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smps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smps [2024/07/06] 정승환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smps [2024/12/26] (현재) 정승환
줄 16: 줄 16:
 빠르게 스위칭을 하는 회로가 있기 때문에, 이 스위칭으로부터 발생하는 실제 스위칭 노이즈나, 전기적 노이즈 등이 이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는 음향기기의 신호 회로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노이즈를 차폐하거나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기술 등이 추가로 꼭 필요하다. 빠르게 스위칭을 하는 회로가 있기 때문에, 이 스위칭으로부터 발생하는 실제 스위칭 노이즈나, 전기적 노이즈 등이 이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는 음향기기의 신호 회로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노이즈를 차폐하거나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기술 등이 추가로 꼭 필요하다.
  
-음향기기에서 가끔 띠~ 하는 고주파 노이즈는 이러한 SMPS 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가 실제 신호 경로((케이블이나 제품 근처에서 인입))를 타고 들어와서 생기는 현상이다.+음향기기에서 가끔 띠~ 하는 고주파 노이즈는 이러한 SMPS 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노이즈가 실제 신호 경로((케이블이나 제품 근처에서 인입))를 타고 들어와서 생기는 현상이다. 이러한 고주파 노이즈는 보통 접지에 관한 문제로 접지가 제대로 되어있다면 발생하지 않는다. 그라운드 루프에 의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경우 그라운드 루프를 생성하는 기기를 그라운드 리프트를(접지 끊음) 하여 해결할 수 있다.
  
 정전압 파워 서플라이와는 달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정전압으로 매우 크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음향:electric_circuit:dc_bias|High Plate Voltage]]가 필요한 풀진공관 음향기기에도 SMPS로 파워 서플라이를 설계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https://www.manley.com/manley-power)) 정전압 파워 서플라이와는 달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정전압으로 매우 크게 만드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음향:electric_circuit:dc_bias|High Plate Voltage]]가 필요한 풀진공관 음향기기에도 SMPS로 파워 서플라이를 설계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https://www.manley.com/manley-power))
줄 42: 줄 42:
 목표하는 전압과 다른 전압이 나올 경우 센서가 측정하여 다시 스위칭 회로로 피드백 하여 스위칭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목표하는 전압과 다른 전압이 나올 경우 센서가 측정하여 다시 스위칭 회로로 피드백 하여 스위칭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SMPS는 마지막의 정류 회로를 통해 정전압 레귤레이터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따로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출력 전압의 리플은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거친 직류보다 거칠지만,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직류 전압도 얻는 것이 가능하다.((정전압 레귤레이터는 집적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큰 직류 전압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다.))+SMPS는 마지막의 정류 회로를 통해 정전압 레귤레이터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따로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은 정전압 직류도 얻는 것도 가능하다.((정전압 레귤레이터는 집적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큰 직류 전압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다.)) 
 + 
 +{{tag>파워}}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electric_circuit/power_supply/smps.172020336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7/06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