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2025/05/30] – 만듦 정승환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2025/07/06] (현재) 정승환
줄 3: 줄 3:
 **Externaly Polarized Condenser**, **True Condenser** **Externaly Polarized Condenser**, **True Condenser**
  
-**컨덴서 캡슐은 보통 컨덴서 마이크의 진동판을 구성하는 부분을 말한다.**+**컨덴서 캡슐은 컨덴서 마이크의 진동판을 구성하는 부분 전체를 말한다.**
  
-<WRAP centeralign box> +<imgcaption 1 center|컨덴서 캡슐>{{:음향:hardware:microphone:20220514-162055.png|컨덴서 캡슐}}</imgcaption>
-{{:음향:hardware:microphone:20220514-162055.png}} +
-</WRAP>+
  
 컨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은 얇은 필름으로 만들고, 진동판 내부의 전도성을 만들어주기 위해 금을 얇게 증착(Gold sputterd)한다.((금은 은이나 구리보다 그 형태와 특성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성질이 있다.))((스퍼터링은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에 해당한다. {{:음향:microphone:20241126-224834.png}})) 컨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은 얇은 필름으로 만들고, 진동판 내부의 전도성을 만들어주기 위해 금을 얇게 증착(Gold sputterd)한다.((금은 은이나 구리보다 그 형태와 특성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성질이 있다.))((스퍼터링은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에 해당한다. {{:음향:microphone:20241126-224834.png}}))
줄 35: 줄 33:
 컨덴서 마이크의 캡슐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보통 42V~60V 사이의 전압을 사용하며, 팬텀 파워를 사용하는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48V를 사용하며, 파워 서플라이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60V 또는 그 이상의 전압으로 캡슐을 충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같은 캡슐을 사용하는 마이크라고 해도, 회로설계에 따라 캡슐을 충전하는 전압값은 천차 만별이고, 소리의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충전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마이크 캡슐의 **네이티브 감도**((마이크의 최종 감도는 이후의 회로의 증폭값에도 영향 받는다.))가 결정되며, 특히 컨덴서 마이크의 PAD 스위치는 이 충전 전압값을 변경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의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컨덴서 마이크의 캡슐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보통 42V~60V 사이의 전압을 사용하며, 팬텀 파워를 사용하는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48V를 사용하며, 파워 서플라이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60V 또는 그 이상의 전압으로 캡슐을 충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같은 캡슐을 사용하는 마이크라고 해도, 회로설계에 따라 캡슐을 충전하는 전압값은 천차 만별이고, 소리의 차이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충전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서 마이크 캡슐의 **네이티브 감도**((마이크의 최종 감도는 이후의 회로의 증폭값에도 영향 받는다.))가 결정되며, 특히 컨덴서 마이크의 PAD 스위치는 이 충전 전압값을 변경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다이어프램의 감도를 변경할 수 있다.
  
-<WRAP box centeralign> +<imgcaption 1 center|AKG C414의 캡슐(왼쪽)과 캡슐 충전 전압 변경 스위치 회로(오른쪽)>{{:음향:microphone:20240620-015237.png|AKG C414의 캡슐(왼쪽)과 캡슐 충전 전압 변경 스위치 회로(오른쪽)}}</imgcaption>
-{{:음향:microphone:20240620-015237.png}}\\ +
-AKG C414 의 캡슐(왼쪽)과 캡슐 충전 전압 변경 스위치 회로(오른쪽)</WRAP>+
  
 =====Termination===== =====Termination=====
줄 46: 줄 42:
 | 고역대 프레즌스 피크 | 플랫한 고역대 | | 고역대 프레즌스 피크 | 플랫한 고역대 |
 </WRAP> </WRAP>
- 
  
 ====Center-terminated==== ====Center-terminated====
줄 64: 줄 59:
 {{:음향:microphone:20250316-195406.png}} {{:음향:microphone:20250316-195406.png}}
  
-참고 문헌\\ +>참고 문헌https://www.neumann.com/homestudio/en/difference-between-large-and-small-diaphragm-microphones 
-https://www.neumann.com/homestudio/en/difference-between-large-and-small-diaphragm-microphones+ 
 +=====생성되는 전압의 규모===== 
 + 
 +큰 다이어프램 마이크는 상대적으로 같은 **공기 압력 진동**에 대해 **더 큰 전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작은 다이어프램 마이크**들은 큰 다이어프램 마이크들보다 **노이즈 플로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다이어프램 크기**뿐만 아니라, **충전 전압**(polarization voltage)도 이러한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 
 +**높은 충전 전압**은 다이어프램과 백플레이트 사이의 **전기장**을 더 강하게 만들어, 다이어프램이 동일한 압력 변화에 대해 더 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민감도를 향상시키며, **노이즈 플로어**를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작은 다이어프램 마이크의 경우 충전 전압을 높임으로써 감도를 보완하고, 큰 다이어프램 마이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노이즈 플로어 문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다이어프램 크기와 충전 전압은 모두 마이크의 **신호 대 잡음비(SNR)** 및 **민감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두 요소의 적절한 조합이 마이크의 성능을 좌우합니다. 
 + 
 +=====캡슐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비교===== 
 +^ 특성       ^ 다이어프램 직경 (크기)         ^ 다이어프램 두께            ^ 백플레이트와의 간격      ^ Center-Terminated              ^ Edge-Terminated             ^ 캡슐 충전 전압              ^ 
 +| **팝핑**   | **크면** 더 민감, 취약         | **얇으면** 더 취약         | 간격이 **좁으면** 더 취약 | 팝핑에 **비교적 강함**         | 팝핑에 **취약**              | 충전 전압이 팝핑에 취약 | 
 +| **고역대** | **작을수록** 고역대 섬세함 증가 | **얇을수록** 민감도 증가   | 간격이 **좁을수록** 디테일 증가 | 고역대에 **프레즌스 피크**       | 고역대 **주파수 확장**       | 전압이 **높으면** 고역대 **확장**   | 
 +| **저역대** | **크면** 저역대 민감도 증가     | 큰 영향 없음               | 큰 영향 없음             | 저역대 **상대적으로 낮음**     | 저역대 **풍부**              | 충전 전압에 큰 영향 없음      | 
 +| **Max SPL** | **작으면** 더 높은 SPL 견딤   | **두꺼울수록** SPL 견딤 증가 | 간격이 **넓으면** SPL 증가 | **높은 SPL**에 유리           | **보통 SPL** 견딤           | 전압이 **낮으면** SPL 증가    | 
 +| **SNR**    | **크면** SNR 개선         | **얇으면** SNR 저하   | 큰 영향 없음             | SNR이 **상대적으로 낮음**      | SNR이 **상대적으로 높음**    | 전압이 **높으면** SNR 개선    | 
 + 
 +  * {{:음향:microphone:us_pro_dual_diaphragm_paper_ea.pdf|}} 
 + 
 +{{tag>컨덴서 캡슐}}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17485762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