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2025/08/23] – [1. 일반 내용] 정승환 |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 [2025/08/23] (현재) – [2. 실험 설계] 정승환 | ||
---|---|---|---|
줄 1: | 줄 1: | ||
======ITU-R BS.1116====== | ======ITU-R BS.1116====== | ||
- | **오디오 시스템에서 미세한 손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방법** | + | **오디오 시스템에서 미세한 손상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방법(Methods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small impairments in audio systems)** |
+ | >문서 제목이 좀 이상한데 내용자체는 오디오 청취시스템에서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에 대한 문서입니다. | ||
=====서문===== | =====서문===== | ||
무선통신 부문의 역할은 모든 무선통신 서비스(위성 서비스를 포함)가 전파 주파수 스펙트럼을 합리적이고, | 무선통신 부문의 역할은 모든 무선통신 서비스(위성 서비스를 포함)가 전파 주파수 스펙트럼을 합리적이고, | ||
줄 47: | 줄 48: | ||
=====2. 실험 설계===== | =====2. 실험 설계===== | ||
< | < | ||
+ | |||
세심한 실험 설계와 계획이 필요하며, | 세심한 실험 설계와 계획이 필요하며, | ||
+ | |||
잠재적 손상이나 기타 특성이 청취 테스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진정한 무작위 배치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비균일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이 점을 고려해 시험 조건을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평가할 자료의 난이도가 다양할 경우 자극의 제시 순서는 세션 내외 모두 무작위로 분포되어야 합니다. | 잠재적 손상이나 기타 특성이 청취 테스트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진정한 무작위 배치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비균일성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이 점을 고려해 시험 조건을 배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평가할 자료의 난이도가 다양할 경우 자극의 제시 순서는 세션 내외 모두 무작위로 분포되어야 합니다. | ||
+ | |||
또한 청취 테스트는 피험자가 너무 과부하되어 정확한 판단 능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음향과 영상 간의 관계가 중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 또한 청취 테스트는 피험자가 너무 과부하되어 정확한 판단 능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음향과 영상 간의 관계가 중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 ||
+ | |||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적절한 대조 조건의 포함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조 조건은 손상되지 않은 오디오 자료의 제시를 포함하며, |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적절한 대조 조건의 포함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조 조건은 손상되지 않은 오디오 자료의 제시를 포함하며, | ||
이후 문서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 일부를 추가로 다룹니다. | 이후 문서에서는 이러한 고려사항 일부를 추가로 다룹니다. | ||
+ | |||
실험 설계, 실행, 통계 분석 주제는 복잡하기 때문에 이 권고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지침만 제시됩니다. 따라서 청취 테스트 계획 초기에 실험 설계와 통계 전문가를 상담하거나 참여시킬 것을 권고합니다.</ | 실험 설계, 실행, 통계 분석 주제는 복잡하기 때문에 이 권고서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지침만 제시됩니다. 따라서 청취 테스트 계획 초기에 실험 설계와 통계 전문가를 상담하거나 참여시킬 것을 권고합니다.</ | ||
줄 78: | 줄 84: | ||
=====4. 시험 방법===== | =====4. 시험 방법===== | ||
- | 미세한 손상을 일으키는 시스템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숨겨진 | + | 미세한 손상을 일으키는 시스템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숨겨진 |
- | 이 방법의 선호되고 가장 민감한 형태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가 참여하며, | + | 이 방법의 선호되고 가장 민감한 형태에서는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가 참여하며, |
