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2025/05/30] – 정승환 |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 [2025/07/06] (현재) – 정승환 | ||
---|---|---|---|
줄 3: | 줄 3: | ||
**Externaly Polarized Condenser**, | **Externaly Polarized Condenser**, | ||
- | **컨덴서 캡슐은 | + | **컨덴서 캡슐은 컨덴서 마이크의 진동판을 구성하는 부분 |
- | <WRAP centeralign box> | + | <imgcaption 1 center|컨덴서 캡슐> |
- | {{: | + | |
- | </WRAP> | + | |
컨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은 얇은 필름으로 만들고, 진동판 내부의 전도성을 만들어주기 위해 금을 얇게 증착(Gold sputterd)한다.((금은 은이나 구리보다 그 형태와 특성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성질이 있다.))((스퍼터링은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에 해당한다. {{: | 컨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은 얇은 필름으로 만들고, 진동판 내부의 전도성을 만들어주기 위해 금을 얇게 증착(Gold sputterd)한다.((금은 은이나 구리보다 그 형태와 특성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성질이 있다.))((스퍼터링은 상당히 고난이도의 기술에 해당한다. {{: | ||
줄 35: | 줄 33: | ||
컨덴서 마이크의 캡슐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보통 42V~60V 사이의 전압을 사용하며, | 컨덴서 마이크의 캡슐은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보통 42V~60V 사이의 전압을 사용하며, | ||
- | <WRAP box centeralign> | + | <imgcaption 1 center|AKG C414의 캡슐(왼쪽)과 캡슐 충전 전압 변경 스위치 회로(오른쪽)> |
- | {{: | + | |
- | AKG C414 의 캡슐(왼쪽)과 캡슐 충전 전압 변경 스위치 회로(오른쪽)</ | + | |
=====Termination===== | =====Termination===== | ||
줄 46: | 줄 42: | ||
| 고역대 프레즌스 피크 | 플랫한 고역대 | | | 고역대 프레즌스 피크 | 플랫한 고역대 | | ||
</ | </ | ||
- | |||
====Center-terminated==== | ====Center-terminated==== |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음향/microphone/diapragm/condenser_capsule.174857745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정승환