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edia:digital_music_file:mp3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edia:digital_music_file:mp3 [2023/11/25]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음향:media:digital_music_file:mp3 [2024/04/14]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indexmenu_n>3}}
 +======MP3======
 +
 +MPEG audio layer-3 포맷, 손실 압축 방식.\\
 +원래는 동영상 포맷인 MPEG-1, 및 MPEG-2 에 사용되는 오디오 압축 형식이다.
 +
 +독일 [[https://www.fraunhofer.de/en.html|Fraunhofer Society]] 에서 연구 개발.
 +
 +128kbps, 192kbps, 320kbps 등은 비트레이트, bps(bit per seconds), 즉 초당 bit 전송률을 이야기 하는 것으로, 높은 숫자일수록 파일 용량이 크며 음질 손실이 덜하다. WAV 파일들의 비트레이트가 1411kbps(16-bit 44.1kHz) 나 4600kbps(24-bit 48kHz) 정도 하는 것에 비해 MP3의 비트레이트는 그의 1/10~20의 수준인 192kbps, 320kbps 등으로 매우 용량이 작다. 아주 많이 손실 압축함을 알 수 있다.
 +
 +=====손실=====
 +MP3의 손실 압축 기법은 심리음향 분석 및 인간의 청각 인지 능력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또는 청취가 힘들다고 예상되는 오디오 정보를 삭제**하여, 용량을 줄이게 된다.
 +
 +이에 따라, CD의 음질인 16-bit 44.1kHz 스테레오에 비하여 용량을 75%~95%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예를 들면 CD의 1411kbps -> 128kbps)
 +====크리티컬 밴드=====
 +
 +{{page>acoustics:psychoacoustics:critical_band&noheader}}
 +====청각 마스킹=====
 +
 +어떤 한 주파수의 소리가 크면 그 인근의 작은 주파수는 잘 들리지 않는 현상. 따라서 MP3에서는 이러한 잘 들리지 않는 주파수는 삭제하여 데이터를 줄인다.
 +
 +{{:음향:media:file:20220816-162842.png}}
 +
 +크리티컬 밴드중에 어느 하나의 소리가 크고 바로 옆 인근의 크리티컬 밴드의 소리가 작으면 소리가 작은 크리티컬 밴드의 데이터는 삭제한다.
 +
 +{{:음향:media:file:20220816-164822.png}}
 +
 +{{:음향:media:file:20220816-164944.png}}
 +
 +====Brick Wall LPF====
 +
 +가청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20Hz~20kHz 라고 정의 되지만, 
 +
 +일반인 사람의 경우 16kHz 이상의 주파수는 청각적으로 인지되기 힘들기 때문에, 특정 kbps 이하의 MP3에서는 16kHz 이상의 주파수를 제거한다.
 +
 +하지만 16kHz 이상의 주파수 성분에는 소리의 트랜지언트 구간의 정보가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트랜지언트의 재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004.png|}}\\
 +128kbps에서 iTunes MP3로 인코딩된 핑크 노이즈</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011.png|}}\\
 +128kbps의 LAME MP3</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016.png|}}
 +128kbps의 iTunes AAC</WRAP>
 +
 +=====손실 압축의 부작용=====
 +
 +손실 압축의 방식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크리티컬 대역으로 필터를 통해 나누고, 여러가지 오디오 데이터에 손실을 가하는 형식이므로, 인코딩 알고리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약간의 노이즈를 생성하기도 한다.
 +
 +그런 대표적인 노이즈를 Swirlies 라고 한다.
 +
 +이러한 Swirlies의 발생 정도를 측정해 보면 MP3 의 인코딩 방식보다 AAC 의 인코딩 방식이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636.png|원음}}\\
 +원음</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705.png|128kbps CBR MP3}\\
 +128kbps CBR MP3}</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735.png|128kbps CBR AAC}\\
 +128kbps CBR AAC}</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755.png|320kbps CBR MP3}}\\
 +320kbps CBR MP3</WRAP>
 +
 +<WRAP centeralign box>{{:음향:media:file:20220816-170941.png|320kbps CBR AAC}}\\
 +320kbps CBR AAC</WRAP>
 +
 +=====메타데이터=====
 +
 +MP3 파일에는 음악의 제목, 아티스트, 앨범, 트랙번호 , 파일 내용에 대한 기타 정보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
 +MP3 의 메타데이터 형식에는 ID3v1, ID3v2 가 있고, 최근에는 APEv2 라는 데이터 형식도 사용한다.
 +
 +====Cubase Export ID3 tag====
 +{{:음향:media:file:20220816-215742.png}}
 +
 +
 +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edia/digital_music_file/mp3.170083808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11/2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