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igital:bitrat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igital:bitrate [2025/06/27] – [동영상의 비트레이트] 정승환음향:digital:bitrate [2025/06/27] (현재) – [오디오의 비트레이트] 정승환
줄 3: 줄 3:
 **Bitrate, 전송률**  **Bitrate, 전송률** 
  
-비트레이트는 데이터 전송률을 의미하며,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냅니다. 주로 bps(**b**its **p**er **s**econd) 단위를 사용하며, Kbps(**k**ilo**b**its **p**er **s**econd), Mbps(**M**ega**b**its **p**er **s**econd) 등으로 표현됩니다.+비트레이트는 데이터 전송률을 의미하며, 1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냅니다. 주로 bps 단위를 사용하며, Kbps, Mbps 등으로 표현됩니다.
  
-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음질이나 영상 품질이 향상되지만, 파일 크기도 증가합니다.+>비트레이트가 높을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음질이나 영상 품질이 향상되지만, 파일 크기도 증가합니다.
  
   * **bit** : b, Mb, 1글자   * **bit** : b, Mb, 1글자
줄 22: 줄 22:
 비트레이트는 바로 이때 **bit/s, bps**(1초당 비트)의 값을 이야기하므로, 비트레이트는 바로 이때 **bit/s, bps**(1초당 비트)의 값을 이야기하므로,
  
-Stereo 16bit 44.1kHz 는 **1411kbps** (**k**ilo **b**it **p**er **s**econd, 1초당 킬로 비트값) 이다.+>스테레오 16bit 44.1kHz 는 **1411kbps**이다.
  
-대중적으로 많이 쓰는 **MP3 192kbps** 라는 뜻은 바로 이 1초당 비트값이 192K = 192000bps 라는 뜻이다.(( +대중적으로 많이 쓰는 **MP3 192kbps** 라는 뜻은 바로 이 1초당 비트값이 192K = 192,000 라는 뜻이다.((PCM wave 파일(1411kbps)에 비해서 1/10 정도로 손실 압축))
-PCM wave 파일(1411kbps)에 비해서 1/10 정도로 손실 압축 +
-))+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 비트레이트(**kbps**)와 샘플레이트(**kHz**), 비트 뎁쓰(16bit, 24bit) 등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 비트레이트(**kbps**)와 샘플레이트(**kHz**), 비트 뎁쓰(16bit, 24bit) 등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현재의 HDD나 SSD와 같은 저장장치의 성능으로 볼 때 무엇을 써도 전혀 무리 없이 컴퓨터를 통한 멀티 트랙 레코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실사용에서는 SSD에 녹음을 하는 것이 좀 더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것에 대한 원인으로는 순차적 읽기/쓰기 속도는 HDD도 충분히 빠르지만, 무작위 읽기/쓰기 속도는 HDD가 SSD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 때문으로 생각 된다. 현재의 HDD나 SSD와 같은 저장장치의 성능으로 볼 때 무엇을 써도 전혀 무리 없이 컴퓨터를 통한 멀티 트랙 레코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실사용에서는 SSD에 녹음을 하는 것이 좀 더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이것에 대한 원인으로는 순차적 읽기/쓰기 속도는 HDD도 충분히 빠르지만, 무작위 읽기/쓰기 속도는 HDD가 SSD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 때문으로 생각 된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digital/bitrate.17509782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