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level:calibration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level:calibration [2024/02/23] 정승환음향:level:calibration [2024/05/24]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Calibration** **Calibration**
  
-게인 스트럭쳐+음향에서 아웃보드 장비, 믹싱 콘솔, 멀티트랙 레코더 등의 캘리브레이션은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캘리브레이션은 장비의 정확한 성능을 보장하고 일관된 오디오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다음은 캘리브레이션 작업에 대한 개요입니다. 
 + 
 +==== 캘리브레이션의 목적 ==== 
 +  * **정확한 레벨 매칭**: 여러 장비 간의 신호 레벨을 일치시켜 신호 왜곡을 최소화합니다. 
 +  * **주파수 응답 조정**: 장비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일관된 응답을 제공하도록 조정합니다. 
 +  * **신호 경로 최적화**: 신호가 여러 장비를 거쳐 전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이나 왜곡을 줄입니다. 
 +  * **장비 성능 확인**: 장비가 제조사에서 제공한 사양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 
 +==== 캘리브레이션 절차 ==== 
 +  - **기본 설정 확인** 
 +    * 장비의 기본 설정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전원 공급, 연결 상태, 초기 설정 등을 점검합니다. 
 +  - **테스트 신호 사용** 
 +    *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표준화된 테스트 신호(예: 1kHz 사이너스 파형, 핑크 노이즈)를 사용합니다. 
 +    * 이 신호를 장비에 입력하여 출력 신호를 분석합니다. 
 +  - **레벨 매칭** 
 +    * 입력과 출력 레벨이 일치하도록 조정합니다. 이는 보통 VU 미터나 PPM(Peak Program Met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집니다. 
 +    * 예를 들어, 믹싱 콘솔의 출력이 0VU일 때 레코더의 입력도 0VU를 가리키도록 조정합니다. 
 +  - **주파수 응답 조정** 
 +    * 주파수 스윕 신호를 사용하여 장비의 주파수 응답을 확인합니다. 
 +    * EQ(Equalizer)를 사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을 조정합니다. 
 +  - **왜곡 및 노이즈 확인** 
 +    * 신호 왜곡과 노이즈 레벨을 확인합니다. 이는 주로 스펙트럼 분석기나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    * 필요 시 장비의 게인 구조를 조정하여 왜곡과 노이즈를 최소화합니다. 
 +  - **최종 검토** 
 +    * 모든 조정이 완료되면, 실제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최종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    * 여러 소스와의 비교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검증합니다. 
 + 
 +==== 캘리브레이션 도구 ==== 
 +  * **VU 미터 및 PPM** 
 +    * 신호 레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  * **오실로스코프** 
 +    * 신호의 파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왜곡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 **스펙트럼 분석기** 
 +    *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세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 **테스트 신호 발생기** 
 +    * 캘리브레이션에 필요한 표준화된 신호를 생성합니다. 
 + 
 +캘리브레이션 작업은 전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과정이지만, 이를 통해 고품질의 오디오를 유지하고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level/calibration.17086365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2/23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