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2024/05/03] 정승환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 [2024/05/27] (현재) – [복합저항] 정승환
줄 3: 줄 3:
 **Impedance, Ω, Z** **Impedance, Ω, Z**
  
-신호 전송에서의 주파수별 저항치의 총합. 저항치의 총합이기 때문에 한국말로 복합저항, 온저항 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신호 전송에서의 주파수별 저항치의 총합. 저항치의 총합이기 때문에 한국말로 복합 저항, 온저항 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WRAP centeralign box>{{ :음향:electric_circuit:20221009-221716.png |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  * 저항, Resistance = 순수한 저항 주로 직류 저항을 이야기함 - 전체 전압을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 캐패시턴스, Capacitance = 신호가 직류일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하이패스 필터 
 +  * 인덕턴스, Inductance = 신호가 교류일 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로우패스 필터 
 + 
 +<WRAP box centeralign>{{:음향:electric_circuit:20221009-221716.png|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
 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WRAP> Impedance=Resistance+Capacitance+Inductance</WRAP>
-  * 저항, Resistance = 순수한 저항 주로 직류 저항을 이야기함 - 전체 신호를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 캐패시턴스, Capacitance = 신호가 직류일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저음역대에 대한 필터 High pass filter 
-  * 인덕턴스, Inductance = 신호가 교류일 수록 통과하기 힘들게 하는 저항 - 고음역대에 대한 필터 Low pass filter 
  
 +{{indexmenu>.}}
 =====복합저항===== =====복합저항=====
  
줄 17: 줄 19:
   * 케페시터 : <m>Z_Capacitance = 1/{omega C}</m>\\   * 케페시터 : <m>Z_Capacitance = 1/{omega C}</m>\\
  
-<m>Z_impedance=sqrt{{Z_R}^2+(Z_L-Z_C)^2} = sqrt{R^2+({omega L}-1/{omega C})^2} = sqrt{R^2+({2pi L}-1/{2pi C})^2}</m>+<m 16> Z_impedance=sqrt{{Z_R}^2+(Z_L-Z_C)^2} </m> 
 + 
 +<m 16> Z = sqrt{R^2+({omega L}-1/{omega C})^2} </m> 
 + 
 +<m 16> Z = sqrt{R^2+({2pi L}-1/{2pi C})^2} </m>
  
 ==== 소리 신호 전송에서는 왜 임피던스로 표현하는가? ==== ==== 소리 신호 전송에서는 왜 임피던스로 표현하는가? ====
줄 36: 줄 42:
 **고정된 값인 임피던스로 "전압 대 전류, 전력 비" 로, 해당 장비의 출력 성능, 입력 성능 등을 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고정된 값인 임피던스로 "전압 대 전류, 전력 비" 로, 해당 장비의 출력 성능, 입력 성능 등을 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 임피던스와 라인 입력의 입력 임피던스==== 
- 
-===마이크 입력에 라인 출력을 연결하며 PAD 를 누르면 어떻게 될까?=== 
- 
-어떤 사람들은 XLR 커넥터가 더 좋은 음질을 보여준다고 생각하며((사실 XLR 과 TRS는 커넥터의 형태만 차이날뿐 접점은 +, -, 0로 동일하다. XLR의 장점은 커넥터 체결이 잠기며, 그라운드가 따로 먼저 연결된다는 점이며 음질에는 차이가 없다.)),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에 XLR 로 라인 출력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마이크 입력은 라인 입력에 비해서 최대 입력 레벨이 작기 때문에, 마이크 인풋에 라인 출력을 연결하고 PAD 를 눌러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정말 그럴까? 
- 
-다음은 UA 710 마이크 프리앰프의 스펙의 일부이다. 
- 
-{{:음향:electric_circuit:20221009-182821.png}} 
- 
-마이크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은 18dBu, 라인 입력의 최대 입력 레벨은 30dBu 이고 입력 임피던스는 각각, 2KΩ, 10KΩ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마이크 레벨 출력은 마이크 입력에, 라인 레벨 출력은 라인 입력에 사용하는 것이 맞지만, 도무지 알 수 없는 이유로 라인 레벨 출력을 마이크 레벨 입력에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 
-이 사람이 사용하는 라인 레벨 출력이 +26dBu 정도의 출력을 가진 장비 일때, 이 출력을 그냥 마이크 입력에 연결하면, 8dB 정도의 신호가 초과 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 입력에 연결하고 PAD 스위치(-15dB)를 사용하게 된다.  
- 
-15dB의 PAD는 약 <m>1/5.623</m>배 정도의 값을 가지는데, 입력되는 신호의 전압을 <m>1/5.623</m>배 감쇄하게 된다. <m>Z=V/I</m>이므로 입력 임피던스 값도 약 <m>1/5.623</m>배 낮아지게 된다. 
- 
-즉 이렇게 사용하면 마이크 입력을 +33dBu의 최대 입력 레벨에 350Ω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입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라인입력에 사용시는 +30dBu 에10KΩ 입력 임피던스를 가진 입력으로 사용한다. \\ 
- 
-입력 임피던스가 350Ω으로 라인 출력의 스탠다드 임피던스인 600Ω 보다도 낮게 되어, 고역과 저역의 심각한 톤손실을 입게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라인 레벨의 출력이 낮은 장비를 연결하여 PAD를 누르지 않고 사용한다 하더라도, 2KΩ의 입력 임피던스는 어느 정도의 톤 손실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정상적으로 라인 레벨 출력은 라인 레벨 입력(임피던스 10KΩ)에 사용하는 것이 정상적인 방법이다. 
- 
-**이와 같은 방법은 결코 올바른 사용 방법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 
-=====Nominal Impedance===== 
- 
-<WRAP centeralign box>{{음향:level:impedance:pasted:20220113-022424.png|일반적인 전기장치의 노미널 임피던스@1kHz}}\\ 
-일반적인 전기장치의 노미널 임피던스@1kHz</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electric_circuit:img_1302.png}}\\ 
-공진이 있는 스피커유닛, 마이크 진동판의 임피던스. Nominal Impedance와 DC Resistance.</WRAP> 
  
-<WRAP centeralign box>{{:음향:electric_circuit:img_1303.jpeg|스피커 유닛의 임피던스 특성}}\\ 
-스피커 유닛의 임피던스 특성</WRAP>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electric_circuit/impedance/start.171471646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0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