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digital:dsd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음향:digital:dsd [2024/05/24] – 만듦 정승환 | 음향:digital:dsd [2024/09/16] (현재) – 정승환 | ||
---|---|---|---|
줄 2: | 줄 2: | ||
**D**irect **S**tream **D**igital | **D**irect **S**tream **D**igital | ||
+ | |||
+ | DSD 오디오 포맷은 고해상도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포맷으로, | ||
+ | |||
+ | ==== DSD의 특징 ==== | ||
+ | * **1비트 샘플링**: | ||
+ | - DSD는 1비트로 신호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이 1비트는 오디오 신호가 이전 샘플보다 높아졌는지 낮아졌는지를 기록합니다. 즉, 신호의 변화 방향만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 ||
+ | |||
+ | * **매우 높은 샘플링 속도**: | ||
+ | - DSD는 일반 PCM보다 훨씬 높은 샘플링 속도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표준 DSD64는 2.8224 MHz (즉, CD의 샘플링 속도인 44.1 kHz의 64배)를 사용합니다. 더 높은 속도의 DSD128(5.6 MHz), DSD256(11.2 MHz)와 같은 포맷도 존재합니다. | ||
+ | |||
+ | * **노이즈 셰이핑**: | ||
+ | - DSD는 1비트 샘플링으로 인해 양자화 노이즈가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영역으로 노이즈를 이동시키는 **노이즈 셰이핑**이라는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는 가청 주파수 대역 내에서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 ||
+ | |||
+ | ==== DSD와 PCM의 차이 ==== | ||
+ | * **PCM** (Pulse Code Modulation)은 오디오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의 진폭을 여러 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CD 품질의 오디오는 16비트/ | ||
+ | * **DSD**는 1비트로 샘플링하지만 매우 높은 샘플링 속도를 사용하여 신호를 기록합니다. 이는 PCM보다 더 자연스러운 아날로그 파형에 가까운 신호를 표현할 수 있지만, 양자화 노이즈를 처리하기 위해 노이즈 셰이핑이 필요합니다. | ||
+ | |||
+ | ==== 장점 ==== | ||
+ | * **높은 해상도**: | ||
+ | * **아날로그에 가까운 음질**: DSD는 신호의 미세한 차이까지 기록하여, | ||
+ | |||
+ | ==== 단점 ==== | ||
+ | * **파일 크기**: DSD 파일은 매우 높은 샘플링 속도로 인해 PCM 파일에 비해 훨씬 큰 파일 크기를 가집니다. | ||
+ | * **편집의 어려움**: | ||
+ | |||
+ | ==== DSD의 사용 ==== | ||
+ | DSD는 주로 **SACD**와 같은 고해상도 음원 포맷에 사용되며,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digital/dsd.171648021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2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