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2025/08/23] – 정승환 |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2025/08/23] (현재) – [2. 실험 설계] 정승환 | ||
---|---|---|---|
줄 1: | 줄 1: | ||
======ITU-R BS.1116====== | ======ITU-R BS.1116====== | ||
- | **오디오 시스템에서 미세한 손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방법** | + | **오디오 시스템에서 미세한 손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방법(Methods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small impairments in audio systems)** |
+ | >문서 제목이 좀 이상한데 내용자체는 오디오 청취시스템에서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에 대한 문서입니다. | ||
=====서문===== | =====서문===== | ||
무선통신 부문의 역할은 모든 무선통신 서비스(위성 서비스를 포함)가 전파 주파수 스펙트럼을 합리적이고, | 무선통신 부문의 역할은 모든 무선통신 서비스(위성 서비스를 포함)가 전파 주파수 스펙트럼을 합리적이고, | ||
줄 23: | 줄 24: | ||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 다음과 같이 권고한다. | ||
- | 권고\\ | + | 권고 |
- | 부록 1에 제시된 시험, 평가 및 보고 절차를 멀티채널 사운드 시스템(영상 포함 또는 미포함을 가리지 않음)을 포함한 오디오 시스템의 미세 손상 주관적 평가에 사용하라. | + | >부록 1에 제시된 시험, 평가 및 보고 절차를 멀티채널 사운드 시스템(영상 포함 또는 미포함을 가리지 않음)을 포함한 오디오 시스템의 미세 손상 주관적 평가에 사용하라. |
- | 추가 권고\\ | + | 추가 권고 |
- | 고급 음향 시스템을 위한 청취실 및 재생 장치 특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 + | >고급 음향 시스템을 위한 청취실 및 재생 장치 특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
- | =====부록===== | + | =====1. 일반===== |
- | 1. 일반 | + | ====1.1 내용==== |
- | < | + | 상세한 요구사항을 11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제공합니다: |
-일반 사항 | -일반 사항 | ||
-실험 설계 | -실험 설계 | ||
줄 44: | 줄 45: | ||
-시험 보고서의 내용 | -시험 보고서의 내용 | ||
또한 전문가 청취자 선정에 대한 안내와 시험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지침서 예시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 또한 전문가 청취자 선정에 대한 안내와 시험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지침서 예시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 ||
- |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여러 일반 용어들은 부록 4에 용어집으로 제공됩니다.</ | + |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여러 일반 용어들은 부록 4에 용어집으로 제공됩니다. |
- | 2. 실험 설계 | + | =====2. 실험 설계===== |
< | < | ||
+ | |||
세심한 실험 설계와 계획이 필요하며, | 세심한 실험 설계와 계획이 필요하며, | ||
+ | |||
잠재적 손상이나 기타 특성이 청취 테스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진정한 무작위 배치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비균일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이 점을 고려해 시험 조건을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평가할 자료의 난이도가 다양할 경우 자극의 제시 순서는 세션 내외 모두 무작위로 분포되어야 합니다. | 잠재적 손상이나 기타 특성이 청취 테스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진정한 무작위 배치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비균일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이 점을 고려해 시험 조건을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평가할 자료의 난이도가 다양할 경우 자극의 제시 순서는 세션 내외 모두 무작위로 분포되어야 합니다. | ||
+ | |||
또한 청취 테스트는 피험자가 너무 과부하되어 정확한 판단 능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음향과 영상 간의 관계가 중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 또한 청취 테스트는 피험자가 너무 과부하되어 정확한 판단 능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음향과 영상 간의 관계가 중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 ||
+ | |||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적절한 대조 조건의 포함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조 조건은 손상되지 않은 오디오 자료의 제시를 포함하며, |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적절한 대조 조건의 포함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조 조건은 손상되지 않은 오디오 자료의 제시를 포함하며, | ||
이후 문서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 일부를 추가로 다룹니다. | 이후 문서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 일부를 추가로 다룹니다. | ||
+ | |||
실험 설계, 실행, 통계 분석 주제는 복잡하기 때문에 이 권고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지침만 제시됩니다. 따라서 청취 테스트 계획 초기에 실험 설계와 통계 전문가를 상담하거나 참여시킬 것을 권고합니다.</ | 실험 설계, 실행, 통계 분석 주제는 복잡하기 때문에 이 권고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지침만 제시됩니다. 따라서 청취 테스트 계획 초기에 실험 설계와 통계 전문가를 상담하거나 참여시킬 것을 권고합니다.</ | ||
- | 3. 청취 패널 선정\\ | + | =====3. 청취 패널 선정===== |
- | 3.1 전문가 청취자\\ | + | ====3.1 전문가 청취자==== |
오디오 시스템의 미세한 손상을 평가하는 청취 테스트에서 얻은 데이터는 이러한 미세 손상을 감지하는 전문 지식을 가진 피험자에게서만 나와야 합니다. 평가 대상 시스템의 품질이 높을수록 전문가 청취자가 더 중요합니다. | 오디오 시스템의 미세한 손상을 평가하는 청취 테스트에서 얻은 데이터는 이러한 미세 손상을 감지하는 전문 지식을 가진 피험자에게서만 나와야 합니다. 평가 대상 시스템의 품질이 높을수록 전문가 청취자가 더 중요합니다. | ||
- | 3.2 피험자 선정 기준\\ | + | ====3.2 피험자 선정 기준==== |
선택된 청취자 그룹을 사용한 작은 손상의 오디오 시스템 주관적 테스트 결과는 일반 대중에게 외삽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목표는 특정 조건 하에 전문가 청취자 그룹이 상대적으로 미묘한 품질 저하를 인지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 선택된 청취자 그룹을 사용한 작은 손상의 오디오 시스템 주관적 테스트 결과는 일반 대중에게 외삽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목표는 특정 조건 하에 전문가 청취자 그룹이 상대적으로 미묘한 품질 저하를 인지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 | ||
이 시험 절차의 까다로운 성격은, 시스템이 소비자에게 도입된 후 실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에서의 장기간 노출 시 드러날 수 있는 문제를 찾아내기 위함입니다. | 이 시험 절차의 까다로운 성격은, 시스템이 소비자에게 도입된 후 실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에서의 장기간 노출 시 드러날 수 있는 문제를 찾아내기 위함입니다. | ||
