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electric_circuit:amp_class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electric_circuit:amp_class [2024/02/19] – 정승환 | 음향:electric_circuit:amp_class [2025/03/15] (현재) – 정승환 | ||
---|---|---|---|
줄 1: | 줄 1: | ||
- | ======증폭 분류====== | + | ======앰프 클래스====== |
- | **Amplifier Class** | + | **Amplifier Class, 앰프 규격**((Class: 규격이라는 뜻이다. 등급이라는 뜻으로 쓰인것이 아니다. 당연히 Class-A 를 A급이라고 해석하지 않는다. 만일 그렇게 해석하면 A급이 가장 좋고 D급이 가장 나쁘다고 잘못 해석되버린다. |
+ | )) | ||
- | Class는 “classfy : 분류하다.” 라는 뜻으로 쓰인 단어이다.((등급이라는 뜻으로 쓰인것이 아니다. 당연히 Class-A 를 A급이라고 해석하지 않는다. 만일 그렇게 해석하면 A급이 가장 좋고 D급이 가장 나쁘다고 잘못 해석되버린다.)) | + | 앰프의 증폭 방식에 따른 규격을 말한다. |
- | 앰프의 | + | 프리앰프나 헤드폰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Conduction angle</ | ||
- | ====Class A==== | + | |
+ | |||
+ | =====Class A===== | ||
<WRAP right column 25%> | <WRAP right column 25%> | ||
- | 입력 신호에 순수한 DC 바이어스 를 걸어서, 증폭하는 방식. | + | 입력 신호에 순수한 DC 바이어스를 걸어서, 증폭하는 방식. |
- | 신호의 왜곡이 거의 없으나, DC 바이어스를 아주 높게 걸게 되므로 전력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진공관의 경우는 플레이트 전압을 높게 주고 바이어스 전류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 + | 신호의 왜곡이 거의 없으나, DC 바이어스를 아주 높게 걸게 되므로 전력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Class-A 앰프의 전력 효율은 20~30% 수준이다. 진공관의 경우는 플레이트 전압을 높게 주고 바이어스 전류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
마이크 프리앰프들은 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한다. 또는 풀 진공관 기타 앰프 중 클린톤이 좋아야 하는 앰프들이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Single ended, Vox AC15, Vox AC30)) | 마이크 프리앰프들은 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한다. 또는 풀 진공관 기타 앰프 중 클린톤이 좋아야 하는 앰프들이 이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Single ended, Vox AC15, Vox AC30)) | ||
- | ====Class B==== | + | =====Class B===== |
<WRAP right column 25%> | <WRAP right column 25%> | ||
입력 신호의 + 측에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걸고 , - 측에도 -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각각 걸어서, 각기 증폭하는 방식\\ | 입력 신호의 + 측에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걸고 , - 측에도 -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각각 걸어서, 각기 증폭하는 방식\\ | ||
- | Class-A 보다 걸어야하는 DC 바이어스가 절반이므로((+와 -의 두개의 DC 바이어스지만 전압이 절반인 것이 더 전력 효율이 좋다.)) 전력 효율은 좋다. 신호의 +와 -의 경계면 부근의 왜곡이 생성된다. | + | Class-A 보다 걸어야하는 DC 바이어스가 절반이므로((+와 -의 두개의 DC 바이어스지만 전압이 절반인 것이 더 전력 효율이 좋다.)) 전력 효율은 좋다. 일반적인 Class-B 앰프의 전력효율은 50% 정도이다. 신호의 +와 -의 경계면 부근의 왜곡이 생성된다. |
엄밀히 말하면, 파형의 한쪽 방향만 증폭하는 것이 Class-B 방식이고, | 엄밀히 말하면, 파형의 한쪽 방향만 증폭하는 것이 Class-B 방식이고, | ||
- | ====Class AB==== | + | =====Class AB===== |
<WRAP right column 25%> | <WRAP right column 25%> | ||
줄 35: | 줄 39: | ||
입력 신호의 + 측에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걸고 , - 측에도 -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각각 걸어서((차동 증폭과 햇갈리지 말 것.)), 각기 증폭할 때, 살짝 바이어스를 더 걸어서 +측과 -측의 경계면이 어느 정도 서로 겹치게 하여 증폭하는 방식. 따라서, Class-AB의 바이어스는 Class-A에서의 바이어스와는 살짝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즉 Class-A에서는 증폭 한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하지만, | 입력 신호의 + 측에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걸고 , - 측에도 - 방향의 DC 바이어스를 각각 걸어서((차동 증폭과 햇갈리지 말 것.)), 각기 증폭할 때, 살짝 바이어스를 더 걸어서 +측과 -측의 경계면이 어느 정도 서로 겹치게 하여 증폭하는 방식. 따라서, Class-AB의 바이어스는 Class-A에서의 바이어스와는 살짝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즉 Class-A에서는 증폭 한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하지만, | ||
- | Class-A보다 | + | 전력 효율은 |
- |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의 파워앰프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기타 앰프 중에 출력이 커야 하는 앰프들이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Marshall, | + |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의 파워 앰프에 주로 많이 사용된다. 기타 앰프 중에 출력이 커야 하는 앰프들이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Marshall, |
- | ====Class D==== | + | =====Class D===== |
{{: | {{: | ||
- | 입력된 신호를 PWM 신호로 전환한 후, 해당 PWM 신호를 증폭한 다음, 다시 PWM 신호를 PWM to Wave Converter | + | 입력된 신호를 PWM 신호로 전환한 후, 해당 PWM 신호를 증폭한 다음, 다시 PWM 신호를 PWM to Wave 컨버터 |
Class-D 앰프의 설계는 SMPS(교류 전기를 감압한 후 직류로 정류)의 설계를 역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 Class-D 앰프의 설계는 SMPS(교류 전기를 감압한 후 직류로 정류)의 설계를 역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 ||
- | 전력 효율이 매우 좋으며, 신호의 왜곡도 적으나, PWM 신호를 다시 오디오 신호로 전환하고 나면 고주파 잡음이 매우 많기 때문에 로우 패쓰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때문에, 고역대의 손실이 발생한다. 고역대의 손실을 피하기 위하여 PWM 신호의 주파수를 매우 빠르게 하여 로우 패스 필터가 시작되는 지점을 가청 주파수 바깥쪽으로 밀어내면 되지만, PWM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력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빠르게 스위칭 동작 해야하므로)) PWM 주파수와 전력 효율 사이에서 최적점을 찾아야 한다. | + | 전력 효율이 |
+ | |||
+ | 특유의 PWM 으로 전환하는 방식과 해당 PWM 신호가 특정 클럭을 가지고 있는 점 때문에, 종종 PWM(PCM과 철자가 비슷?), Class-D(D? | ||
+ | |||
+ | 전력 효율이 매우 좋기 때문에, 최근의 SR, PA용 대형 앰프((적은 전력으로 큰 소리를 내기 쉬움, Hi-Fi 스피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역이 많이 필요 없음)), 또는 베이스 기타 용 앰프((고역대가 많이 필요하지 않음)), 차량용 카 오디오((전력 효율이 좋아 연비에 도움 됨))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 | 특유의 PWM 으로 전환하는 방식과 해당 PWM 신호가 특정 | + | =====기타 |
- | 전력 효율이 매우 | + | * Class-C: 주로 라디오 주파수(RF) 증폭기에 사용됩니다. |
+ | * Class-G & Class-H: Class-AB와 유사하지만, 전원 전압이 동적으로 | ||
+ | {{tag>"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electric_circuit/amp_class.170829357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19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