- | 피험자는 연속적인 5단계 손상 척도에 따라 “B”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와 “C”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자극 “B” 또는 “C” 중 하나는 자극 “A”와 구별할 수 없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손상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 + | 피험자는 연속적인 5단계 손상 척도에 따라 “B”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와 “C”와 “A”를 비교한 손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습니다. 자극 “B” 또는 “C” 중 하나는 자극 “A”와 구별할 수 없어야 하며, 다른 하나는 손상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
선호되는 방법에서는 피험자가 한 시험(tial)에 대한 등급 평가를 완료하면 즉시 다음 시험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가 대상 음원은 피험자가 평가할 때까지 반복 재생될 수 있어, 시험 절차는 피험자 스스로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선호되는 방법에서는 피험자가 한 시험(tial)에 대한 등급 평가를 완료하면 즉시 다음 시험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평가 대상 음원은 피험자가 평가할 때까지 반복 재생될 수 있어, 시험 절차는 피험자 스스로 진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
등급 척도는 ITU-R 권고 BS.1284 및 표 1에 제시된 ITU-R 5단계 손상 척도에서 유래한 “기준점(anchors)”을 포함하는 연속 척도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 등급 척도는 ITU-R 권고 BS.1284 및 표 1에 제시된 ITU-R 5단계 손상 척도에서 유래한 “기준점(anchors)”을 포함하는 연속 척도로 취급되어야 합니다. | ||
줄 112: | 줄 118: | ||
====4.1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 | ====4.1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 | ||
공식적인 평가 전에, 피험자들은 시험 시설, 시험 환경, 평가 과정, 평가 척도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철저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피험자들은 또한 평가 대상 왜곡음(아티팩트)에 대해 충분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가장 민감한 테스트의 경우, 공식 평가 세션에서 평가할 모든 자료에 미리 노출되어야 합니다. | 공식적인 평가 전에, 피험자들은 시험 시설, 시험 환경, 평가 과정, 평가 척도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철저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피험자들은 또한 평가 대상 왜곡음(아티팩트)에 대해 충분히 익숙해져야 합니다. 가장 민감한 테스트의 경우, 공식 평가 세션에서 평가할 모든 자료에 미리 노출되어야 합니다. | ||
- |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에서는 가능하면 피험자들이 3명 정도의 그룹으로 함께 있어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감지한 왜곡음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첨부 문서 3 “청취자에게 주는 지침”에는 모델로서 이러한 지침 예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침에는 ‘숨겨진 | + | 친숙화 또는 교육 단계에서는 가능하면 피험자들이 3명 정도의 그룹으로 함께 있어 자유롭게 상호작용하며 감지한 왜곡음에 대해 토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첨부 문서 3 “청취자에게 주는 지침”에는 모델로서 이러한 지침 예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지침에는 ‘숨겨진 |
적절한 친숙화는 초기 능력이 낮은 피험자를 테스트 목적에 적합한 전문가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친숙화는 초기 능력이 낮은 피험자를 테스트 목적에 적합한 전문가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 ||
친숙화 과정이 끝날 때에는 피험자들이 이후 공식 평가 단계에서 사용할 척도에 대해 안정적인 감각을 갖게 되어야 합니다. | 친숙화 과정이 끝날 때에는 피험자들이 이후 공식 평가 단계에서 사용할 척도에 대해 안정적인 감각을 갖게 되어야 합니다. | ||
줄 118: | 줄 124: | ||
====4.2 평가 단계==== | ====4.2 평가 단계==== | ||
첫 번째 공식 평가 세션이 시작될 때, 각 피험자에게 구두로 시험 지침이 전달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서면 자료가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공식 평가가 시작되기 전에 몇 가지 예시 비교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공식 평가 세션이 시작될 때, 각 피험자에게 구두로 시험 지침이 전달되어야 하며, 가능하면 서면 자료가 함께 제공되어야 합니다. 공식 평가가 시작되기 전에 몇 가지 예시 비교가 제시될 수 있습니다. | ||
+ | |||