경우에 따라 실제 시험 전에(사전 선별) 또는 후에(사후 선별) 거부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때로는 두 가지 모두 사용되기도 합니다. 거부는 특정 피험자의 모든 판단을 제외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신중하게 분석되지 않고 적용된 거부 기법은 편향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 경우에 따라 실제 시험 전에(사전 선별) 또는 후에(사후 선별) 거부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때로는 두 가지 모두 사용되기도 합니다. 거부는 특정 피험자의 모든 판단을 제외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신중하게 분석되지 않고 적용된 거부 기법은 편향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 ||
- | 3.2.1 사전 선별 절차\\ | + | ===3.2.1 사전 선별 절차=== |
청력 검사, 이전 경험 및 이전 시험 성과를 바탕으로 한 피험자 선별, 사전 시험의 통계 분석에 따른 피험자 제외 등의 방법이 포함됩니다. 교육 절차도 사전 선별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전 선별 기법 도입의 주요 목적은 청취 테스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결과의 적합성을 지나치게 제한할 위험과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 청력 검사, 이전 경험 및 이전 시험 성과를 바탕으로 한 피험자 선별, 사전 시험의 통계 분석에 따른 피험자 제외 등의 방법이 포함됩니다. 교육 절차도 사전 선별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사전 선별 기법 도입의 주요 목적은 청취 테스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결과의 적합성을 지나치게 제한할 위험과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 ||
- | 3.2.2 사후 선별\\ | + | ===3.2.2 사후 선별=== |
사후 선별 방법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평균 결과와의 불일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고, | 사후 선별 방법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평균 결과와의 불일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고, | ||
사후 선별은 적절한 구분 능력이 없는 피험자를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사후 선별 적용은 시험 결과에서 경향을 명확히 할 수 있으나, 피험자마다 인지 민감도가 다름을 감안하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사후 선별은 적절한 구분 능력이 없는 피험자를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사후 선별 적용은 시험 결과에서 경향을 명확히 할 수 있으나, 피험자마다 인지 민감도가 다름을 감안하여 주의가 필요합니다. | ||
- | 3.3 청취 패널 크기\\ | + | ====3.3 청취 패널 크기==== |
청취 패널의 적절한 크기는 분산이 추정될 수 있고 시험에서 요구되는 해상도가 알려져 있을 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시험 조건이 기술적 및 행동적 측면에서 엄격히 통제될 경우, 20명의 피험자 데이터가 적절한 결론 도출에 충분함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청취 패널의 적절한 크기는 분산이 추정될 수 있고 시험에서 요구되는 해상도가 알려져 있을 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시험 조건이 기술적 및 행동적 측면에서 엄격히 통제될 경우, 20명의 피험자 데이터가 적절한 결론 도출에 충분함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
데이터 분석을 시험 진행 중 수행할 수 있다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도달했을 때 추가 피험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대상 시스템이 거의 투명한 경우, 사후 선별을 통과하는 충분한 수의 피험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피험자가 필요합니다. | 데이터 분석을 시험 진행 중 수행할 수 있다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도달했을 때 추가 피험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대상 시스템이 거의 투명한 경우, 사후 선별을 통과하는 충분한 수의 피험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피험자가 필요합니다. | ||
줄 77: | 줄 83: | ||
또한, 피험자가 다양한 손상 유형에 대해 민감도 차이를 보일 가능성을 반영하기 위해 청취 패널 크기를 늘릴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또한, 피험자가 다양한 손상 유형에 대해 민감도 차이를 보일 가능성을 반영하기 위해 청취 패널 크기를 늘릴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
- | 4. 시험 방법\\ | + | =====4. 시험 방법===== |
- | 미세한 손상을 일으키는 시스템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숨겨진 | + | 미세한 손상을 일으키는 시스템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숨겨진 |
- | 이 방법의 선호되고 가장 민감한 형태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가 참여하며, | + | 이 방법의 선호되고 가장 민감한 형태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가 참여하며, |
- | 피험자는 연속적인 5단계 손상 척도에 따라 “B”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와 “C”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자극 “B” 또는 “C” 중 하나는 자극 “A”와 구별할 수 없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손상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 + | 피험자는 연속적인 5단계 손상 척도에 따라 “B”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와 “C”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자극 “B” 또는 “C” 중 하나는 자극 “A”와 구별할 수 없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손상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
선호되는 방법에서는 피험자가 한 시험(tial)에 대한 등급 평가를 완료하면 즉시 다음 시험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가 대상 음원은 피험자가 평가할 때까지 반복 재생될 수 있어, 시험 절차는 피험자 스스로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선호되는 방법에서는 피험자가 한 시험(tial)에 대한 등급 평가를 완료하면 즉시 다음 시험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가 대상 음원은 피험자가 평가할 때까지 반복 재생될 수 있어, 시험 절차는 피험자 스스로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등급 척도는 ITU-R 권고 BS.1284 및 표 1에 제시된 ITU-R 5단계 손상 척도에서 유래한 “기준점(anchors)”을 포함하는 연속 척도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 등급 척도는 ITU-R 권고 BS.1284 및 표 1에 제시된 ITU-R 5단계 손상 척도에서 유래한 “기준점(anchors)”을 포함하는 연속 척도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 ||
줄 94: | 줄 100: | ||
