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igital:wordclock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igital:wordclock [2024/12/26]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음향:digital:wordclock [2025/06/25]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워드 클럭======
 +
 +**Word Clock**
 +
 +워드 클럭 신호는 여러 디지털 오디오 장비(오디오 인터페이스, 컨버터, 믹서 등) 간에 샘플링 타이밍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신호입니다. 워드 클럭이 동기화되지 않으면, 오디오 신호에 잡음, 클릭, 팝 노이즈, 지터(jitter)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워드 클럭 신호의 전송=====
 +**케이블 종류**
 +  * BNC 케이블: 워드 클럭 신호는 일반적으로 75Ω 임피던스의 BNC 동축 케이블을 사용해 전송합니다. BNC 커넥터는 견고하고, 신호 손실이 적어 오디오 장비에서 표준으로 사용됩니다.((주의: 반드시 75Ω 규격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며, 영상용 50Ω BNC 케이블과 혼용하면 신호 반사 및 동기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ADAT, AES/EBU, S/PDIF 등 디지털 오디오 케이블: 일부 디지털 오디오 프로토콜(ADAT, AES/EBU, S/PDIF 등)은 오디오 신호와 워드 클럭 신호를 동일 케이블(광/동축)로 함께 전송합니다. 하지만, 여러 장비를 마스터/슬레이브로 동기화해야 할 때는 별도의 워드 클럭 입력(BNC 단자)이 필요합니다.
 +
 +**최대 전송 거리**
 +  * BNC 워드 클럭 케이블: 일반적으로 10m 이내(권장), 고품질 케이블 사용 시 30m까지도 가능하나, 신호 감쇠와 반사로 인한 오류 가능성이 커집니다. 여러 장비를 데이지체인(Daisy Chain)으로 연결할 경우, 각 장비의 입력/출력 임피던스와 종단저항(Terminator, 75Ω)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 광케이블(ADAT 등): 광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5~10m 내외가 안정적입니다. 광 신호 감쇠, 커넥터 상태 등에 따라 거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종단저항(Terminator)**
 +워드 클럭 신호의 마지막 장비(체인의 끝)에는 반드시 75Ω 종단저항을 연결해야 신호 반사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일부 장비는 내장 스위치로 종단저항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30-043111.png}}
 +
 +=====방향성=====
 +**워드 클럭도 디지털 신호의 경로와 방향이 같기 때문에, 디지털 아웃풋 -> 디지털 인풋의 단방향으로만 전송된다.**((워드 클럭은 디지털 인풋 -> 디지털 아웃풋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
 +이러한 방향성의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연결된 두개의 기기 중에 어느 것이 클럭 마스터이고, 클럭 슬레이브인지 결정된다.
 +
 +예를 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8 채널 프리앰프를 확장하기 위해서 ADAT 연결을 지원하는 8 채널 프리앰프를 연결할 때, 8 채널 프리앰프의 출력을 ADAT 아웃풋으로 출력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ADAT 인풋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워드 클럭 신호도 이 신호 경로의 방향과 같기 때문에, 워드 클럭 신호도 또한 8 채널 프리앰프 -> 오디오 인터페이스 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워드 클럭 신호를 받기만 할 뿐이고 워드 클럭 신호를 보내주는 쪽은 연결된 8 채널 프리앰프이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클럭 슬레이브, 8 채널 프리앰프가 클럭 마스터가 된다.
 +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29-170244.png|}}
 +
 +따라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클럭 마스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워드 클럭 아웃을 다시 8 채널 프리앰프의 워드 클럭 인풋으로 연결해서 워드 클럭을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 8 채널 프리앰프로 보내주어야 한다.
 +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29-170326.png|}}
 +
 +디지털 연결이 일반적인 디지털 프로토콜이 아닌 디지털 오디오 네트워크일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가 양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워드 클럭도 양방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디지털 오디오 네트워크에서는 어느 기기를 마스터로 두어도 크게 상관이 없다.
 +
 +<WRAP group box>
 +<WRAP half column>{{: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30-041443.png}}</WRAP>
 +<WRAP half column>{{: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30-041338.png}}</WRAP>
 +</WRAP>
 +위의 둘 중 어느 장비가 마스터여도 상관이 없다. 모두 컴퓨터(DAW)에서 제어 가능하다.
 +
 +**DAW와 연결된 장치 또는 메인 장치((ex. 디지털 콘솔))를 워드 클럭 마스터로 놓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
 +=====PLL=====
 +
 +**P**hase **L**ocked **L**oop
 +
 +입력 신호의 위상을 기준으로 위상이 고정 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 입니다. 입력 및 출력 위상을 고정 단계로 유지한다는 것은 입력 및 출력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상 고정 루프도 입력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파수 분배기를 통합함으로써 PLL은 입력 주파수의 배수인 안정적인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실무적 주의사항=====
 +  * 케이블 길이가 길어질수록 신호 감쇠와 지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짧고 고품질의 75Ω BNC 케이블을 사용하세요.
 +  * 워드 클럭 신호가 불안정하면 오디오 신호에 클릭/팝/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니, 연결 상태와 종단저항 적용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 여러 장비를 동기화할 때는 마스터/슬레이브 설정을 명확히 하고, 루프 연결(Loop Back)은 피하세요.
 +
 +{{tag>클럭}}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