장기 및 중기 기억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시험 절차는 단기 기억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이는 첨부 문서 3에 설명된 3자극 시스템과 함께 근접 즉시 전환(참고 1)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런 전환은 자극 간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을 요구합니다. | 장기 및 중기 기억은 신뢰할 수 없으므로 시험 절차는 단기 기억에만 의존해야 합니다. 이는 첨부 문서 3에 설명된 3자극 시스템과 함께 근접 즉시 전환(참고 1)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런 전환은 자극 간 시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을 요구합니다. | ||
- | 참고 | + | |
+ | > | ||
가장 민감한 평가의 경우,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만 처리해야 합니다. 오직 이렇게 해야 피험자가 3자극 방법에서 자극 간 전환을 완전한 자유로 할 수 있습니다. 이 자유는 피험자가 각 시험 자극 간의 세밀한 비교를 충분히 탐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가장 민감한 평가의 경우, 한 번에 한 명의 피험자만 처리해야 합니다. 오직 이렇게 해야 피험자가 3자극 방법에서 자극 간 전환을 완전한 자유로 할 수 있습니다. 이 자유는 피험자가 각 시험 자극 간의 세밀한 비교를 충분히 탐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 | |||
가능하면 피험자는 시각적 안내 없이 자극 간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피험자가 원한다면 눈을 감고 최소한의 주의 산만한 환경에서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가능하면 피험자는 시각적 안내 없이 자극 간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피험자가 원한다면 눈을 감고 최소한의 주의 산만한 환경에서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
+ | |||
전환 시스템에서 “딸깍” 같은 가청 아티팩트가 없어야 하며, 이런 아티팩트는 평가 과정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전환 시스템에서 “딸깍” 같은 가청 아티팩트가 없어야 하며, 이런 아티팩트는 평가 과정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
+ | |||
평가 세션은 20~30분을 넘지 않아야 하며, 본 권고에 따라 피험자 스스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험 특성으로 인해 피험자 간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험에 따르면 원하는 세션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션당 10~15 트라이얼을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합니다. | 평가 세션은 20~30분을 넘지 않아야 하며, 본 권고에 따라 피험자 스스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험 특성으로 인해 피험자 간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험에 따르면 원하는 세션 길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션당 10~15 트라이얼을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합니다. | ||
+ | |||
피험자 피로도는 판단의 타당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연속된 세션 사이에 세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휴식 시간을 배정해야 합니다. | 피험자 피로도는 판단의 타당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연속된 세션 사이에 세션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휴식 시간을 배정해야 합니다. | ||
줄 132: | 줄 145: | ||
====5.1 모노포닉 시스템==== | ====5.1 모노포닉 시스템==== |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5.2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5.2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 기본 오디오 품질 – 모노포닉과 마찬가지로 | + | 기본 오디오 품질 – 모노포닉과 마찬가지로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 ||
- |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 (Stereophonic image quality) – 참조와 대상 간에 사운드 이미지 위치, 음향 사건의 깊이감 및 현실성 등에서 차이에 관련된 속성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지만, | + |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 (Stereophonic image quality) – 레퍼런스와 대상 간에 사운드 이미지 위치, 음향 사건의 깊이감 및 현실성 등에서 차이에 관련된 속성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였지만, |