</ | </ | ||
- | 주석 | + | > |
만약 중간 앵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개별 피험자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정규화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다음 식을 사용하면 원래 척도를 유지하면서도 이러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중간 앵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개별 피험자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정규화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다음 식을 사용하면 원래 척도를 유지하면서도 이러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 | |||
<m> Z_i = { { x_i - x_si } / s_si } * s_s + x_s </m> | <m> Z_i = { { x_i - x_si } / s_si } * s_s + x_s </m> | ||
줄 111: | 줄 116: | ||
중간 앵커 포인트 없는 척도 사용은 결과의 절대적 해석을 방해합니다. 척도는 소수점 한 자리까지 해상도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시험 방법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중간 앵커 포인트 없는 척도 사용은 결과의 절대적 해석을 방해합니다. 척도는 소수점 한 자리까지 해상도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시험 방법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 ||
- | 4.1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 | + | ====4.1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 |
공식적인 평가 전에, 피험자들은 시험 시설, 시험 환경, 평가 과정, 평가 척도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철저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피험자들은 또한 평가 대상 왜곡음(아티팩트)에 대해 충분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가장 민감한 테스트의 경우, 공식 평가 세션에서 평가할 모든 자료에 미리 노출되어야 합니다. | 공식적인 평가 전에, 피험자들은 시험 시설, 시험 환경, 평가 과정, 평가 척도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철저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피험자들은 또한 평가 대상 왜곡음(아티팩트)에 대해 충분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가장 민감한 테스트의 경우, 공식 평가 세션에서 평가할 모든 자료에 미리 노출되어야 합니다. | ||
- |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에서는 가능하면 피험자들이 3명 정도의 그룹으로 함께 있어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감지한 왜곡음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첨부 문서 3 “청취자에게 주는 지침”에는 모델로서 이러한 지침 예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침에는 ‘숨겨진 | + |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에서는 가능하면 피험자들이 3명 정도의 그룹으로 함께 있어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감지한 왜곡음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첨부 문서 3 “청취자에게 주는 지침”에는 모델로서 이러한 지침 예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침에는 ‘숨겨진 |
적절한 친숙화는 초기 능력이 낮은 피험자를 테스트 목적에 적합한 전문가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친숙화는 초기 능력이 낮은 피험자를 테스트 목적에 적합한 전문가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
친숙화 과정이 끝날 때에는 피험자들이 이후 공식 평가 단계에서 사용할 척도에 대해 안정적인 감각을 갖게 되어야 합니다. | 친숙화 과정이 끝날 때에는 피험자들이 이후 공식 평가 단계에서 사용할 척도에 대해 안정적인 감각을 갖게 되어야 합니다. | ||
- | 4.2 평가 단계\\ | + | ====4.2 평가 단계==== |
첫 번째 공식 평가 세션이 시작될 때, 각 피험자에게 구두로 시험 지침이 전달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서면 자료가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공식 평가가 시작되기 전에 몇 가지 예시 비교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공식 평가 세션이 시작될 때, 각 피험자에게 구두로 시험 지침이 전달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서면 자료가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공식 평가가 시작되기 전에 몇 가지 예시 비교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 ||
+ | |||
장기 및 중기 기억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시험 절차는 단기 기억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이는 첨부 문서 3에 설명된 3자극 시스템과 함께 근접 즉시 전환(참고 1)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런 전환은 자극 간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을 요구합니다. | 장기 및 중기 기억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시험 절차는 단기 기억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이는 첨부 문서 3에 설명된 3자극 시스템과 함께 근접 즉시 전환(참고 1)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런 전환은 자극 간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을 요구합니다. | ||
- | 참고 | + | |
+ | > | ||
가장 민감한 평가의 경우,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만 처리해야 합니다. 오직 이렇게 해야 피험자가 3자극 방법에서 자극 간 전환을 완전한 자유로 할 수 있습니다. 이 자유는 피험자가 각 시험 자극 간의 세밀한 비교를 충분히 탐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가장 민감한 평가의 경우,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만 처리해야 합니다. 오직 이렇게 해야 피험자가 3자극 방법에서 자극 간 전환을 완전한 자유로 할 수 있습니다. 이 자유는 피험자가 각 시험 자극 간의 세밀한 비교를 충분히 탐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 | |||
가능하면 피험자는 시각적 안내 없이 자극 간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피험자가 원한다면 눈을 감고 최소한의 주의 산만한 환경에서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가능하면 피험자는 시각적 안내 없이 자극 간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피험자가 원한다면 눈을 감고 최소한의 주의 산만한 환경에서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
+ | |||
전환 시스템에서 “딸깍” 같은 가청 아티팩트가 없어야 하며, 이런 아티팩트는 평가 과정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전환 시스템에서 “딸깍” 같은 가청 아티팩트가 없어야 하며, 이런 아티팩트는 평가 과정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
+ | |||
