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digital:wordclock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digital:wordclock [2024/12/31] 정승환음향:digital:wordclock [2025/06/25]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Word Clock** **Word Clock**
  
-디지털 프로토콜을 이용해 여러 개의 장비를 연결할 때, 지털 신호는 0,1 로 이루어진 신호기 때문에몇 개의 Word(이진수 Word)를 주고 받았는지 알려주는 워드 클럭 신호가 있어야 신호가 이상 없이 전송된다.+워드 클럭 신호는 여러 디지털 오디오 장비(오오 인터페컨버터, 믹서 등간에 샘플링 타이밍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 신호입니다. 워드 클럭이 동기화되지 않으면, 오디오 신호에 잡음, 클릭, 팝 노이즈, 지터(jitter)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디지털 출력는 당연히 워드 클럭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당연하, 워드 클럭 신호는 디지털 출력에서만 나온다. 워드 클럭 출력은 디지털 입력에서는 나올 수가 없다.))+=====워드 클럭 신호의 전송===== 
 +**케이블 종류** 
 +  * BNC 케이블: 워드 클럭 신호는 일반적으로 75Ω 임피던스의 BNC 동축 케이블을 사용해 전송합니다. BNC 커넥터는 견고하고, 신호 손실이 적어 오오 장비서 표준으로 사용됩니다.((주의:시 75Ω 규격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며, 영상용 50Ω BNC 케이블과 혼용하면 신호 반사 및 동기화 오류가 발생할 수 습니다.)) 
 +  ADAT, AES/EBU, S/PDIF 등 디털 오디오 케이블: 일부 디지털 오디오 프로토콜(ADATAES/EBU, S/PDIF 등)은 오디오 신호와 워드 클럭 신호를 동일 케이블(광/동축)로 함께 전송합니다. 하지만, 여러 장비를 마스터/슬레이브로 동기화해야 할 때는 별도의 워드 클럭 입력(BNC 단자)이 필요합니다.
  
-{{: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30-043111.png}}+**최대 전송 거리** 
 +  * BNC 워드 클럭 케이블일반적으로 10m 이내(권장), 고품질 케이블 사용 시 30m까지도 가능하나, 신호 감쇠와 반사로 인한 오류 가능성이 커집니다. 여러 장비를 데이지체인(Daisy Chain)으로 연결할 경우, 각 장비의 입력/출력 임피던스와 종단저항(Terminator, 75Ω)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  * 광케이블(ADAT 등)광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5~10m 내외가 안정적입니다. 광 신호 감쇠, 커넥터 상태 등에 따라 거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종단저항(Terminator)**
 +워드 클럭 신호의 마지막 장비(체인의 끝)에는 반드시 75Ω 종단저항을 연결해야 신호 반사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일부 장비는 내장 스위치로 종단저항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ADAT 출력 -> ADAT 입력으로 디지털 장비를 연결한 경우, ADAT의 TOSLink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도 전송되고 워드 클럭 신호도 전송이 된다.((워드 클럭은 ADAT 입력 -> ADAT 출력으로는 전달되지 않는다.))+{{:음향:digital:digital_audio_protocols:20220930-043111.png}}
  
 =====방향성===== =====방향성=====
-**단 워드 클럭도 디지털 신호의 경로와 방향이 같기 때문에, 디지털 아웃풋 -> 디지털 인풋의 단방향으로만 전송된다.**((워드 클럭은 디지털 인풋 -> 디지털 아웃풋으로 전송되지 않는다.))+**워드 클럭도 디지털 신호의 경로와 방향이 같기 때문에, 디지털 아웃풋 -> 디지털 인풋의 단방향으로만 전송된다.**((워드 클럭은 디지털 인풋 -> 디지털 아웃풋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향성의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연결된 두개의 기기 중에 어느 것이 클럭 마스터이고, 클럭 슬레이브인지 결정된다. 이러한 방향성의 문제로 인하여 디지털 연결된 두개의 기기 중에 어느 것이 클럭 마스터이고, 클럭 슬레이브인지 결정된다.
줄 34: 줄 41:
 위의 둘 중 어느 장비가 마스터여도 상관이 없다. 모두 컴퓨터(DAW)에서 제어 가능하다. 위의 둘 중 어느 장비가 마스터여도 상관이 없다. 모두 컴퓨터(DAW)에서 제어 가능하다.
  
-**단 DAW와 연결된 장치 또는 메인 장치((ex. 디지털 콘솔))를 워드 클럭 마스터로 놓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DAW와 연결된 장치 또는 메인 장치((ex. 디지털 콘솔))를 워드 클럭 마스터로 놓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다.**
- +
- +
- +
-=====터미네이션===== +
-기기 간 워드 클럭의 연결은 75Ω BNC 케이블로 한다. 워드 클럭 연결이 끝나는 장비에서는 75Ω 터미네이터를 사용하여 클럭 신호를 막아줘야 한다. 기기에 따라 터미네이션 스위치가 있는 경우도 있다. 자체적으로 설정에서 워드 클럭 터미네이션이 가능한 장비도 있다.+
  
 =====PLL===== =====PLL=====
줄 46: 줄 48:
  
 입력 신호의 위상을 기준으로 위상이 고정 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 입니다. 입력 및 출력 위상을 고정 단계로 유지한다는 것은 입력 및 출력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상 고정 루프도 입력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파수 분배기를 통합함으로써 PLL은 입력 주파수의 배수인 안정적인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입력 신호의 위상을 기준으로 위상이 고정 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시스템 입니다. 입력 및 출력 위상을 고정 단계로 유지한다는 것은 입력 및 출력 주파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상 고정 루프도 입력 주파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파수 분배기를 통합함으로써 PLL은 입력 주파수의 배수인 안정적인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실무적 주의사항=====
 +  * 케이블 길이가 길어질수록 신호 감쇠와 지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짧고 고품질의 75Ω BNC 케이블을 사용하세요.
 +  * 워드 클럭 신호가 불안정하면 오디오 신호에 클릭/팝/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니, 연결 상태와 종단저항 적용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  * 여러 장비를 동기화할 때는 마스터/슬레이브 설정을 명확히 하고, 루프 연결(Loop Back)은 피하세요.
  
 {{tag>클럭}} {{tag>클럭}}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digital/wordclock.173562923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