>노트 1 – 1993년 이전까지 대부분의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주관 평가 연구에서는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만을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은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 내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노트 1 – 1993년 이전까지 대부분의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주관 평가 연구에서는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만을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스테레오 이미지 품질은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기본 오디오 품질 속성 내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 ||
====5.3 멀티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5.3 멀티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앞서와 같이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앞서와 같이 |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전면 이미지 품질 (Front image quality) – 전면 사운드 소스의 위치 정확도에 관련된 속성으로, | *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속성: 전면 이미지 품질 (Front image quality) – 전면 사운드 소스의 위치 정확도에 관련된 속성으로, | ||
줄 149: | 줄 162: | ||
====5.4 고급 음향 시스템==== | ====5.4 고급 음향 시스템==== |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 | 기본 오디오 품질 – 이 단일 전반적 속성은 |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들이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속성들이 관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
줄 186: | 줄 199: | ||
음향 프로그램 신호는 순간적인 피크가 ITU-R BS.645 권고서에 정의된 허용 최대 신호 피크 진폭(정렬 수준 대비 9 dB 높은 사인파)만 가끔 초과하도록 제어되어야 합니다. | 음향 프로그램 신호는 순간적인 피크가 ITU-R BS.645 권고서에 정의된 허용 최대 신호 피크 진폭(정렬 수준 대비 9 dB 높은 사인파)만 가끔 초과하도록 제어되어야 합니다. | ||
- | 이 조건에서 피크 프로그램 미터는 허용 최대 신호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신호 레벨을 표시할 것입니다. 톤 버스트는 | + | 이 조건에서 피크 프로그램 미터는 허용 최대 신호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신호 레벨을 표시할 것입니다. 톤 버스트는 |
시험에 포함할 수 있는 발췌 구간 수는 각 대상별로 같아야 하며, 합리적인 추정치는 대상 수의 1.5배이며, | 시험에 포함할 수 있는 발췌 구간 수는 각 대상별로 같아야 하며, 합리적인 추정치는 대상 수의 1.5배이며, | ||
줄 194: | 줄 207: | ||
모노포닉 및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의 경우, 쉽게 접근 가능한 출처에서 발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모노포닉 및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의 경우, 쉽게 접근 가능한 출처에서 발췌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
- | 2채널 스테레오 재생 조건에서 멀티채널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 + | 2채널 스테레오 재생 조건에서 멀티채널 시스템의 성능 평가는 |
- | 참조 | + | 레퍼런스 |
* L0 = 1.00 L + 0.71 C + 0.71 Ls | * L0 = 1.00 L + 0.71 C + 0.71 Ls | ||
줄 206: | 줄 219: | ||
====7.1 일반==== | ====7.1 일반==== | ||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또는 헤드폰은 모든 음향 프로그램 신호나 기타 테스트 신호가 최적의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즉, 어떤 종류의 재생에서도 중립적인 음향을 제공해야 하며, 모노포닉 평가와 2채널 이상의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 평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또는 헤드폰은 모든 음향 프로그램 신호나 기타 테스트 신호가 최적의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선택해야 합니다. 즉, 어떤 종류의 재생에서도 중립적인 음향을 제공해야 하며, 모노포닉 평가와 2채널 이상의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 평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 | |||
헤드폰 재생에서는 특정 품질 저하가 더 명확하게 인식되며, | 헤드폰 재생에서는 특정 품질 저하가 더 명확하게 인식되며, | ||
+ | |||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에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헤드폰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 평가에는 스테레오 스피커와 헤드폰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