평가 세션은 20~30분을 넘지 않아야 하며, 본 권고에 따라 피험자 스스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험 특성으로 인해 피험자 간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험에 따르면 원하는 세션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션당 10~15 트라이얼을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합니다. | 평가 세션은 20~30분을 넘지 않아야 하며, 본 권고에 따라 피험자 스스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험 특성으로 인해 피험자 간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험에 따르면 원하는 세션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션당 10~15 트라이얼을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합니다. | ||
+ | |||
피험자 피로도는 판단의 타당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연속된 세션 사이에 세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휴식 시간을 배정해야 합니다. | 피험자 피로도는 판단의 타당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연속된 세션 사이에 세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휴식 시간을 배정해야 합니다. | ||
- | 5 속성 | + | =====5. 속성===== |
아래는 모노포닉, | 아래는 모노포닉, | ||
각 경우마다 " | 각 경우마다 " | ||
한 시험에서 피험자가 여러 속성을 평가하도록 하면, 과도한 응답 부담(response burden)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험자가 주어진 자극에 대해 여러 질문에 답하느라 과부하가 걸리거나 혼란스러워 하면 모든 질문의 평가가 신뢰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 한 시험에서 피험자가 여러 속성을 평가하도록 하면, 과도한 응답 부담(response burden)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험자가 주어진 자극에 대해 여러 질문에 답하느라 과부하가 걸리거나 혼란스러워 하면 모든 질문의 평가가 신뢰할 수 없게 될 수 있습니다. | ||
- | 5.1 모노포닉 시스템\\ | + | ====5.1 모노포닉 시스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 | 5.2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5.2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모노포닉과 마찬가지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모노포닉과 마찬가지로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 ||
- |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 (Stereophonic image quality) – 참조와 대상 간에 사운드 이미지 위치, 음향 사건의 깊이감 및 현실성 등에서 차이에 관련된 속성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지만, | + |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 (Stereophonic image quality) – 레퍼런스와 대상 간에 사운드 이미지 위치, 음향 사건의 깊이감 및 현실성 등에서 차이에 관련된 속성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지만, |
- | + | ||
- | 참고 1 – 1993년 이전까지 대부분의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주관 평가 연구에서는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만을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은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 내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 | |
- | 5.3 멀티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노트 1 – 1993년 이전까지 대부분의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 | |
-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 + | ====5.3 멀티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전면 이미지 | + | 기본 오디오 |
- | 서라운드 품질 인상 (Impression of surround quality) – 공간적 인상, 분위기, 특수 방향 서라운드 효과와 관련된 속성입니다. | + |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전면 이미지 품질 (Front image quality) – 전면 사운드 소스의 위치 정확도에 관련된 속성으로, |
+ | * 서라운드 품질 인상 (Impression of surround quality) – 공간적 인상, 분위기, 특수 방향 서라운드 효과와 관련된 속성입니다. | ||
- | 5.4 고급 음향 시스템\\ | + | ====5.4 고급 음향 시스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들이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들이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
줄 164: | 줄 174: | ||
환경 품질 – 이 속성은 서라운드 품질 속성을 확장한 것입니다. 공간적 인상, 감싸는 느낌, 분위기, 분산성 또는 공간 방향 서라운드 효과와 관련됩니다. 이 속성은 수평 환경 품질, 수직 환경 품질 및 원거리 환경 품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환경 품질 – 이 속성은 서라운드 품질 속성을 확장한 것입니다. 공간적 인상, 감싸는 느낌, 분위기, 분산성 또는 공간 방향 서라운드 효과와 관련됩니다. 이 속성은 수평 환경 품질, 수직 환경 품질 및 원거리 환경 품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
- | 6 프로그램 자료\\ | + | =====6. 프로그램 자료===== |
시험 중인 시스템 간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중요한 자료만 사용해야 합니다. 중요한 자료란 시험 중인 시스템을 강하게 시험하는 자료입니다. 모든 시스템을 모든 조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보편적으로 “적합한” 프로그램 자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각 실험에서 시험할 각 시스템에 대해 명확히 중요한 프로그램 자료를 찾아야 합니다. 좋은 자료를 찾는 일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각 시스템에 대해 진정으로 중요한 자료를 찾지 않으면, 실험은 시스템 간 차이를 드러내지 못하고 결론이 불명확해질 것입니다. | 시험 중인 시스템 간의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중요한 자료만 사용해야 합니다. 중요한 자료란 시험 중인 시스템을 강하게 시험하는 자료입니다. 모든 시스템을 모든 조건에서 평가할 수 있는 보편적으로 “적합한” 프로그램 자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각 실험에서 시험할 각 시스템에 대해 명확히 중요한 프로그램 자료를 찾아야 합니다. 좋은 자료를 찾는 일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각 시스템에 대해 진정으로 중요한 자료를 찾지 않으면, 실험은 시스템 간 차이를 드러내지 못하고 결론이 불명확해질 것입니다. | ||
줄 189: | 줄 199: | ||
음향 프로그램 신호는 순간적인 피크가 ITU-R BS.645 권고서에 정의된 허용 최대 신호 피크 진폭(정렬 수준 대비 9 dB 높은 사인파)만 가끔 초과하도록 제어되어야 합니다. | 음향 프로그램 신호는 순간적인 피크가 ITU-R BS.645 권고서에 정의된 허용 최대 신호 피크 진폭(정렬 수준 대비 9 dB 높은 사인파)만 가끔 초과하도록 제어되어야 합니다. | ||
