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linear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linear [2023/10/12]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 | 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linear [2024/12/27]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리니어 파워 서플라이====== | ||
+ | |||
+ | **L**inear **P**ower **S**upply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
+ | </ | ||
+ | <WRAP centeralign box> | ||
+ | {{: | ||
+ | </ | ||
+ | |||
+ | * A : 퓨즈 | ||
+ | * B : 트랜스포머 | ||
+ | * C : 정류 | ||
+ | * D : 리플제거(캐패시터) | ||
+ | * E : 출력 전압 조정 (정전압 파워 서플라이만 해당) | ||
+ | |||
+ | |||
+ | =====감압===== | ||
+ | |||
+ | 220V 의 교류를 받아서 트랜스포머를 이용해 감압한다. 트랜스포머가 무게가 높은 편이라, 파워 서플라이의 무게가 무겁게 되는 편이다. | ||
+ | |||
+ | {{: | ||
+ | |||
+ | =====정류===== | ||
+ | |||
+ | 감압한 교류를 다시 다이오드를 이용한 정류 회로로 정류한다. | ||
+ | |||
+ | {{: | ||
+ | |||
+ | 우리나라의 220V 교류 전기는 실질적인 교류 전압이 있는 라이브선과 전압이 없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위와 같은 정류회로를 살펴보면 어느 선이 라이브선인지 중성선인지 관계없이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 | =====리플 제거===== | ||
+ | |||
+ | 정류된 전기를 볼티지 레귤레이터로 Ripple을 제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정전압 레귤레이터===== | ||
+ | |||
+ | **정전압 파워 서플라이**, | ||
+ | |||
+ | {{ : | ||
+ | |||
+ | 회로의 마지막 DC 출력 부에 정전압을 유지 시켜주는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내장될 수 있다. | ||
+ | |||
+ |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내장된 파워 서플라이는 " | ||
+ | |||
+ |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없는 일반 리니어 파워 서플라이의 경우는 출력되는 DC 전압이 입력되는 전압에 대해 비례하여 변동되기 때문에, 이러한 일반 리니어 파워 서플라이의 사용에서는 입력 전압의 오차를 조정하여 일정한 전압으로 바꿔주는 AVR의 사용이 중요하다. | ||
+ | |||
+ | 하지만, 보통 큰 DC 출력을 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큰 용량의 정전압 레귤레이터 설계가 어렵기 때문에 정전압 레귤레이터가 없는 일반 리니어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들은 대부분 출력이 12V, 5V 등으로 낮은 직류 전압 출력 용도이다. 따라서, [[음향: | ||
+ | |||
+ | {{tag> | ||
+ | |||
+ | |||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