+ | |||
모노포닉 시스템 평가는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모노포닉 시스템 평가는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
+ | |||
시험이나 시험 그룹 단위로 스피커 또는 헤드폰 중 하나를 선택하면, | 시험이나 시험 그룹 단위로 스피커 또는 헤드폰 중 하나를 선택하면, | ||
+ | |||
반대로, 피험자가 스피커와 헤드폰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면, 효과의 청취 가능성을 특정 재생 장치와 연관시키기 어렵습니다. | 반대로, 피험자가 스피커와 헤드폰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면, 효과의 청취 가능성을 특정 재생 장치와 연관시키기 어렵습니다. | ||
멀티채널 음향 시스템 및 영상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고급 음향 시스템 평가에는, | 멀티채널 음향 시스템 및 영상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고급 음향 시스템 평가에는, | ||
+ | |||
모든 경우에 각 스피커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적으로 매칭되어 고유 음색 차이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모든 경우에 각 스피커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적으로 매칭되어 고유 음색 차이가 최소화되어야 합니다. | ||
====7.2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 ====7.2 레퍼런스 모니터 스피커==== | ||
===7.2.1 일반=== | ===7.2.1 일반=== | ||
- | “참조 | + | “레퍼런스 |
전기음향적 특성은 자유장 조건에서 측정된 다음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전기음향적 특성은 자유장 조건에서 측정된 다음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
절대 음압 레벨 값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음향 중심으로부터 1m 측정 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 절대 음압 레벨 값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음향 중심으로부터 1m 측정 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 ||
줄 248: | 줄 267: | ||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시스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100μs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스테레오 또는 멀티채널 시스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100μs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
- | >노트 1 – 이 시간 지연은 스피커에서 청취 위치까지의 지연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 | >노트 1 – 이 시간 지연은 스피커에서 청취 위치까지의 지연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7.2.2.6 다이내믹 레인지== | ==7.2.2.6 다이내믹 레인지== | ||
스피커가 10분 이상 열적 또는 기계적 손상 없이, 과부하 회로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최대 동작 음압 레벨을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노이즈 신호(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 출판물 268-1c 기준)를 사용해 측정한 경우, Leff 최대값은 108 dB 이상이어야 합니다. (평탄 응답 및 r.m.s.(느린)로 설정된 소리 레벨 미터 이용) | 스피커가 10분 이상 열적 또는 기계적 손상 없이, 과부하 회로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최대 동작 음압 레벨을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노이즈 신호(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EC) 출판물 268-1c 기준)를 사용해 측정한 경우, Leff 최대값은 108 dB 이상이어야 합니다. (평탄 응답 및 r.m.s.(느린)로 설정된 소리 레벨 미터 이용) | ||
- | 단일 | + | 단일 |
>노트 1 – 음향 중심은 측정 기준점이며, | >노트 1 – 음향 중심은 측정 기준점이며, | ||
- | ====7.3 | + | ====7.3 |
===7.3.1 일반=== | ===7.3.1 일반=== | ||
- | 참조 | + | 레퍼런스 |
===7.3.2 전기음향 요구사항=== | ===7.3.2 전기음향 요구사항=== | ||
줄 265: | 줄 284: | ||
==7.3.2.2 시간 지연== | ==7.3.2.2 시간 지연== | ||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20 μ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스테레오 시스템에서 채널 간 시간 지연 차이는 20 μs를 초과하지 않아야 합니다. | ||
- |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 | 영상이 함께 제공되는 시스템의 경우, |
