널 창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따로 보이도록 설정을 해주어야 볼 수 있다.\\ 
-{{ 음향:software:daw:cubase:20220226-132258.png }}+{{ 음향:daw:cubase:20220226-132258.png }}
  
 =====External input===== =====External input=====
-<WRAP right column 40%>{{음향:software:daw:cubase:20220207-192013.png}}</WRAP>+<WRAP right column 40%>{{음향:daw:cubase:20220207-192013.png}}</WRAP>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지정하여 External 인풋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지정하여 External 인풋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인 모니터 아웃이나 헤드폰 아웃, 또는 CUE 아웃에서 <key>EXT</key> 를 선택하면 External 인풋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해당 버스로 들을 수 있다.  메인 모니터 아웃이나 헤드폰 아웃, 또는 CUE 아웃에서 <key>EXT</key> 를 선택하면 External 인풋으로 들어오는 소리를 해당 버스로 들을 수 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daw/cubase/conrol_room.170826269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8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