- | 이 조건에서 피크 프로그램 미터는 허용 최대 신호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신호 레벨을 표시할 것입니다. 톤 버스트는 | + | 이 조건에서 피크 프로그램 미터는 허용 최대 신호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신호 레벨을 표시할 것입니다. 톤 버스트는 |
시험에 포함할 수 있는 발췌 구간 수는 각 대상별로 같아야 하며, 합리적인 추정치는 대상 수의 1.5배이며, | 시험에 포함할 수 있는 발췌 구간 수는 각 대상별로 같아야 하며, 합리적인 추정치는 대상 수의 1.5배이며, | ||
줄 197: | 줄 207: | ||
모노포닉 및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의 경우, 쉽게 접근 가능한 출처에서 발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모노포닉 및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의 경우, 쉽게 접근 가능한 출처에서 발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
- | 2채널 스테레오 재생 조건에서 멀티채널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 + | 2채널 스테레오 재생 조건에서 멀티채널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
- | 참조 | + | 레퍼런스 |
* L0 = 1.00 L + 0.71 C + 0.71 Ls | * L0 = 1.00 L + 0.71 C + 0.71 Ls | ||
줄 206: | 줄 216: | ||
고급 음향 시스템 시험 조건에서는, | 고급 음향 시스템 시험 조건에서는, | ||
- | 7. 재생장치\\ | + | =====7. 재생장치===== |
- | 7.1 일반\\ | + | ====7.1 일반==== |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또는 헤드폰은 모든 음향 프로그램 신호나 기타 테스트 신호가 최적의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즉, 어떤 종류의 재생에서도 중립적인 음향을 제공해야 하며, 모노포닉 평가와 2채널 이상의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 평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또는 헤드폰은 모든 음향 프로그램 신호나 기타 테스트 신호가 최적의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즉, 어떤 종류의 재생에서도 중립적인 음향을 제공해야 하며, 모노포닉 평가와 2채널 이상의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 평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 | |||
헤드폰 재생에서는 특정 품질 저하가 더 명확하게 인식되며, | 헤드폰 재생에서는 특정 품질 저하가 더 명확하게 인식되며, | ||
+ | |||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에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헤드폰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에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헤드폰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
+ | |||
모노포닉 시스템 평가는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모노포닉 시스템 평가는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 | |||
시험이나 시험 그룹 단위로 스피커 또는 헤드폰 중 하나를 선택하면, | 시험이나 시험 그룹 단위로 스피커 또는 헤드폰 중 하나를 선택하면, | ||
+ | |||
반대로, 피험자가 스피커와 헤드폰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면, 효과의 청취 가능성을 특정 재생 장치와 연관시키기 어렵습니다. | 반대로, 피험자가 스피커와 헤드폰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면, 효과의 청취 가능성을 특정 재생 장치와 연관시키기 어렵습니다. | ||
멀티채널 음향 시스템 및 영상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고급 음향 시스템 평가에는, | 멀티채널 음향 시스템 및 영상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고급 음향 시스템 평가에는, | ||
+ | |||
모든 경우에 각 스피커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적으로 매칭되어 고유 음색 차이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모든 경우에 각 스피커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적으로 매칭되어 고유 음색 차이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
- | 7.2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 + | ====7.2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
- | 7.2.1 일반\\ | + | ===7.2.1 일반=== |
- | “참조 | + | “레퍼런스 |
전기음향적 특성은 자유장 조건에서 측정된 다음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전기음향적 특성은 자유장 조건에서 측정된 다음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
절대 음압 레벨 값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음향 중심으로부터 1m 측정 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 절대 음압 레벨 값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음향 중심으로부터 1m 측정 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 ||
- | 7.2.2 전기음향 요구사항\\ | + | ===7.2.2 전기음향 요구사항=== |
- | 7.2.2.1 진폭 주파수 응답\\ | + | ==7.2.2.1 진폭 주파수 응답== |
스피커 사전 선정 시, 메인 축(방향각 0°)에서 핑크 노이즈를 사용해 40Hz~16kHz 범위 내에서 1/3 옥타브 밴드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4dB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 스피커 사전 선정 시, 메인 축(방향각 0°)에서 핑크 노이즈를 사용해 40Hz~16kHz 범위 내에서 1/3 옥타브 밴드로 측정한 주파수 응답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4dB의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 ||
±10° 방향각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 곡선은 메인 축 응답과 3dB 이상 차이나면 안 되며, 수평면 내에서 ±30° 방향각에선 4dB를 넘으면 안 됩니다. | ±10° 방향각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 곡선은 메인 축 응답과 3dB 이상 차이나면 안 되며, 수평면 내에서 ±30° 방향각에선 4dB를 넘으면 안 됩니다. | ||
줄 230: | 줄 246: | ||
참고 1 – §8.3.4에 언급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청취실 내 음장 주파수 특성을 설명합니다. | 참고 1 – §8.3.4에 언급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청취실 내 음장 주파수 특성을 설명합니다. | ||
- | 7.2.2.2 지향성 지수\\ | + | ==7.2.2.2 지향성 지수== |
1/3 옥타브 밴드 노이즈로 500Hz~10kHz 범위 측정한 지향성 지수 C는 6dB 이상 12dB 이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주파수 증가에 따라 부드럽게 증가해야 합니다. | 1/3 옥타브 밴드 노이즈로 500Hz~10kHz 범위 측정한 지향성 지수 C는 6dB 이상 12dB 이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주파수 증가에 따라 부드럽게 증가해야 합니다. | ||
- | 7.2.2.3 비선형 왜곡\\ | + | ==7.2.2.3 비선형 왜곡== |