=====8 청취 조건===== | =====8 청취 조건===== | ||
====8.1 일반==== | ====8.1 일반==== | ||
- | ' | + | ' |
이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이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
* 청취실의 음향 특성 | * 청취실의 음향 특성 | ||
*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 | *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 | ||
- | * 결과 음장 특성을 생성하는 | + | * 결과 음장 특성을 생성하는 |
- | 현대 기술 수준으로는 음향 매개 변수만으로 | + | 현대 기술 수준으로는 음향 매개 변수만으로 |
====8.2 레퍼런스 리스닝 룸==== | ====8.2 레퍼런스 리스닝 룸==== | ||
===8.2.1 일반=== | ===8.2.1 일반=== | ||
- | 스피커 재생의 주관적 시험을 위해 다음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 | 스피커 재생의 주관적 시험을 위해 다음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 | 헤드폰 재생만 하는 경우, 청취실은 최소한 배경 소음 수준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합니다. | + | |
===8.2.2 기하학적 특성=== | ===8.2.2 기하학적 특성=== | ||
- | 다음 값들은 | + | 다음 값들은 |
시험실이 이 치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다음 절에서 언급된 음장 조건과 스피커 배치 요구 사항을 최소한 충족해야 합니다. | 시험실이 이 치수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다음 절에서 언급된 음장 조건과 스피커 배치 요구 사항을 최소한 충족해야 합니다. | ||
줄 350: | 줄 368: | ||
===8.3.4 정상 상태 음장=== | ===8.3.4 정상 상태 음장=== | ||
==8.3.4.1 운용 룸 응답 곡선== | ==8.3.4.1 운용 룸 응답 곡선== | ||
- | 운용 룸 응답 곡선은 50Hz~16kHz 범위의 주파수에서 핑크 노이즈를 사용해 | + | 운용 룸 응답 곡선은 50Hz~16kHz 범위의 주파수에서 핑크 노이즈를 사용해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도면 2에 명시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도면 2에 명시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 ||
- | 참조 | + | 레퍼런스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시험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사양은 이퀄라이제이션 도입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이퀄라이제이션이 포함될 경우 사용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대한 인정 및 상세 내역을 시험 보고서에 기록해야 합니다. | 측정된 운용 룸 응답 곡선은 시험 보고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사양은 이퀄라이제이션 도입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이퀄라이제이션이 포함될 경우 사용된 이퀄라이제이션에 대한 인정 및 상세 내역을 시험 보고서에 기록해야 합니다. | ||
줄 362: | 줄 380: | ||
===8.4.1 스피커 재생=== | ===8.4.1 스피커 재생=== | ||
==8.4.1.1 운용 음압 레벨(레퍼런스 청취 레벨)== | ==8.4.1.1 운용 음압 레벨(레퍼런스 청취 레벨)== | ||
- | 참조 | + | 레퍼런스 |
이는 같은 음원 구간을 다양한 청취실에서 동일한 음압 수준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채널의 음향 이득을 특징짓습니다. | 이는 같은 음원 구간을 다양한 청취실에서 동일한 음압 수준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 채널의 음향 이득을 특징짓습니다. | ||
청취 배열 내 각 스피커의 레벨 정렬은 핑크 노이즈를 이용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 청취 배열 내 각 스피커의 레벨 정렬은 핑크 노이즈를 이용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 ||
줄 372: | 줄 390: | ||
{{ 20250823-125710.png }} | {{ 20250823-125710.png }} | ||
- | 측정 신호가 관례적으로 ITU-R BS.645 권고에 따른 “정렬 신호 레벨”(0 dBμ0s; 디지털 테이프 녹음의 클리핑 레벨 대비 -18 dB)에 RMS 전압이 같으며, 이 신호를 각 재생 채널(즉, 파워 앰프와 연결된 스피커) 입력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때, 앰프 게인은 다음 | + | 측정 신호가 관례적으로 ITU-R BS.645 권고에 따른 “정렬 신호 레벨”(0 dBμ0s; 디지털 테이프 녹음의 클리핑 레벨 대비 -18 dB)에 RMS 전압이 같으며, 이 신호를 각 재생 채널(즉, 파워 앰프와 연결된 스피커) 입력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때, 앰프 게인은 다음 |
* L< | * L< | ||
줄 381: | 줄 399: | ||
===8.4.2 헤드폰 재생=== | ===8.4.2 헤드폰 재생=== | ||
- | 헤드폰의 레벨은 스피커로 재생되는 | + | 헤드폰의 레벨은 스피커로 재생되는 |
====8.5 청취 배열==== | ====8.5 청취 배열==== | ||
