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edia:record:vinyl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edia:record:vinyl [2024/03/17] – [LP] 정승환음향:media:record:vinyl [2024/06/09] (현재) 정승환
줄 32: 줄 32:
 초창기 레코드판의 규격인 SP(Standard play)를 사용한 음반 포맷 초창기 레코드판의 규격인 SP(Standard play)를 사용한 음반 포맷
  
-  * 10" Disc, 78rpm +  * 10" 디스크, 78rpm 
-  * 7" Disc, 45rpm+  * 7" 디스크, 45rpm
  
 SP의 재생 시간이 5~15분 내외였으므로 1곡이나 2곡을 말한다. SP의 재생 시간이 5~15분 내외였으므로 1곡이나 2곡을 말한다.
줄 60: 줄 60: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604-235325.png }}\\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604-235325.png }}\\
  
-즉 90도 각도로 파여진 그루브의 왼쪽면과 오른쪽 편이 각각 Left 채널과 Right 채널을 담당하며, 그 그루브를 읽어내는 바늘의 경우는 1개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Left 채널과 Right 채널의 소리가 크로스톡되는 정도가 매우 높다.+즉 90도 각도로 파여진 그루브의 왼쪽면과 오른쪽 편이 각각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을 담당하며, 그 그루브를 읽어내는 바늘의 경우는 1개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왼쪽 채널과 오른쪽 채널의 소리가 크로스톡되는 정도가 매우 높다.
  
-{{:음향:media:14447e2c-04ed-4058-ba4a-48cfb1e08075.jpeg|}}\\+{{ :음향:media:14447e2c-04ed-4058-ba4a-48cfb1e08075.jpeg }}\\
  
 이러한 특성 때문에, 레코드판 마스터링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조정 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마스터 테이프로 녹음 된 음원을 레코드판으로 만들어서 재생해보면 이 카트리지에 의한 크로스톡으로 인하여 상당히 스테레오 이미지가 좁게 재생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지금도 스테레오 이미지 조정에 대한 부분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레코드판 마스터링에서는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조정 과정이 상당히 중요하다. 마스터 테이프로 녹음 된 음원을 레코드판으로 만들어서 재생해보면 이 카트리지에 의한 크로스톡으로 인하여 상당히 스테레오 이미지가 좁게 재생될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마스터링 과정에서는 지금도 스테레오 이미지 조정에 대한 부분이 상당히 중요하다.
줄 79: 줄 79: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605-003835.png }}\\ {{ :음향:hardware:specification:20220605-003835.png }}\\
  
-Emo Generator를 통해 Left 채널에만 핑크 노이즈를 쏘았지만, 오른쪽 채널에도 -20dB 정도의 크로스톡이 발생 하였음을 알 수 있다.+Emo Generator를 통해 왼쪽 채널에만 핑크 노이즈를 입력했지만, 오른쪽 채널에도 -20dB 정도의 크로스톡이 발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극단적인 패닝의 예시로 든 Art Pepper의 음반에 이 Waves Abbeyroad Vinyl 플러그인을 걸어서 들어보면 매우 흥미롭게, 비닐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느낌을 체험 할 수 있다. 위의 극단적인 패닝의 예시로 든 Art Pepper의 음반에 이 Waves Abbeyroad Vinyl 플러그인을 걸어서 들어보면 매우 흥미롭게, 비닐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느낌을 체험 할 수 있다.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edia/record/vinyl.17106570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1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