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electric_circuit:tube:12at7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electric_circuit:tube:12at7 [2024/11/18] – 만듦 정승환 | 음향:electric_circuit:tube:12at7 [2024/11/22] (현재) – [Specification and Max Ratings] 정승환 | ||
---|---|---|---|
줄 2: | 줄 2: | ||
=====Specification and Max Ratings===== | =====Specification and Max Ratings===== | ||
- | - **Filament Voltage**: 6.3V or 12.6V | + | * **Filament Voltage:** 12.6/6.3V |
- | - **Filament Current**: 300mA (6.3V mode), 150mA (12.6V mode) | + | |
- | - **Plate Voltage (max)**: 300V | + | |
- | - **Plate | + | |
- | - **Plate Dissipation (max)**: 2.5W | + | |
- | - **Transconductance**: ~5, | + | * **Screen Voltage (Max):** |
- | - **Gain Factor**: ~60 | + | * **Screen Current (Max):** |
+ | * **Screen Dissipation (Max): | ||
+ | * **Transconductance: | ||
+ | * **Input Capacitance:** 2pF | ||
+ | * **Gain factor:** 60 | ||
=====특징 및 용도===== | =====특징 및 용도===== | ||
12AT7 진공관은 **중간 게인 트윈 3극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게인 계수(~60)가 12AX7의 ~100에 비해 낮지만, 더 높은 전류 처리 능력과 낮은 내부 임피던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다음과 같은 용도에 적합합니다: | 12AT7 진공관은 **중간 게인 트윈 3극관**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게인 계수(~60)가 12AX7의 ~100에 비해 낮지만, 더 높은 전류 처리 능력과 낮은 내부 임피던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다음과 같은 용도에 적합합니다: | ||
- | - **리버브 드라이버**: | + | * **리버브 드라이버**: |
- | - **위상 분리기**: | + | |
- | - **RF 및 Hi-Fi 애플리케이션**: | + | |
=====사운드 특성===== | =====사운드 특성===== | ||
줄 20: | 줄 24: | ||
=====대표적인 적용===== | =====대표적인 적용===== | ||
- | - Fender Twin Reverb와 같은 **클래식 리버브 앰프** | + | * Fender Twin Reverb와 같은 **클래식 리버브 앰프** |
- | - Hi-Fi 앰프의 **드라이브 및 버퍼 스테이지** | + | |
- | - 기타 **리버브 및 디지털 이펙트 회로** | + | |
12AT7은 12AX7보다 낮은 게인을 가지며 전반적으로 **정밀한 신호 전달과 안정적인 동작**을 중시하는 회로 설계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12AT7은 12AX7보다 낮은 게인을 가지며 전반적으로 **정밀한 신호 전달과 안정적인 동작**을 중시하는 회로 설계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electric_circuit/tube/12at7.173191219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