===8.5.1 일반=== | ===8.5.1 일반=== | ||
- | 청취 배열은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와 청취 장소(청취 영역)를 설명합니다. 보통 청취 시험은 | + | 청취 배열은 청취실 내 스피커 배치와 청취 장소(청취 영역)를 설명합니다. 보통 청취 시험은 |
그러나 중심 좌표 밖의 청취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향도 평가해야 하며, 이때 “최악의 경우” 청취 위치들이 포함됩니다. | 그러나 중심 좌표 밖의 청취 위치에서 발생하는 영향도 평가해야 하며, 이때 “최악의 경우” 청취 위치들이 포함됩니다. | ||
==8.5.1.1 모니터 스피커 높이 및 방향== | ==8.5.1.1 모니터 스피커 높이 및 방향== | ||
모든 스피커의 높이는 방위각 평면에서 각 스피커의 음향 중심까지 측정하며, | 모든 스피커의 높이는 방위각 평면에서 각 스피커의 음향 중심까지 측정하며, | ||
- | 스피커의 방향은 | + | 스피커의 방향은 |
고급 음향 시스템의 경우, 높이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모든 스피커의 위치를 방 크기와 청취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 차원에서 문서화하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고급 음향 시스템의 경우, 높이가 다른 위치에 설치된 모든 스피커의 위치를 방 크기와 청취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 차원에서 문서화하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줄 415: | 줄 433: | ||
==8.5.3.3 청취 위치== | ==8.5.3.3 청취 위치== | ||
- | 이른바 | + | 이른바 |
===8.5.4 다채널 스테레오 재생=== | ===8.5.4 다채널 스테레오 재생=== | ||
줄 426: | 줄 444: | ||
==8.5.4.2 청취 거리 및 기준 각도== | ==8.5.4.2 청취 거리 및 기준 각도== | ||
- | 참조 | + | 레퍼런스 |
==8.5.4.3 청취 위치== | ==8.5.4.3 청취 위치== | ||
- | 앞서 언급한 60° 청취 각도로 정의되는 이른바 | + | 앞서 언급한 60° 청취 각도로 정의되는 이른바 |
===8.5.5 고급 음향 시스템 재생=== | ===8.5.5 고급 음향 시스템 재생=== | ||
줄 455: | 줄 473: | ||
====10.2 절대 등급==== | ====10.2 절대 등급==== | ||
- | 객체 및 숨겨진 | + | 객체 및 숨겨진 |
- | 이는 제안된 시험 방법에서 피험자가 쌍대 비교에서 하나의 소스가 | + | 이는 제안된 시험 방법에서 피험자가 쌍대 비교에서 하나의 소스가 |
따라서 이러한 절대 등급에 대한 통계 분석은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지 못하므로 수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 따라서 이러한 절대 등급에 대한 통계 분석은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지 못하므로 수행하지 않아야 합니다. | ||
====10.3 등급 차이==== | ====10.3 등급 차이==== | ||
- | 숨겨진 | + | 숨겨진 |
그래프 표현은 일반적으로 주요 관심사인 투명도에 대한 실제 거리를 명확히 드러냅니다. | 그래프 표현은 일반적으로 주요 관심사인 투명도에 대한 실제 거리를 명확히 드러냅니다. | ||
줄 477: | 줄 495: | ||
특히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특히 다음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
- | 대상자 및 음원 선정 및 명세 | + | * 대상자 및 음원 선정 및 명세 |
- | + | | |
- | 청취 환경 및 장비의 물리적 세부사항 (방 크기, 음향 특성, 변환기 종류 및 배치, 전기 장비 명세 등) | + | |
- | + | | |
- | 시험된 채널 구성이 ITU-R BS.775 또는 ITU-R BS.2051 권고에 명시된 것인지 여부 및 상세 설명 | + | * 레퍼런스 |
- | + | | |
- | ITU-R BS.775에 명시되지 않은 음향 시스템의 경우, 시험된 모든 스피커 위치를 ITU-R BS.775 권고 수준의 상세함으로 문서화하여 외부 재현성을 확보 | + | |
- | + | | |
- | 참조 | + | |
- | + | | |
- | § 8.5.1.2에 명시된 거리 요구 사항 충족 여부 기록. 미충족 시 명시 필요 | + | |
- | + | | |
- | 거리 요구 사항 미충족 시 초기 반사음 제어 방법과 § 8.3.3.1 요구사항 충족 방식을 시험 보고서에 기술 | + | |
- | + | ||
- | 모든 스피커의 운용 음향 응답 측정 결과. 이퀄라이제이션이 포함될 경우, 이에 대한 인정 및 상세 방식을 기록 | + | |
- | + | ||
- | 본 문서의 음향 및 물리적 방 요구 사항 미준수 사항 보고 (운용 음향 측정, 성능 지표, 거리 요구 사항 등) | + | |
- | + | ||
- | 시험에 사용될 상태(가구 포함)로 셋업된 방에서 평가자의 청취 위치에서 측정한 각 스피커의 임펄스 응답(시간 영역 표시) | + | |
- | + | ||
- | 실험 설계, 교육, 지시, 실험 순서, 시험 절차, 데이터 생성 방식 | + | |
- | + | ||
- | 기술 통계 및 추론 통계의 데이터 처리, 모든 결론의 상세 근거 | + | |
- | + | ||
- | 이와 같은 상세한 보고가 시험의 신뢰성 및 재현성을 보장합니다. |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industrial_standards/itu/itu-r_bs_1116.175592606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