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 [2022/05/25]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정승환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 [2024/02/23] (현재) – [ADAT Lightpipe] 정승환
줄 1: 줄 1:
-======ADAT(Digital protocol)======+======ADAT Lightpipe======
  
-Alesis 사의 멀티 트랙 레코더 인 ADAT에서 쓰이던 디지털 멀티 채널 전송 방식.\\ +Alesis 사의 멀티 트랙 레코더인 ADAT에서 쓰이던 디지털 멀티 채널 전송 방식.\\ 
-TOSLINK 케이블((광케이블))로 8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 TOSLink 커넥터 
-최대 전송 거리는 5m\\+  * 광케이블 
 +  * 최대 8채널@44.1kHz, 48kHz 
 +  최대 전송 거리 5m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12.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12.png}}
  
-ADAT 레코더에는 추가 디지털 입출력 포트가 장착되어 있었는데, 이 포트가 ADAT light pipe 이다. +ADAT 레코더에는 추가 디지털 입출력 포트가 장착되어 있었는데, 이 포트가 ADAT lightpipe 이다. 
-레코더의 입출력을 자체 아날로그 입출력 대신 다른 컨버터를 연결하거나ADAT 끼리 연결할 때 사용했었다.+레코더의 입출력을 자체 아날로그 입출력 대신 다른 컨버터를 연결하거나 ADAT 끼리 연결할 때 사용했었다.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44.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44.png}}
줄 16: 줄 18: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53.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053.png}}
  
-최근에는 주로 디지털 콘솔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수를 확장하는데 사용한다.((워낙 오래된 디지털 전송 프로토콜이라 그런지, 기술 사용 비용이 아주 저렴한 것 같음.))+주로 디지털 콘솔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출력 수를 확장하는데 사용한다.((워낙 오래된 디지털 전송 프로토콜이라 그런지, 라이선스 비용이 아주 저렴한 것 같음.))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128.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pasted:20220112-202128.png}}
  
-기본 ADAT light pipe 는 44.1/48kHz 의 샘플레이트로 8채널을 전송할 수 있지만, S/MUX라는 확장 프로토콜 기능이 있는 경우, 88.2/96kHz 4채널 또는 176.4/192kHz 2채널 전송도 가능하다. TOSLINK 로 연결 가능한 최대 연결 거리는 5m 정도+=====S/MUX===== 
 +기본 ADAT lightpipe 는 44.1/48kHz 의 샘플링 레이트로 8채널을 전송할 수 있지만, S/MUX라는 확장 프로토콜 기능이 있는 경우, 88.2/96kHz 4채널 또는 176.4/192kHz 2채널 전송도 가능하다.
  
-ADAT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전송이기 때문에 Word Clock 신호를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히 소수의 기기를 서로 ADAT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 Word Clock 신호도 문제 없이 연결된다. 하지만, TOSLINK 케이블에서 Word Clock의 전송 범위는 6m 정도로 먼거리를 전송하지 못한다. 또한 여러 대의 기기를 ADAT로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TOSLINK 케이블이 총 6m((ADAT 전송 거리 체가 5m 라..이 정도면 신호도 제대로 전송이 안된다.)) 를 넘는 정도의 범위가 되면 워드클럭의 신호는 완벽히 전송되지 못한다.또한 전송하는 채널의 수가 많거나S/MUX를 이용해 높은 샘플레이로 전송는 경우에도 워드클럭의 신호가 완벽히 전송되지 못할 수 있다. ((여러 대의 디지털 장비를 디지털 케로 연결하는 경우 외장 워드클럭 장비를 사용해서 병렬 연결을 하는 것이 좋다.))+=====클럭===== 
 +ADAT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전송이기 때문에 워드클럭 신호를 포함하고 있어서 단순히 소수의 기기를 서로 ADAT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 워드클럭 신호도 문제 없이 연결된다. ADAT 자를 통한 워드클럭 신호는 ADAT 아웃 -> ADAT 인풋의 방향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디털 출력을 하는 장비를 클럭 마스터디지털 입력을 받는 장비를 클럭 슬레브로 사하게 된다. 만약 클럭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반대로 사용고 싶다면 워드클럭 케이블을 사용하여 클럭 마스터로 사용할 장비에서 클럭 슬레로 쓸 비로 워드클럭 아웃 -> 워드클럭 인풋 연결을 해주어야 한다.
  
-{{page>음향:hardware:recorder:adat&noinden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dat.165345773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05/25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