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2024/05/03]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2024/05/27] (현재) – [복합저항] 정승환
줄 1: 줄 1:
 +======임피던스======
 +
 +**Impedance, Ω, Z**
 +
 +신호 전송에서의 주파수별 저항치의 총합. 저항치의 총합이기 때문에 한국말로 복합 저항, 온저항 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  * 저항, Resistance = 순수한 저항 주로 직류 저항을 이야기함 - 전체 전압을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 캐패시턴스, Capacitance = 신호가 직류일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하이패스 필터
 +  * 인덕턴스, Inductance = 신호가 교류일 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로우패스 필터
 +
 +<WRAP box centeralign>{{:음향:electric_circuit:20221009-221716.png|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
 +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WRAP>
 +
 +{{indexmenu>.}}
 +=====복합저항=====
 +
 +{{:음향:electric_circuit:20240224-032259.png}}
 +  * 저항 : <m>Z_Resistance=R</m>
 +  * 인덕터 : <m>Z_Inductance= omega L</m>
 +  * 케페시터 : <m>Z_Capacitance = 1/{omega C}</m>\\
 +
 +<m 16> Z_impedance=sqrt{{Z_R}^2+(Z_L-Z_C)^2} </m>
 +
 +<m 16> Z = sqrt{R^2+({omega L}-1/{omega C})^2} </m>
 +
 +<m 16> Z = sqrt{R^2+({2pi L}-1/{2pi C})^2} </m>
 +
 +==== 소리 신호 전송에서는 왜 임피던스로 표현하는가? ====
 +
 +<WRAP info>임피던스는 쉽게 말해서 <m>Z=V^2/W</m>, **신호가 힘으로 변환되는 비율** 또는 **힘이 신호로 변환되는 비율**을 말합니다.((임피던스를 직류 전력의 저항과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여, 신호를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요소로 이해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이해하게 되면 여러가지 임피던스에 대해서 큰 오해를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
 +</WRAP>
 +
 +음악의 신호를 전기로 표현하는 것은 소리 파형의 진동을 전압 V로 표현 하는 것이다. 이때 V는 소리의 파동을 표현한 것 이므로 항상 변화하는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신호의 "출력 에너지" 즉 어떤 파워앰프의 출력 등을 실제 출력되는 Watt로 표기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소리의 파동에 따라서 항상 다른 출력(에너지)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이러한 변동이 심한 전압값에 따른 출력 에너지를 표기 하려면, 변동하지 않는 값인 회로의 임피던스 수치를 표기 하게 됩니다.
 +
 +<m>Z=V/I</m> 즉, 임피던스=전압/전류 .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표현이 되는 값입니다. 이것을 좀더 쉽게 풀어서 <m>I=V/Z</m> 를 대입하면 <m>Z=V^2/W</m> 이 됩니다. 
 +
 + 만약 어떤 출력장치의 출력 임피던스가 2라고 나온다면, 그 장비의 전압 과 전류의 비는 2배 입니다. 따라서, 그래서 임피던스가 2 인 어떤 장비에서 +4dBu 인 1.228V 가 출력되고 있다면, 1.228V(RMS) X 0.614(임피던스에 의한 전류값)  = 0.75Watt 정도의 출력값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는 있지만, 소리의 파동은 시시각각 변화 하므로, 계속 변동되는 출력 값이 나오게 된다는 점입니다.
 +
 +그래서, 출력값 또한 출력되는 소리 파형(전압값)에 따라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
 +**고정된 값인 임피던스로 "전압 대 전류, 전력 비" 로, 해당 장비의 출력 성능, 입력 성능 등을 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
 +
 +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