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level:mic_level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level:mic_level [2023/07/24] – 정승환 | 음향:level:mic_level [2024/12/23]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마이크 레벨====== | ======마이크 레벨====== | ||
- | **Microphone level** | + | * **Microphone level** |
+ | * 밸런스 전송, XLR | ||
+ | * 로우 임피던스 | ||
- | balanced, XLR | + | {{: |
- | ---- | + | |
- | <WRAP group> | + | |
- | <WRAP half column> | + | |
- | {{음향:level: | + | |
- | <WRAP half column> | + | |
- | {{음향: | + | |
- | </ | + | |
- | 마이크 레벨은 밸런스 신호 전송이면서, | + | |
- | 하지만 라인 레밸 만큼 | + | 마이크 레벨(-50dBV)은 밸런스 신호 전송 방식이며, |
- | 마이크 | + | 하지만 라인 |
- | 마이크 케이블 의 전송 거리에 대한 실질적인 계산기를 케이블 회사인 | + | 마이크 레벨 전송도 **신호 전송**에 해당하기 때문에 임피던스 로우에서 임피던스 하이로 전송하게 되며, 이 출력과 입력 임피던스의 차이에 따라 가청 주파수 범위 내에서 노이즈 영향을 받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결정됩니다. 출력 임피던스가 낮고 입력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가청 주파수에 영향을 덜 받으며 먼 거리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에 비해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 임피던스는 대체로 크게 높은 수준은 아닙니다. 따라서 마이크 레벨은 라인 레벨과 달리 마이크 케이블의 품질, 차폐, 입출력 임피던스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
+ | |||
+ | 마이크 케이블의 전송 거리에 대한 실질적인 계산기는 케이블 회사인 | ||
http:// | http:// | ||
- | 위의 계산기를 이용하여, | + | 위의 계산기를 이용하여, |
- | 일반적인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 | + | |
{{음향: | {{음향: | ||
- | 마이크 레벨의 전송 거리는 | + | 마이크 레벨의 전송 거리는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와 마이크 프리앰프의 입력 임피던스의 영향을 받으며, 또한 |
- | =====Microphone | + | =====Microphone |
{{url> | {{url> | ||
줄 37: | 줄 32: | ||
위의 표는 마이크로폰의 Sensitivity 스펙과 MaxSPL 에 따른 마이크의 최대 출력 레벨이 어느 정도 되는지 계산한 표이다. | 위의 표는 마이크로폰의 Sensitivity 스펙과 MaxSPL 에 따른 마이크의 최대 출력 레벨이 어느 정도 되는지 계산한 표이다. | ||
- | |||
- | ====AKG C414==== | ||
- | 예를 들면 AKG C414 XLS 의 경우, | ||
- | |||
- | {{음향: | ||
- | |||
- | < | ||
- | 실제적으로 사실 마이크 입력에 158dBSPL 이라는 소리가 들어올 일은 거의 없겠지만, | ||
- | |||
- | (사실 음압 단위인 dBSPL 은 RMS 표기 이기 때문에, 이것도 또한 크레스트 팩터를 생각하면 | ||
- | PAD 스위치를 전부 눌렀을 때 158dBSPL 이라고 합니다. 곧 내용 수정 예정. | ||
====Neumann u87ai==== | ====Neumann u87ai==== | ||
줄 54: | 줄 38: | ||
{{음향: | {{음향: | ||
- | 28mV/Pa, 127dBSPL 이라는 스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시 위의 표에 대입하면, | + | 28mV/Pa, 127dBSPL 이라는 스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시 위의 표에 대입하면, |
- | 따라서 어지간한 최대 입력 레벨이 높지 않은 어지간한 마이크 프리앰프로도 사실 이 마이크의 최대 다이내믹 레인지는 모두 살려 낼 수 있다. (원래 마이크의 | + | 따라서 어지간한 최대 입력 레벨이 높지 않은 어지간한 마이크 프리앰프로도 사실 이 마이크의 최대 다이내믹 레인지는 모두 살려 낼 수 있다. (원래 마이크의 |
====Rode K2==== | ====Rode K2==== | ||
줄 63: | 줄 47: | ||
{{음향: | {{음향: | ||
- | 16mV/Pa, 162dBSPL 이므로, | + | 16mV/Pa, 162dBSPL 이므로, |
- | 이 마이크는 따로 | + | 이 마이크는 따로 |
거꾸로 이해하면 표를 거꾸로 본다면 16mV/Pa 에 해당하는 레벨 중에 22dBu 를 보면 150dBSPL 이 나오는데, | 거꾸로 이해하면 표를 거꾸로 본다면 16mV/Pa 에 해당하는 레벨 중에 22dBu 를 보면 150dBSPL 이 나오는데, | ||
줄 72: | 줄 56: | ||
{{음향: | {{음향: | ||
- | 10mV/Pa, 142dBSPL이므로, | + | 10mV/Pa, 142dBSPL이므로, |
+ | |||
+ | 위의 몇 가지 마이크의 예시를 들어서 마이크의 최대 출력 레벨을 알아보았으나, | ||
+ | |||
+ | {{tag>" | ||
- | 위의 몇 가지 마이크의 예시를 들어서 마이크의 Max Output level을 알아보았으나, |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level/mic_level.1690176197.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7/24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