평균 음압 레벨(SPL) 90 dB를 출력하는 일정한 전압 입력 신호가 스피커에 공급될 때, 해당 SPL 기준으로 40 Hz에서 16 kHz의 기본 주파수 범위 내에서 어떤 고조파 왜곡 성분도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 평균 음압 레벨(SPL) 90 dB를 출력하는 일정한 전압 입력 신호가 스피커에 공급될 때, 해당 SPL 기준으로 40 Hz에서 16 kHz의 기본 주파수 범위 내에서 어떤 고조파 왜곡 성분도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 ||
* f<250Hz 에서 -30dB(3%) | * f<250Hz 에서 -30dB(3%) | ||
* f>_250 Hz 에서 -40dB(1%) | * f>_250 Hz 에서 -40dB(1%) | ||
- | 7.2.2.4 과도응답 충실도\\ | + | ==7.2.2.4 과도응답 충실도== |
사용한 오실로스코프에서 측정한 음압 감쇠 시간은 원래 음압의 1/e (약 0.37) 수준까지 감쇠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 사용한 오실로스코프에서 측정한 음압 감쇠 시간은 원래 음압의 1/e (약 0.37) 수준까지 감쇠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 ||
줄 248: | 줄 264: | ||
즉, 사인파 톤 버스트의 감쇠 시간은 해당 사인파 주기의 5배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 즉, 사인파 톤 버스트의 감쇠 시간은 해당 사인파 주기의 5배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 ||
- | 7.2.2.5 시간 지연\\ | + | ==7.2.2.5 시간 지연== |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시스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100μs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시스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100μs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
- | 부록 | + | > |
- |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 | |
- | 7.2.2.6 다이내믹 레인지\\ | + | ==7.2.2.6 다이내믹 레인지== |
스피커가 10분 이상 열적 또는 기계적 손상 없이, 과부하 회로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최대 동작 음압 레벨을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노이즈 신호(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 출판물 268-1c 기준)를 사용해 측정한 경우, Leff 최대값은 108 dB 이상이어야 합니다. (평탄 응답 및 r.m.s.(느린)로 설정된 소리 레벨 미터 이용) | 스피커가 10분 이상 열적 또는 기계적 손상 없이, 과부하 회로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최대 동작 음압 레벨을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노이즈 신호(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 출판물 268-1c 기준)를 사용해 측정한 경우, Leff 최대값은 108 dB 이상이어야 합니다. (평탄 응답 및 r.m.s.(느린)로 설정된 소리 레벨 미터 이용) | ||
- | 단일 | + | 단일 |
- | 참고 | + | > |
- | 7.3 참조 | + | ====7.3 레퍼런스 |
- | 7.3.1 일반\\ | + | ===7.3.1 일반=== |
- | 참조 | + | 레퍼런스 |
- | 7.3.2 전기음향 요구사항\\ | + | ===7.3.2 전기음향 요구사항=== |
- | 7.3.2.1 주파수 응답\\ | + | ==7.3.2.1 주파수 응답== |
스튜디오 모니터 헤드폰의 확산음장 주파수 응답은 ITU-R BS.708 권고안을 따르는 것이 권장됩니다. | 스튜디오 모니터 헤드폰의 확산음장 주파수 응답은 ITU-R BS.708 권고안을 따르는 것이 권장됩니다. | ||
- | 7.3.2.2 시간 지연\\ | + | ==7.3.2.2 시간 지연== |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20 μ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20 μ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
- |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 |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 | |||
+ | =====8 청취 조건===== | ||
+ | ====8.1 일반==== | ||
+ | ' | ||
+ | 이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
+ | |||
+ | * 청취실의 음향 특성 | ||
+ | *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 | ||
+ | * 결과 음장 특성을 생성하는 레퍼런스 청취 지점 또는 영역의 위치 | ||
+ | |||
+ | 현대 기술 수준으로는 음향 매개 변수만으로 레퍼런스 음장을 완벽하고 고유하게 설명할 수 없으므로, | ||
+ | |||
+ | ====8.2 레퍼런스 리스닝 룸==== | ||
+ | ===8.2.1 일반=== | ||
+ | 스피커 재생의 주관적 시험을 위해 다음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레퍼런스 청취실의 최소 요구 사항이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헤드폰 재생만 하는 경우, 청취실은 최소한 배경 소음 수준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
+ | |||
+ | ===8.2.2 기하학적 특성=== | ||
+ | 다음 값들은 레퍼런스 청취실에 적합한 실면적 치수를 설명합니다. | ||
+ | 시험실이 이 치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다음 절에서 언급된 음장 조건과 스피커 배치 요구 사항을 최소한 충족해야 합니다. | ||
+ | |||
+ | ==8.2.2.1 방 크기(실면적)== | ||
+ | |||
+ | * 모노포닉 또는 2채널 스테레오 재생: 20~60 m² | ||
+ | * 다채널 스테레오 또는 고급 음향 시스템 재생: 30~70 m² | ||
+ | |||
+ | >노트 1 – 작은 방 크기는 동시에 수용 가능한 최대 청취자 수에 제한을 둡니다. | ||
+ | >노트 2 – 고급 음향 시스템에 적합한 청취실 최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방 크기, 형태, 비율 및 음향 특성은 시험 보고서에 기록되어야 합니다. | ||
+ | |||
+ | ==8.2.2.2 방 형태== | ||
+ | 방은 스테레오 베이스의 수직 중선에 대칭이어야 합니다. 실면적은 가급적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여야 합니다. | ||
+ | |||
+ | ==8.2.2.3 방 비율== | ||
+ | 다음 치수 비율은 방의 저주파 고유음 분포를 균등하게 하기 위해 준수해야 합니다: | ||
+ | |||
+ | * 1.1w / h ≤ l / h ≤ 4.5w / h - w | ||
+ | |||
+ | 여기서: | ||
+ | * l : 길이 | ||
+ | * w : 너비 | ||
+ | * h : 높이 | ||
+ | 또한, l / h < 3 및 w / h < 3 조건도 적용되어야 합니다. | ||
+ | |||
+ | ===8.2.3 룸 어커스틱 특성=== | ||
+ | ==8.2.3.1 잔향 시간== | ||
+ | 잔향 시간 Tm은 다음 수식으로 주파수 200Hz~4kHz 범위에서 측정한 평균값이어야 합니다: | ||
+ | |||
+ | <m>Tm = 0.25 (V / V_0)^{1/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 |||
+ | 주파수 63Hz부터 8kHz까지 Tm에 허용되는 오차 범위는 별도의 도면(도 1)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
+ | |||
+ | >노트 1: 낮은 주파수에서는 작은 잔향 시간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
+ | |||
+ | {{ 20250823-125200.png }} | ||
+ | |||
+ | ====8.3 레퍼런스 음장 조건==== | ||
+ | ===8.3.1 일반=== | ||
+ | 청취 영역의 음장 특성은 청각 사건의 주관적 인지나 품질 평가, 그리고 다른 청취 장소나 방에서의 재현 가능성에 가장 중요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스피커와 청취실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며, | ||
