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start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start [2024/04/10] – ↷ 문서가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에서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start(으)로 이동되고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정승환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start [2025/01/2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
- +<WRAP right 25%> 
-{{:음향:components:20220630-051542.png?200}}+{{:음향:components:20220630-051542.png?200}}</WRAP>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전압을 변환하는 전기 기기입니다. 주로 교류 전력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입력 전압을 다른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합니다. 트랜스포머는 2개의 코일(1차 및 2차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코일은 공통의 자기 코어에 감겨 있습니다. 전압 비율은 코일의 감김 수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통해 전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트랜스포머는 전력 시스템, 오디오 장비 및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 :음향:components:20220629-171909.png }} {{ :음향:components:20220629-171909.png }}
줄 39: 줄 40:
 즉 이 경우에는 승압과, 출력 임피던스의 상승((전류의 강하))이 같이 일어난다.((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하면 당연하다.)) 즉 이 경우에는 승압과, 출력 임피던스의 상승((전류의 강하))이 같이 일어난다.((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하면 당연하다.))
  
-이러한 트랜스포머의 임피던스 변환 성질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박스와 같이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로우 임피던스 신호로 변환해주는 기기를 만들 수 있다.+이러한 트랜스포머의 임피던스 변환 성질을 이용하여, DI와 같이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로우 임피던스 신호로 변환해주는 기기를 만들 수 있다.
  
 어떤 프리앰프의 경우에는 입력단에 임피던스 변환 스위치가 달려있어서, 입력 임피던스를 높히면, 신호의 출력 임피던스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사실 입력단에 장착된 트랜스포머 부품에 의한 감압 및 임피던스 저하에 해당한다.((꼭 트랜스포머로만 구현하는 것은 아니다. 액티브 버퍼 회로로 구현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프리앰프의 경우에는 입력단에 임피던스 변환 스위치가 달려있어서, 입력 임피던스를 높히면, 신호의 출력 임피던스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사실 입력단에 장착된 트랜스포머 부품에 의한 감압 및 임피던스 저하에 해당한다.((꼭 트랜스포머로만 구현하는 것은 아니다. 액티브 버퍼 회로로 구현하는 경우도 있다.))
줄 55: 줄 56:
  
 {{ :음향:components:20220629-232046.png }} {{ :음향:components:20220629-232046.png }}
 +
 +=====트랜스포머의 Frequency Response=====
 +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20240610-095349.png}}
  
  
줄 68: 줄 73:
 {{ :음향:electric_circuit:20230127-204642.png }} {{ :음향:electric_circuit:20230127-204642.png }}
  
-유도된 자기장이 다시 전기를 만들어내지 않기 위해서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자기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을 좀 틀면, 이러한 현상들이 좀 덜해질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포머를 도넛 모양으로 만드는 트로이달 트랜스의 경우, 더 좋은 특성을 가지게 된다.+유도된 자기장이 다시 전기를 만들어내지 않기 위해서는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자기장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을 좀 틀면, 이러한 현상들이 좀 덜해질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포머를 도넛 모양으로 만드는 트로이달 트랜스포머의 경우, 더 좋은 특성을 가지게 된다.
  
 {{  :음향:electric_circuit:20221011-171815.png  }} {{  :음향:electric_circuit:20221011-171815.png  }}
줄 76: 줄 81:
 =====트랜스포머가 비싼 부품인 이유===== =====트랜스포머가 비싼 부품인 이유=====
  
-트랜스포머의 특성치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전선의 품질, 그리고 얇기 정도가 중요하디. +트랜스포머의 특성치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전선의 품질, 그리고 얇기 정도가 중요하다. 사람이 직접 수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높은 인건비가 들어가게 되어 상당히 비싼 부품이 되어버린다.
-만약, 입력과 출력의 권선비가 커야 하는 경우,추가로 신호의 규모가 작은 경우에, 감긴 횟수가 중요하고 신호 품질(대역폭)을 위해서, 얇은 선을 써야만 한다. 하지만 얇은 선을 기계를 이용해 감으려면 불량률이 심각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사람이 수제작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높은 인건비가 들어가게 되어 상당히 비싼 부품이 되어버린다.+
  
 일반적인 트랜스포머도 제작이 어렵지만. THD 를 감소 시키기 위해 고리 형태를 가진 Troidal 트랜스포머의 경우는 더 제작 난이도가 높다. 일반적인 트랜스포머도 제작이 어렵지만. THD 를 감소 시키기 위해 고리 형태를 가진 Troidal 트랜스포머의 경우는 더 제작 난이도가 높다.
줄 85: 줄 89:
  
 이러한 이유로 유사한 부품인 일렉트릭 기타나 일렉트릭 베이스의 픽업들도 수제품은 좋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상당히 고가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유사한 부품인 일렉트릭 기타나 일렉트릭 베이스의 픽업들도 수제품은 좋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상당히 고가인 경우가 많다.
 +
 +{{ youtube>t5KyhtLRwek?full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electric_circuit/transformer/start.171267680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4/10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