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crophone:condensor_mic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icrophone:condensor_mic [2023/09/27] 정승환음향:microphone:condensor_mic [2024/06/05] (현재) 정승환
줄 1: 줄 1:
 ======컨덴서 마이크====== ======컨덴서 마이크======
  
-캡슐 자체에 전하를 충전한다(컨덴서)소리의 변화가 충전된 다이어프램을 진동 시켜 내부의 부피를 변화 시키는 것이 내부의 전하 충전량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WRAP right column 25%>{{음향:microphone:condensor_mic:pasted:20220113-014602.png}}</WRAP> 
- +캡슐 자체에 전하를 충전한다.((컨덴서)소리의 변화가 충전된 다이어프램을 진동 시켜 내부의 부피를 변화 시키는 것이 내부의 전하 충전량을 변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음향:hardware:microphone:condensor_mic:pasted:20220113-014602.png}}+
  
 다이어프램 자체를 매우 가볍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음역에 대해서 좋은 특성과 매우 좋은 트랜지언트 반응을 얻어낼 수 있다. 다이어프램 자체를 매우 가볍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음역에 대해서 좋은 특성과 매우 좋은 트랜지언트 반응을 얻어낼 수 있다.
  
-다이어프램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매우 미약하기 때문에 내부의 증폭 회로를 어서 마이크 레벨까지 의 크기로 증폭하는 회로를 내장하는 경우가 있다.+다이어프램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신호 크기(V, 전압)에 비해 신호의 강도(I, 전류)가 매우 작은 이 임피던스 신호이기 때문에, 하이 임피던스 신호를 로우 임피던스 신호로 전환해주기 위한 회로가 들어가게 된다. 주로 진공관 회로 또는, FET 를 이용한 회로를 사용한다. 진공관 방식의 경우에는 높은 플레이트 전압을 걸어서 크게 증폭한 다음 트랜스포머를 사용여 감압 및 신호 복제를 통한 밸런스 출력을 하고, FET 방식의 경우에는 신호의 큰 증폭 없이 트랜스포머를 사용여 신호 복제를 통해 밸런스 출력을 한다.  
 + 
 +출력 부분에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임피던스 밸런스드 출력]]을 하거나, [[음향:electric_circuit:balanced_input_output:balanced_output_type|액티브 버퍼 회로]]를 사용한다.
  
 {{ 음향:hardware:microphone:20220209-204354.png }} {{ 음향:hardware:microphone:20220209-204354.png }}
  
-다이프램의 사즈가 면 클수록 내부 체적이 크기 때문에 생성되는 신호의 출력이 커진다. 반대로 어프램의 사이즈가 작아지면 작아질 수록 내부 체적이 작기 때문에 생성되는 신호의 출력이 작아진다.+최초의 상업용으로 판매되진 컨덴서 마이크는 [[유저위키:이크로폰:neumann_cmv-3|Neumann CMV3(The Bottle)]] 이다.
  
 +{{page>/음향/microphone/diapragm#컨덴서 캡슐}}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음향/microphone/condensor_mic.169579802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9/27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