+ | 현재 다음과 같은 특성을 기술할 수 있습니다. | ||
+ | |||
+ | ===8.3.2 직접음=== | ||
+ | ==8.3.2.1 모니터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 | ||
+ | 자유장 조건에서 측정한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은 § 7.2.2에서 제시한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
+ | |||
+ | ===8.3.3 반사음=== | ||
+ | ==8.3.3.1 초기 반사음== | ||
+ | 청취실 경계면에서 직접음 도달 후 최대 15ms 이내에 청취 영역에 이르는 초기 반사음은 1~8kHz 주파수 범위에서 직접음 대비 최소 10dB 이상 감쇠되어야 합니다. | ||
+ | |||
+ | ==8.3.3.2 후기 에너지== | ||
+ | 초기 반사음과 잔향에 대한 명시된 요구사항(§ 8.2.3 참조) 외에도, 플러터 에코, 음색 변조 등 음장 내 기타 중요한 이상 현상을 방지해야 합니다. | ||
+ | |||
+ | ==8.3.3.3 잔향 시간== | ||
+ | § 8.2.3.1 참조 | ||
+ | |||
+ | ==8.3.3.4 임펄스 응답== | ||
+ | 시험에 사용되는 청취 위치 모두에서, | ||
+ | 이를 통해 스피커와 실내 음향이 초기 반사음, 후기 에너지, 잔향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하는지 검증할 수 있습니다. | ||
+ | |||
+ | ===8.3.4 정상 상태 음장=== | ||
+ | ==8.3.4.1 운용 룸 응답 곡선== | ||
+ | 운용 룸 응답 곡선은 50Hz~16kHz 범위의 주파수에서 핑크 노이즈를 사용해 레퍼런스 청취 지점에서 각 모니터 스피커가 생성하는 음압 수준의 1/ | ||
+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도면 2에 명시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 ||
+ | 레퍼런스 청취 지점에서 각각의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운용 룸 응답 곡선 간 차이는 전체 주파수 범위에서 2dB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 ||
+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시험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사양은 이퀄라이제이션 도입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이퀄라이제이션이 포함될 경우 사용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대한 인정 및 상세 내역을 시험 보고서에 기록해야 합니다. | ||
+ | |||
+ | ==8.3.4.2 배경 소음== | ||
+ | 명목상 앉은 청취자의 귀 높이에서 측정한 연속 배경 소음(냉난방 장치, 내부 장비, 외부 원인에 의한 소음)은 가능한 한 NR 1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도면 3 및 4 참조), 어떠한 경우에도 NR 15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
+ | 배경 소음은 충격음, 주기적 또는 음색적인 소음이어서는 안 됩니다. | ||
+ | |||
+ | ====8.4 청취 레벨==== | ||
+ | ===8.4.1 스피커 재생=== | ||
+ | ==8.4.1.1 운용 음압 레벨(레퍼런스 청취 레벨)== | ||
+ | 레퍼런스 청취 레벨은 레퍼런스 청취 지점에서 주어진 측정 신호로 생성되는 선호 청취 레벨로 정의됩니다. | ||
+ | 이는 같은 음원 구간을 다양한 청취실에서 동일한 음압 수준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채널의 음향 이득을 특징짓습니다. | ||
+ | 청취 배열 내 각 스피커의 레벨 정렬은 핑크 노이즈를 이용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 ||
+ | |||
+ | {{ 20250823-125646.png }} | ||
+ | |||
+ | {{ 20250823-125658.png }} | ||
+ | |||
+ | {{ 20250823-125710.png }} | ||
+ | |||
+ | 측정 신호가 관례적으로 ITU-R BS.645 권고에 따른 “정렬 신호 레벨”(0 dBμ0s; 디지털 테이프 녹음의 클리핑 레벨 대비 -18 dB)에 RMS 전압이 같으며, 이 신호를 각 재생 채널(즉, 파워 앰프와 연결된 스피커) 입력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때, 앰프 게인은 다음 레퍼런스 음압 레벨(IEC/ | ||
+ | |||
+ | * L< | ||
+ | |||
+ | >노트 1 – 고급 음향 시스템의 음향 특성 측정은 이전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보다 훨씬 복잡할 수 있습니다. 측정 마이크 선택과 방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
+ | |||
+ | (청취자마다 선호하는 절대 청취 레벨이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실험 중 유연한 조절 필요성을 만들 수 있으나, 이런 조절이 평가 중인 일부 왜곡음 청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만약 실험 대상자가 시스템의 게인을 조절한다면, | ||
+ | |||
+ | ===8.4.2 헤드폰 재생=== | ||
+ | 헤드폰의 레벨은 스피커로 재생되는 레퍼런스 음장과 동등한 음량이 되도록 조정되어야 합니다. 음량을 동등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피시험자가 레퍼런스 청취 지점에 위치해야 합니다. | ||
+ | |||
+ | ====8.5 청취 배열==== | ||
+ | ===8.5.1 일반=== | ||
+ | 청취 배열은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와 청취 장소(청취 영역)를 설명합니다. 보통 청취 시험은 레퍼런스 위치 및 기타 권장 청취 위치에서 수행됩니다. | ||
+ | 그러나 중심 좌표 밖의 청취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향도 평가해야 하며, 이때 “최악의 경우” 청취 위치들이 포함됩니다. | ||
+ | |||
+ | ==8.5.1.1 모니터 스피커 높이 및 방향== | ||
+ | 모든 스피커의 높이는 방위각 평면에서 각 스피커의 음향 중심까지 측정하며, | ||
+ | 스피커의 방향은 레퍼런스 축이 청취자의 귀 높이의 레퍼런스 위치를 통과하도록 조정되어야 합니다. | ||
+ | 고급 음향 시스템의 경우, 높이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모든 스피커의 위치를 방 크기와 청취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 차원에서 문서화하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 | |||
+ | ==8.5.1.2 벽과의 거리== | ||
+ | 독립형 스피커의 경우, 스피커 음향 중심이 주변 반사면으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 ||
+ | 이 기준을 실내 크기 제한으로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 권고안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시험 보고서에는 벽과의 거리 기준 미충족 사실을 명시해야 합니다. | ||
+ | 이때 초기 반사음은 § 8.3.3.1에 제시된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다른 방법으로 제어해야 하며, 그 방법도 시험 보고서에 기재되어야 합니다. | ||
+ | |||
+ | ===8.5.2 모노포닉 재생=== | ||
+ | 모노포닉 신호 재생 시에는 단일 스피커를 사용해야 하며, 최소 청취 거리는 2m입니다. | ||
+ | 모든 청취 위치는 스피커 축으로부터 ±30°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그림 5 참조). | ||
+ | |||
+ | {{ 20250823-130334.png }} | ||
+ | |||
+ | ===8.5.3 2채널 스테레오 재생=== | ||
+ | |||
+ | {{ 20250823-130446.png }} | ||
+ | |||
+ | ==8.5.3.1 기준 너비 B== | ||
+ | BS.1116-06에 따르면, 선호되는 기준 너비는 B = 2~3 m입니다. 적절히 설계된 방에서는 최대 4 m까지 허용될 수 있습니다. | ||
+ | |||
+ | ==8.5.3.2 청취 거리 D (스피커와 청취자 사이 거리)== | ||
+ | 청취 거리의 한계는 D = 2에서 1.7 B(미터) 사이입니다. | ||
