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_ebu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_ebu [2023/09/04] – [AES59] 정승환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_ebu [2024/03/28]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AES/EBU======+======AES/EBU(AES3)======
  
 =====AES3===== =====AES3=====
  
-AES 와 EBU 에서 공동 개발한, 2채널 디지털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 192KHz가 가능하다.+AES와 EBU에서 공동 개발한, 2채널 디지털 오디오 전송 프로토콜.
  
-커넥터/케이블은 XLR 커넥터/케이블을 사용하며 케이블은 110의 임피던스에 호환되어야 한다.((일반 오디오 케이블과 임피던스가 다름)) +커넥터/케이블은 XLR 커넥터/케이블을 사용하며 케이블은 110의 임피던스에 호환되어야 한다.((일반 오디오 케이블과 임피던스가 다름)) 
- +  * XLR 커넥터 
-최대 전송 거리는 100m+  * 110옴 케이블 
 +  * 2채널 @최대 192kHz 
 +  최대 전송 거리 100m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3:pasted:20220112-205608.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3:pasted:20220112-205608.png}}
줄 13: 줄 15:
 =====AES59===== =====AES59=====
  
-아래 사진처럼 D-SUB 커넥터를 이용해서 8채널을 구성하기도 하는 것은 AES59 라고 하며, Tascam 방식의 핀배열과 Yamaha 방식의 핀 배열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서로 호환되지 않는다.))표준은 Tascam 방식이다.+아래 사진처럼 [[음향:hardware:connector:db25|D-sub]] 커넥터를 이용해서 8채널을 구성하기도 하는 것은 AES59 라고 하며, Tascam 방식의 핀배열과 Yamaha 방식의 핀 배열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표준은 Tascam 방식이다.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3:pasted:20220112-205615.png}}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3:pasted:20220112-205615.png}}
  
-이 방식은 주로 외장 멀티 채널 프리앰프와 믹싱 콘솔/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때 많이 사용되었다. +이 방식은 주로 외장 멀티 채널 프리앰프와 디지털 믹싱 콘솔/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때 많이 사용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aes_ebu.169381241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0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