+ | |||
+ | ==8.5.3.3 청취 위치== | ||
+ | 이른바 레퍼런스 청취 지점은 60° 청취 각도로 정의됩니다. 권장 청취 영역은 레퍼런스 청취 지점 주변 반경 0.7 m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추가로 “최악의 경우” 청취 위치도 도 6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 ||
+ | |||
+ | ===8.5.4 다채널 스테레오 재생=== | ||
+ | 청취 배열은 원칙적으로 ITU-R BS.775 권고에 명시된 3/2 다채널 사운드 배열에 부합해야 합니다(스피커 L/C/R 및 LS/RS 포함). | ||
+ | |||
+ | {{ 20250823-130557.png }} | ||
+ | |||
+ | ==8.5.4.1 기준 너비== | ||
+ | 선호하는 기준 너비는 B = 2-3m 입니다. 적절하게 설계된 방에서는 < | ||
+ | |||
+ | ==8.5.4.2 청취 거리 및 기준 각도== | ||
+ | 레퍼런스 청취 거리는 기준 너비 B와 같으며, 따라서 레퍼런스 기준 각도는 60°입니다. | ||
+ | |||
+ | ==8.5.4.3 청취 위치== | ||
+ | 앞서 언급한 60° 청취 각도로 정의되는 이른바 레퍼런스 청취 지점이 있습니다. 추가로 “최악의 경우” 청취 위치들도 도 7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 ||
+ | |||
+ | ===8.5.5 고급 음향 시스템 재생=== | ||
+ | 실험 조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험에 사용된 모든 스피커 위치(거리 및 각도)와 청취 위치에 대한 상대적 배치를 시험 보고서에 상세히 기술해야 합니다. | ||
+ | 이 기술은 권고 ITU-R BS.775에 명시된 스피커 배열과 청취 위치에 상응하는 형식과 내용을 따라야 합니다. | ||
+ | 고급 음향 시스템에서는 높이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모든 스피커 위치를 수직 차원에서도 명확히 식별하고 설명해야 합니다. | ||
+ | ITU-R BS.2051 권고안도 이러한 문맥에서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
+ | |||
+ | =====9. 통계 분석===== | ||
+ | 테스트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의 기본 목표는 각 시험 시스템의 평균 성능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 ||
+ | 후자는 결과의 변동성 또는 분산을 추정하는 것을 필요로 합니다. | ||
+ | 본 문서의 다른 절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테스트가 수행되었다면, | ||
+ | 하지만 이 척도의 성질이 특정 통계 방법을 금지하거나 강제하지는 않습니다. | ||
+ | 모수 통계의 기본 가정이 합리적으로 충족된다면, | ||
+ | 분산 분석(ANOVA)의 기본 가정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에만 대체 분석 방법(예: 비모수 방법)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
+ | 구체적으로는 ANOVA 모델을 1차 분석으로 적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후 ANOVA가 드러낸 유의미한 전체 효과가 어디에 있는지 상세히 알아보기 위해 t-검정, Neuman-Keuls, | ||
+ | 특정 가설은 여러 통계 방법으로 검증될 수 있으며, 대체 통계 방법으로도 동일한 가설이 통과된다면 그 결정 근거는 더욱 강화됩니다. 따라서 Wilcoxon 같은 보조 데이터 분석 적용도 제안됩니다. | ||
+ | 또한 심리측정적 측면을 어느 단계에서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데, | ||
+ | 만약 척도의 선형성이 증명되지 않는다면, | ||
+ | |||
+ | =====10 통계 분석 결과의 제시===== | ||
+ | ====10.1 일반==== | ||
+ | 통계 결과 제시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든 독자가 관련 정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
+ | 처음에는 전체 실험 결과를 그래픽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좋으며, 더 자세한 정량 정보는 첨부 자료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 ||
- | 8 청취 조건\\ | + | ====10.2 절대 등급==== |
- | 8.1 일반\\ | + | 객체 및 숨겨진 레퍼런스에 대한 절대 평균 등급 제시는 데이터의 좋은 초기 개요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상세한 통계 분석의 적절한 근거가 아닙니다. |
- | “청취 조건”이란 | + | 이는 제안된 시험 방법에서 |
+ | 따라서 이러한 절대 등급에 대한 통계 분석은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지 못하므로 수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 ||
- | 청취실의 음향 특성 | ||
- |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 | + | ====10.3 등급 차이==== |
+ | 숨겨진 레퍼런스와 객체에 부여된 등급 간 차이가 통계 분석에 적합한 입력 값입니다. | ||
+ | 그래프 표현은 일반적으로 주요 관심사인 투명도에 대한 실제 거리를 명확히 드러냅니다. | ||
- | 필요하신 경우 더 자세한 번역도 | + | ====10.4 유의 수준과 |
+ | 시험 보고서는 모든 주관적 데이터가 본질적으로 통계적임을 독자에게 알려야 합니다. | ||
+ | 유의 수준과 통계 방법 및 결과에 대한 세부 정보를 명시하여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 ||
+ | 예를 들면 그래프의 신뢰 구간이나 오차 막대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
+ | “올바른” 유의 수준은 없으나 전통적으로 0.05가 선택됩니다. | ||
+ | 가설에 따라 단측 또는 양측 검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 =====11 시험 보고서 내용===== | ||
+ | 시험 보고서는 연구의 근거, 사용한 방법, 도출된 결론을 명확히 전달해야 합니다. | ||
+ | 충분한 세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이는 숙련된 사람이 원칙적으로 연구를 재현해 결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
+ | 독자는 연구의 주요 세부 사항, 즉 연구 배경, 실험 설계 및 실행, 분석 및 결론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 | 특히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
+ | * 대상자 및 음원 선정 및 명세 | ||
+ | * 청취 환경 및 장비의 물리적 세부사항 (방 크기, 음향 특성, 변환기 종류 및 배치, 전기 장비 명세 등) | ||
+ | * 시험된 채널 구성이 ITU-R BS.775 또는 ITU-R BS.2051 권고에 명시된 것인지 여부 및 상세 설명 | ||
+ | * ITU-R BS.775에 명시되지 않은 음향 시스템의 경우, 시험된 모든 스피커 위치를 ITU-R BS.775 권고 수준의 상세함으로 문서화하여 외부 재현성을 확보 | ||
+ | * 레퍼런스 청취 위치를 시험 대상 스피커 위치와 함께 문서화(§ 8.5.4 및 8.5.5 참조) | ||
+ | * § 8.5.1.2에 명시된 거리 요구 사항 충족 여부 기록. 미충족 시 명시 필요 | ||
+ | * 거리 요구 사항 미충족 시 초기 반사음 제어 방법과 § 8.3.3.1 요구사항 충족 방식을 시험 보고서에 기술 | ||
+ | * 모든 스피커의 운용 음향 응답 측정 결과. 이퀄라이제이션이 포함될 경우, 이에 대한 인정 및 상세 방식을 기록 | ||
+ | * 본 문서의 음향 및 물리적 방 요구 사항 미준수 사항 보고 (운용 음향 측정, 성능 지표, 거리 요구 사항 등) | ||
+ | * 시험에 사용될 상태(가구 포함)로 셋업된 방에서 평가자의 청취 위치에서 측정한 각 스피커의 임펄스 응답(시간 영역 표시) | ||
+ | * 실험 설계, 교육, 지시, 실험 순서, 시험 절차, 데이터 생성 방식 | ||
+ | * 기술 통계 및 추론 통계의 데이터 처리, 모든 결론의 상세 근거 | ||
+ | * 이와 같은 상세한 보고가 시험의 신뢰성 및 재현성을 보장합니다.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175591418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